모든 문제들은, 우리가 우리의 생각, 느낌, 투사에 너무나 많은 중요성을 주기 때문에 나타난다

그것들이 우리의 사고를 차지한다

우리는 우리의 고요함, 침묵의 가치를 발견하지 못했다

우리 문화에서는 이런 것들이 더는 미덕이 아니다

미덕은 돈을 벌고, 더 시끄러워지고, 주목받고, 강해지고, 부유해지고, 독립적이 되는,

이런 것들이 대개의 미덕이다

그리고 거의 어느 곳에서도 침묵이나 비어있음은 가치있게 여겨지지 않는다

우리가 절박할 때까지

 

우리가 절박할 때에야, 우리는 이런 것들의 가치를 발견한다


 

satsang is for this knowing, is clear recognition inside you

fears may come from time to time, but they will be momentary, they won't be routine, they won't live in you

but a change has to come where we are not just living as a person, but moving from a person to the state of presence

when you begin to recognize yourself as presence rather than as a person,

person has history,

presence has no history, it is like pure space

doesn't mean that you're blank, dull, boring,

doesn't mean anything, it simply is

the space from which you are aware of your senses, mind, feeling,- all of these things are watched from here

but you're not a victim of your own perception

 

사트상은 이 앎을 위한 것이다, 그대 안에서의 명확한 이해

두려움이 갸끔 올 수 있다, 하지만 순간적일 것이다, 일반적이지 않을 것이다, 그대 안에서 살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변화가 와야 한다, 우리가 단지 제한된 인식으로 사는 것이 아니라

제한된 인식에서 존재의 상태로 이동하는

 

그대가 그대 자신을 제한된 인식으로서 보다 존재로서 이해하기 시작할 때

 

제한된 인식은 과거사를 갖는다

 

존재에는 과거사가 없다, 순수한 공간과 같다

그대가 멍하고, 둔하고, 지루하다는 뜻이 아니다

어떤 것도 뜻하지 않는다, 있을 뿐이다

그 공간에서 그대가 그대의 감각, 마음, 느낌을 인식한다, 이런 모든 것들이 여기에서 바라보아진다

하지만 그대는 그대가 인식하는 것의 희생자가 아니다

 

all that i'm telling you is already natural into your being

it's not your to do lists

i'm only pointing you to wha tis already so

but it is not recognized as it is

because we hold another version of who we are in our mind

and as long as we retain the identity that we are person, this is who i am, this is my history, i'm a man, i'm a woman, i'm this or that,

then to that extent, you'll be either blind or free

so don't pay attention so much to thees things, 'oh sometimes fear comes'

ok, fear comes, fear goes, excitement comes, excitement goes, 

even joy arises, joy also goes sometimes

don't mind these, they are part of the fluid expression of consicousness and they are changeful

find that which is unchanging

 

내가 그대에게 말하고 있는 것은 모두, 이미 그대의 존재 안에서 자연스럽다

그대가 해야 하는 것들이 아니다

나는 그대에게 이미 그런 것을 가리키고 있을 뿐이다

하지만 그것이 있는 대로 이해되지 않는다

우리의 마음에 우리가 누구인지에 대해 또 다른 버전을 붙들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우리가 제한된 인식이다, 이것이 나다, 이것이 나의 과거사다, 나는 남자다, 나는 여자다, 나는 이것 혹은 저것이다, 라고 하는 동일시를 보유하는 한

그러면 그 정도 만큼, 그대는 눈이 멀 것이다, 혹은 자유로울 것이다

 

그러니 '아 때로는 두려움이 온다' 이런 것들에 그렇게 많이 주의를 주지 마라

좋다, 두려움이 온다, 두려움이 간다, 흥분이 온다, 흥분이 간다,

기쁨조차 일어난다, 기쁨 또한 간다, 때로는

이런 것들에 개의치 마라, 의식의 유동적인 표현의 일부다, 변하는 것들이다

변하지 않는 것을 찾아라

 

it is right here, it is not one micro milimeter away from you

 

그것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대로부터 1 초밀리미터도 떨어져 있지 않다

 

when you say i, i can mean different things

i can just mean, my body

when you refer to yourself as your body, i can say i am this body

many people live in the idea or notion that very strong limited notion, i am this body, and that's it

so i can function as the body

i can function as your personality, your mind or conditioning also

so when you say i, you have a sense of history of culture, of race, of gender, as whatever it is

 

