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모든 다양성이 하나 안에서, 라는 것을 발견하는 자, 이 자는 이해한다, 이해 안에서 산다
그대는, 안정되어 있고, 변하지 않으며, 순수하고, 완벽하고, 소멸하지 않는 것을 찾아야 한다
그것이 지각 있는 것일 것이다
왜냐하면 몸의 이야기가 끝날 때, 그대는 어디에 있는가
so gradual growth, just like the body takes time to grow and so on
the spirit also is develping and expanding-
and i feel that the satsangs of the non-dual exploration are amongst the most direct way
there are different roots and ways to the supreme depending upon the temperament and conditioning of the beings
and God has given different roads to come, because when God expresses as universes,
he really displays brilliance, because everything, even every petal of flower is unique
he says, i cannot run out of my originalities, can put everything like this
but the one who finds that all of this diversities is inside the one,
this one is understanding, living in understanding
그래서 점점 자라는 것이다
몸이 자라는 등에 시간이 걸리는 것처럼
얼 또한 성장하고 확장한다
그리고 나는, 비이원성을 탐험하는 사트상들이 가장 바로가는 길이라고 느낀다
최상으로 가는데는, 존재들의 기질과 조건화에 따라,
다양한 근원들과 방법들이 있다
그리고 신은 이르는데 다양한 길을 주었다
신이 온 세상으로 표현할 때, 그는 정말 눈부시다
모든 것이, 꽃 하나의 꽃잎 마다 독특하다
그는, '나의 고유함은 고갈될 수 없다' 라 한다
모든 것에 이처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모든 다양성이 하나 안에서, 라는 것을 발견하는 자
이 자는 이해한다, 이해 안에서 산다
so that is the way, don't keep going to the personal reference, 'this thing happened to me, what i find that i'm not able to do-'
i keep asking you, when you say i, establish your identity, who are you speaking as?
what is your i referring to? - 'it's kind of personal actually'
you satisfy with that? because whatever the person agrees upon today, the person disagrees upon tomorrow
so we cannot keep going into the world of unreliablness, because all these tastes are not dependable
it's like we're investing in the temporary
it's like you're architect designing a building on quicksand
it's ok, because life in the world is not so much to build the structures only, but to learn through activities of the body to discover the inner reality
but we're so fixated on the hands, man-sensed build, we forget the inner implications of them
그런 식이다
계속해서 제한된 인식을 언급하는 근거로 가지 마라,
'이런 일이 내게 일어났어, 나는 할 수 없는 것 같아-' 등
나는 계속해서 그대에게 묻는다
그대가 나 라고 할 때, 그대의 정체성을 세워라, 그대는 누구로서 말하고 있는가
그대의 나는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 사실 제한된 인식인 것 같다'
그대는 그것으로 만족하는가, 왜냐하면 제한된 인식이 오늘 동의하는 것이 무엇이든,
내일은 동의하지 않는다
그렇게 우리는 계속해서 믿을 수 없는 세상으로 들어설 수 있다
이런 모든 맛들은 기댈 만하지 못하다
우리는 일시적인 것에 투자하고 있는 것 같다
그대의 건물을 빨려들어가는 모래에 짓는 것 같다
그러한 것 괜찮다, 세상에서의 삶은 건물들을 세우는 것뿐 아니라, 몸의 활동들을 통해 내면의 실제를 발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는 너무 인간이 느끼는 것에 근거해 만들고, 안의 뜻은 잊는다
so both inner, outer, is ok but the inner is the most profound, is the most stable,
the outer is in time, inner is timeless
so in our orientation of our thinking is more directed to the inner, then life proliferates in a very different way,
without attachment, without neediness, so synchoronicity and harmony is there
안과 밖, 둘 다인 것 괜찮다, 하지만 안이 가장 깊다, 가장 안정되어 있다
밖은 시간 안에 있다, 안에서는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우리가 생각하는 방향에서, 보다 안으로 향하면, 삶은 아주 다른 식으로 피어난다
집착 없이, 요구 없이, 그래서 일치와 조화가 있다
so the fundamental pointing again,
when we have the sense of trouble, 'what should i do', like people sometimes say-
this one is just exposed that this one is just given too much importance
'yes but how can i give not importance to, is like all i know'
that's what you think
you must now start to explore, we have spent so much our life exploring the world and the senses and mind and so on
you must now explore yourself
what i means to explore yourself, meaning to look and to see as you've been guided,
whatever you perceive is changeful, so it's not reliable
we try to, in human world, to put things as a fact, this is a fact-,
other come along and say, fiction, fiction-,
other one come back and say, no, this is a fact, fact-
like this
that world is on going
다시 근본의 가리킴으로,
문제 있는 느낌이 들 때, '난 어쩌지'-
이 자는 그저 폭로되는 것이다, 이 자에게 그냥 너무 많은 중요성이 주어졌다는 것이다
'그래, 하지만 내가 어떻게 중요성을 주지 않을 수 있겠어, 그것이 내가 아는 전부와 같은데'
그것은 그대가 생각하는 것이다
그대는 이제 탐험하기 시작해야 한다, 우리는 우리 삶의 너무 많은 시간을 세상과 감각, 마음 등을 탐험하는데 썼다
이제 그대는 그대 자신을 탐험해야 한다
그대 자신을 탐험한다 란, 그대가 안내되어 온 대로 바라보는 것이다
그대가 인식하는 것은 무엇이든 변한다, 그래서 그것은 믿을 만하지 못하다
인간 세상에서 우리는, 사실로 두려 애쓴다, '이건 사실이다, 이건 사실이다-'
다른 자가 따라와 말한다, '가짜다, 가짜다-'
다른 자가 다시 와서 말한다, '아니다 이것이 사실이다, 사실이다-'
이런 식이다
그런 세상은 계속 간다
you must find that which is stable, constant, pure, perfect, imperishable,
that' will be sensible
because when the body's story is over, where are you?
그대는, 안정되어 있고, 변하지 않으며, 순수하고, 완벽하고, 소멸하지 않는 것을 찾아야 한다
그것이 지각 있는 것일 것이다
왜냐하면 몸의 이야기가 끝날 때, 그대는 어디에 있는가
what are you taking into sleep, into death?
are you going there with the luggage in your being? unresolved situations and pains, unresolved projections and so on?
or you're coming in empty? you left everything on the surface, and you go now to just be in the pure
that if you say, don't let death be decider of death, let the life be decider of death
그대는 잠으로, 죽음으로 무엇을 가져가는가
그대의 존재에 짐을 지고 갈 것인가? 해결되지 않은 상황들과 고통, 풀지 못한 투사들 등을?
아니면 비어있음 으로? 표면에 있는 모든 것을 떠난다, 그리고 그대는 이제 그저 순수 에 있다
죽음이 죽음을 결정하는 자이게 두지 마라, 삶이 죽음을 결정하는 자이게 해라, 라 한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