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oji

나는 추정하고 싶지 않다

숫자없음 2022. 4. 24. 15:46

what is the greatest discovery since you've come here?

you say, the simplicity of being

 

그대가 여기에 온 이후, 가장 큰 발견이 무엇인가

그대가 말한다, 존재의 단순성

 

yesterday in satsang, before satsang, she had strong coffee

 

어제 사트상에 오기 전에, 그녀는 강한 커피를 마셨다 

 

'so it's drug for me because i don't drink so often

so hard and mind is sharp, everything is working on its best

and totally absorbing the whole thing

and today in satsang, feel dull and sleepy,

and same time, nothing changed

 

'그건 나에게 마약과 같다, 나는 그렇게 자주 마시지 않는다

굉장히 강하고, 마음은 예리해지고, 모든 것이 최고조로 작용했다

완전히, 전체의 것을 흡수했다

오늘 사트상에서는, 둔한 느낌이고 졸립다

그러면서 동시에, 아무것도 변하지 않았다

 

it's not important to improve something, to get better'

 

뭔가 더 낫게, 더 좋게 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다'

 

very very good testimony

 

아주 아주 좋은 증언이다

 

strong coffee, then satsang sitting

and then noticing what? there's space that is underlying all other states which is not affected by coffee,

and there is a place that is affected by coffee, or by some stimulant or something

and you say, again today, sitting in satsang,

some dullness, maybe some hangover from yesterday, we don't know

a kind of dullness

 

강한 커피, 그런 다음 사트상에 앉아서,

무엇을 알아차리는가

공간이 있다, 여타 다른 상태들 아래 놓여 있는, 커피에 의해 영향받지 않는

그리고 커피나 어떤 자극물이나 뭔가에 의해 영향받는 곳이 있다

그리고 그대는 오늘 다시, 사트상에 앉아서는

둔함, 아마 어제로부터의 숙취일 수도 있고, 모르겠다

늘어지는 느낌

 

'i see it doesn't matter, states or feelings or sharpness, thoughts,

because i'm watching that all, don't need to improve something'

 

'나는 그런 것이 상관 없다는 것을 본다,

상태나 느낌, 예리함, 생각,

 

왜냐하면 나는 그 모든 것을 바라보고 있다, 뭔가 더 낫게 할 필요 없다'

 

is there anyone for whom that is not true?

because sometimes it's a habit,

i'm very happy to hear this

i don't want to assume

is very important for you to speak out

even if it is not so

but you expressed what have you discovered since being here,

this space of being, simplicity of being

 

이것이 사실이 아닌 자 있는가

 

나는 이렇게 들어서 아주 행복하다

나는 추정하고 싶지 않다

그대가 말을 꺼내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그렇지 않더라도

하지만 그대는 여기에 있는 이래로 발견한 것을 표현했다

이 존재의 공간, 존재의 단순함

 

that even today, some hangover

doesn't really matter, i don't have to try to get into another state,

because of this underlying space of myself in which dullness or dynamicness happens in that

but i am here, relatively to the changeful states, is the unchanging ground of being,

the very root is here

 

오늘은, 좀 숙취가 

 

상관 없다, 나는 다른 상태로 들어서려 애쓸 필요 없다

이 근원적인, 나 자신의 공간, 그 안에서 둔함이나 역동적임이 그 안에서 일어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나는 여기에 있다, 변하는 상태들과 상대적으로, 변하지 않는 존재의 근거이다

그 근원이 여기에 있다

 

you may not use those words

is same thing you apply

and more and more you're able to just recognize

sometimes the mind energy or energetically is like this

but underlying stillness is not disturbed by that

what is disturbed by that? the mind and the identity,

'oh i don't like this, i don't feel comfortable, i need to go for a walk-'

but you see that is inculded also in energetic field that is expressed, within the unchanging

that is the fruit of your satsang

 

그대는 그런 말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대에게도 같은 것이다

그리고 점점 더 그대는 그냥 알아차릴 수 있다

 

때로는 마음 에너지나 에너지상 이와 같다

하지만 근원의 고요함은 그것으로 동요하지 않는다

무엇이 그것에 의해 방해받는가, 마음과 동일시

'아 난 이것이 싫다, 불편하다, 산책을 해야겠다'

 

하지만 그대는 표현되는 에너지 장에서의 그것 또한 변하지 않는 것 안에 있다는 것을 본다

그것이 그대 사트상의 열매이다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is field of unchanging and you who are aware of it?

you say, 'i'm aware, there is just this'

is the separate i who is aware of this?

because surely, even the sense of i being aware of this, is the part of what is perceived in this

ture or not?

 

이 변하지 않는 장과 그것을 인식하는 그대는 다른가

그대가 말한다, '나는 인식한다, 그냥 이것 뿐이다'

 

이것을 인식하는 나 는 분리되어 있는가

왜냐하면 확실히, 이것을 인식하는 나 라는 느낌 또한, 이것 안에서 인식되는 것의 일부이다

사실인가 아닌가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