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oji

창조적 근원은 진짜 자신이다

숫자없음 2019. 5. 2. 14:38

머리에 달린 눈으로 보여질 수 없는 것이다

하지만 인식된다,

하나가 다른 하나를 인식하는 것이 아닌 것이다


 

 

('can the perceiver be perceived?')

 

there is a kind of finality about it,

why ask the question, if the answer cannot be received,

and is this kind of question satisfied with an answer?

maybe satisfied by a revelation more than answer,

answer, maybe the mind gets the answer, and we have bypassed our mind earlier,

so what remain then?

what is able to perceive the functioning of the mind?

and even perceives who suffers mind,

is there something that's aware both the mind play and the one even who suffers it?

or is that too intimate to includ as the thing seen?

your time here is for this to solve or dissolve this mystery

 

('인식하는 자는 인식될 수 있는가 에 관해)

 

일종의 최종적 결론이 있다

왜 질문을 하겠는가, 답이 받아들여질 수 없다면

 

그리고 이런 질문은 답에 만족하는가

아마도 답보다는 드러남에 의해 만족할 것이다

답은, 아마 마음이 답을 받을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이전에 마음을 지나왔다

 

그래서 무엇이 남는가

마음의 작용을 무엇이 인식할 수 있는가

그리고 마음으로 고통스러워하는 자 또한

 

마음의 놀이와 마음으로 고통을 겪는 자, 둘 다를 인식하는 것이 있는가

아니면 보여지는 것에 포함되기에는 너무 가까이 있는 것인가

 

여기에서의 그대의 시간은 이것을 위함이다,

이 수수께끼를 풀거나 용해시키기 위해

 

but the mind aspect of personhood is in resistance to this discovery also,

because as i say, there re 2 energies or forces working inside,

i'm keeping it very simple now

that energy that works to perpetuate personhood in our self,

meaning to encourage and to continue the life of being a person

with usual worries and aspirations -, this type of worry,

and worried about the world, and this type of worry,

and there's another side to it which is about the elevation of consciousness,

rising awareness becoming more clear, more united, more unified, in the field of consciousness,

unbroken happiness, peace,

when i say unbroken, i'm talking about universal peace,

which can have shadows of sorrow arising in it, but it's not overwhelmed,

you understand this or not?

 

하지만 제한된 인식 쪽인 마음은 이 발견에 저항하기도 한다

내가 말하듯, 우리 안에서 작용하는 두 가지 에너지 혹은 힘들이 있다

나는 지금 아주 간단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 자신 안에서 제한된 인식을 지속시키려는 에너지,

제한된 인식으로 사는 삶을 격려하고 계속하도록 한다

대개의 걱정과 열망, - 이런 유형의 걱정,

그리고 세상에 대해 걱정한다, 이런 종류의 걱정,

 

또 다른 면은 의식을 높이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어나는 각성이 의식의 장에서 점점 더 분명해진다, 더 통합된다, 더 단일화된다

깨지지 않는 행복, 평화가 있다

 

내가 깨지지 않는 행복과 평화 라 할 때,

나는 전체적인 평화에 대해 말하고 있다

그 안에 슬픔의 그림자를 갖고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압도되지는 않는다

이것을 이해하는가 아닌가

 

i'm not saying that there's peace, no space for anything, no, it's not rigid

that the infiniteness of our self, everything can have its momentary play, but nothing sticks,

and yet at the same time, it's not that it does not care,

this is the mystery, 

from it, all love come and joy, peace, all are creativity,

the mind is an instrument, it's not source of creativity, it's only because it poses as though it is creative source,

then we are attached to it,

but the creative source is the self

 

평화가 있으면, 어떤 것을 위한 공간도 없다 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그건 경직되어 있지않다

우리 자신의 무한함에서는 모든 것이 그 순간의 놀이를 할 수 있다, 하지만 남지 않는다

보살피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다

이것이 신비다

그것에서 모든 사랑이 나온다, 기쁨과 평화, 모든 창조가

 

마음은 도구이다, 창조의 근원이 아니다,

창조적 근원인 듯 포즈를 취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면 우리는 그것에 집착한다

하지만 창조적 근원은 진짜 자신이다

 

what remains what?

and the final analysis, the final seeing, what remains here,

is it object? is it form or is it formless?

is it other than you?

is it personal or impersonal?

that is to be experienced and verified,

there's no further after thought about it, 

it does resolve itself,

it is not an enemy to the world,

it is not in conflict with activity,

it is the root and the womb of the manifest world,

it does not go on researching, researching, questions, questions about itself,

it cannot be seen with eyes, the eyes in your head

and yet it is perceived but it's not a dualistic perceiving

 

무엇이 무엇으로 남아 있는가

그리고 최종 분석, 최종적인 바라봄, 여기에 무엇이 남아있는가

대상인가, 

형상인가, 아니면 형상없음 인가

그대 외 다른 것인가

사적으로 제한된 인식인가 아니면 제한없는 것인가

 

이것이 경험되고 확인되어야 한다

이후 더 나아가는 생각은 없다

스스로를 푼다

 

그것은 세상의 적이 아니다

활동과 충돌하지 않는다

드러나는 세상의 뿌리이고 자궁이다

그것은 계속 스스로에 대해 찾고, 찾고, 질문하고, 질문하지 않는다

머리에 달린 눈으로 보여질 수 없는 것이다

하지만 인식된다,

하나가 다른 하나를 인식하는 것이 아닌 것이다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