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라볼 수 있는 것은 그것을 바라보는 것일 수 없다
what has happened to you here in the heart of this guidance,
as long as there is conviction there that you're person making your way in the world,
if that is your basis, the only choice apparently available to you,
is to rely upon your instinct, intellect,
but in satsang you find out that actually what is observable cannot be that which observe it
and does that make sense?
i am aware of the sky, i'm not the sky
이 지침의 중심에서, 여기에서 그대에게 일어나는 것은,
세상에서 나아가는, 그대가 어떤 사람이라는 확신이 있는 한,
그것이 그대의 근거, 그대에게 가능해 보이는 유일한 선택이라면,
그대의 본능, 지력에 의존하는 것이다
하지만 사트상에서 그대는, 사실 바라볼 수 있는 것은 그것을 바라보는 것일 수 없다는 것을 발견한다
그리고 그것이 이해가 되는가
나는 하늘을 인식한다, 나는 하늘이 아니다
all images are coming and going, whatever can be perceived, is perceived to come and go
then you are pointed to that even the sense of yourself as a person is not consistent
and is observed by a deeper awareness
who has proven this?
모든 그림들이 오고 간다, 인식되는 것은 무엇이든 오고 가는 것으로 인식된다
그러면 그대에게, 어떤 사람이라는 그대 자신의 느낌조차 변하지 않지 않는 것으로 가리켜진다
그리고 보다 깊은 각성에 의해 바라보아진다
이것을 확인한 자는 누구인가
if it is come to understanding that personal sense of i, however intimate, however attached it has become,
is itself phenomenon observed
or by the fact that it is observed,
and it is witnessed to be changeful
제한된 인식의 나 라는 느낌, 그것이 얼마나 친밀하든, 그것이 얼마나 집착되어 있든,
그것 자체는 현상으로 바라보아진다는 이해에 이른다면,
혹은 그것은 바라보아진다는 사실에 의해,
그리고 그것은 변하는 것으로 보인다
so the person says, 'i am' which means stable
but i am of the person is not stable
and it is also witnessed from a plce that is more stable
the witness that is able to observe the play of alleged i am in a personal mode, is not trapped by that person
have you come to that clarity yet?
그래서 제한된 인식이 말하는 '나 다' 는 안정되어 있는 것이다,
하지만 '나는 어떤 사람이다' 의 '나' 는 안정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그것이 또한, 보다 안정되어 있는 자리에서 바라보아진다
바라보는 자는, 제한된 인식의 모습에 있는 나 라고 하는 것의 놀이를 바라볼 수 있다,
그 제한된 인식에 잡혀 있지 않다
그대는 이런 정도의 명확성에 이르렀는가
in spite of seeing that that is so,
that the person previously considered to be stable is actually not stable
what is a proof of it? because it is watched
its nature, character is observed to be unstable
that which witnesses that, is that person?
그러한 것으로 보는데도
이전에 안정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졌던 그 제한된 인식은 사실 안정되어 있지 않다
그 증거는 무엇인가, 왜냐하면 그것은 바라보아진다
그것의 성질, 성격은 불안정한 것으로 바라보아진다
그것을 바라보는 그것은 제한된 인식인가
in spite of seeing that sometimes seeing is so profoundly that this discovery is followed by eureka,
still sense of person comes back to play
does that mean the failure in the i am?
바라봄이 너무 깊어서, 발견에 '유레카' 가 뒤따르는 것을 보는데도,
여전히 제한된 인식의 느낌이 다시 돌아와 놀이한다
그것이 '나 다' 에서의 실패란 뜻인가
what to do
무엇을 해야 하는가
some say, 'when is it going to be finished?', 'i killed them yesterday and they show up again today'
who is saying that?
is it the i am?
어떤 이들은, '언제 끝날까' 라 한다
'난 어제 그것들을 없앴다, 오늘 다시 나타난다'
누가 그렇게 말하고 있는가
'나' 인가
'the one who says this is the same one'
let's look, is it?
'yes i punched him yesterday, knocked him out, but he's back again today'
is it the same one as an entity or as a position?
because the same one could be more refined version of that ego state
can the ego evolve? of course, it can evolve
from lower state, strong identity with body and so on,
to 'i'm the doer', identity and so on,
to satoric state to be saying, 'yes i saw him yesterday--, but he's back again today'
'그렇게 말하는 자도 같은 자다' 라고 고타마가 말한다,
바라보자, 그런가
'그렇다, 난 어제 그를 쳤다, 그를 때려눕혔다, 하지만 그는 오늘 다시 돌아왔다'
어떤 존재 혹은 어떤 위치로서 같은 자인가
왜냐하면 같은 자가 에고 상태의 보다 정제된 버전일 수 있다
에고는 진화할 수 있는가, 물론 진화할 수 있다
강하게 몸과 동일시되어 있는 등의, 보다 낮은 상태에서
'나는 하는 자다' 라는 동일시 등으로,
'그렇다, 난 어제 그를 봤다--, 하지만 그는 오늘 다시 돌아왔다' 라 말하는 깨어난 상태 로
so even as though the drama of seeing becomes even more acute, 'oh i'm getting somewhere'
however much you can be evolving, but what if all the stages of your evolving is still within the realm of phenomenality, can you evolve by effort to the state of i am?
maybe
what if all the various stages of evolving is singularly, collectively witnessed, even in the most subtle movement is perceived, is it possible?
that which perceives it, does it say 'i knocked him out'?
is it threatened by the movement of the person and its world?
그래서 바라봄의 드라마가, '오 난 어딘가에 이르고 있다' 고 점점 예리해지는 듯 하다
그대가 얼마나 많이 진화할 수 있든,
그대가 진화하는 모든 단계들이, 여전히 현상계의 영역 안에 있다면,
그대는 노력으로 '나' 의 상태로 진화할 수 있을까
아마도
진화하는 모든 다양한 단계들이, 하나의 것으로든, 집단적인 것으로든 바라보아진다면,
가장 미묘한 움직임조차 인식된다면
그것이 가능한가
그것을 인식하는 그것이, '난 그를 때려눕혔다' 라 말하는가
그것이 제한된 인식과 그 세상의 움직임에 의해 위협받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