그대가 나 라고 할 때, 나 는 다양한 것들을 뜻할 수 있다

나 라고 하는 것이 그냥 나의 몸 일 수 있다

그대 자신을 그대의 몸으로 언급할 때, '나는 이 몸이다 라 할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아주 강하게 제한된 개념 '나는 이 몸이다' 라는 생각에서 산다, 그것이 다다

나 라고 하는 것이 몸 으로 작용할 수 있다

나 는 그대의 성격, 그대의 마음이나 조건화로도 작용할 수 있다

그래서 그대가 나 라고 할 때, 그대는 문화의, 인종의, 성별 등의 과거사를 갖는 느낌이다

 

i can become the presence, meaning beyond the body

the intelligent principle inside the body that perceive time and change

but itself is not physical

then the power of that seeing already bears very beautiful fruits

 

나 는 존재가 될 수도 있다, 몸을 벗어난다는 뜻이다

시간과 변화를 인식하는 몸 안의 지성 원리

하지만 그것 자체는 물리적이지 않다

그러면 그 바라봄의 힘은 이미 아주 아름다운 열매들을 맺는다

 

and also i can mean the absolute awareness

 

그리고 또한 나 는 절대 자각 을 뜻할 수 있다

 

but for the most part, when we use the word i, we're really referring to ego

when you say i, almost always you're speaking as ego

meaning i am this body, i am this personality, i'm who i believe i am through my conditioning

that is called ignorance

 

하지만 대부분, 우리가 나 라는 말을 사용할 때, 정말 에고를 말한다

그대가 나 라고 할 때, 거의 언제나 그대는 에고로서 말한다

'나는 이 몸이다, 나는 이 성격이다, 나는 나의 조건화를 통해 나 라고 믿는 자다

 

그것이 무지라고 불린다

 

but all of this can change

you're not going to be changing and becoming somebody else

in fact, you're changing to become your unchanging self

 

하지만 이런 모든 것이 변할 수 있다

그대는 변해서 다른 누군가가 되는 것이 아니다

사실, 그대는 변해서 변하지 않는 자신이 될 것이다

 

so i don't want to talk about these things, if i talk is because there are people who are listening somehow inside the heart

when you listen inside your heart, whatever change need to happen, they are occuring spontaneously

 

나는 이런 것들에 대해 말하고 싶지 않다, 내가 말한다면, 어떻든 가슴 안에서 귀 기울이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다

그대가 그대의 가슴 안에서 들을 때, 일어나야 하는 변화가 무엇이든 일어난다, 즉시적으로 일어난다

 

you are identifying yourself as a kind of psychological identity

so our troubles are plentiful

because almost always troubles are psychological based

when you know yourself to be beyond your psychological functioning, then your world will be much lighter place

your joy more prolonged

your silence undisturbed

your joy, continuous

 

그대는 그대 자신을 심리적인 정체성과 같은 것으로 동일시하고 있다

그래서 우리의 문제들이 많다

거의 언제나 문제들이란 심리적인 것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그대가 그대 자신을 그대의 심리적인 작용을 벗어나 알 때, 그대의 세상은 훨씬 더 가벼운 곳이 될 것이다

그대의 기쁨이 더 지속된다

그대의 침묵이 방해받지 않는다

그대의 기쁨이 계속된다

 

all troubles come because we give far too much importance to our thoughts and feelings also, and projection

and they occupy our thinking

we've not discovered the value of our stillness, of our silence

in our culture, these are not virtures anymore

virtue is to make money, more loud, to be noticed, to be powerful, rich, to be independent,

these are common virtues

and almost nowhere is silence or emptiness valued

until we are desperate

 

모든 문제들은, 우리가 우리의 생각, 느낌, 투사에 너무나 많은 중요성을 주기 때문에 나타난다

그것들이 우리의 사고를 차지한다

우리는 우리의 고요함, 침묵의 가치를 발견하지 못했다

우리 문화에서는 이런 것들이 더는 미덕이 아니다

미덕은 돈을 벌고, 더 시끄러워지고, 주목받고, 강해지고, 부유해지고, 독립적이 되는,

이런 것들이 대개의 미덕이다

그리고 거의 어느 곳에서도 침묵이나 비어있음은 가치있게 여겨지지 않는다

우리가 절박할 때까지

 

only when we are desperate, then we discover, we value for these things

 

우리가 절박할 때에야, 우리는 이런 것들의 가치를 발견한다

 

 

 

300x25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