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가 무언가를 인식하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대가 인식하는 것이 반드시 진리인 것은 아니다
when you check inwardly,
and when i say, when you check inwardly, is not a journey at all,
what really is here, what you're discovering,
is it noise? is it more like space? spaciousness? is there silence?
peace or still there're turbulence of thought?
and even if there was, even if there is movement, leave it to be a movement,
don't label it wrongly, 'oh i got to get rid of this', no, just leave it
그대가 안으로 확인할 때,
그리고 내가, 그대가 안으로 확인할 때, 라 말할 때,
이것은 여정이 전혀 아니다,
정말로 여기에 있는 것, 그대가 발견해가는 것,
그것은 소음인가? 보다는 공간과 같은가, 공간감? 침묵이 있는가
평화? 아니면 아직 생각의 소란이 있는가
그리고 있었다 해도, 움직임이 있다 해도, 움직임이도록 두어라,
그것을 잘못되게 딱지 붙이지 마라, '아, 난 이것을 제거해야 해',
아니다, 그냥 내버려두어라
as i said, there's enough room in the infiniteness of being for everything to have its moment,
that was never the problem,
it's not what features inside our being that creates a problem,
but is the habit of interpreting them, in some negative way like,
'oh, it's me, i'm not ready.....not good enough, this means i'm not worthy, again i'm going to lose these things-',
these labeling you should watch
이전에 말했듯, 존재의 무한함에는, 모든 것이 각자의 순간을 가질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있다
그것이 문제였던 적은 없다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우리 존재 안에서 특징을 보이는 것이 아니다,
그것들을 해석하는 습관이다, 부정적인 식으로,
'아, 이게 나야, 나는 준비가 안 되어 있어..........충분하지 않아, 이건 내가 가치가 없다는 뜻이다, 다시, 나는 이런 것들을 잃을 것이다-,
이런 딱지들을 그대가 조심해야 한다
as you learn to observe, and not be seeking for things to explain themselves,
the more we observe with detachment,
the energy that you put into the crime scene, into the activities,
begins to reflect back to stay in your heart,
and you begin to experience the vibration first, the vibration field,
your experience also, the silence from where witnessing arises in you
그대가 관찰하는 것을 배워갈수록, 그것들이 자신들을 설명하는 것을 찾지 않고,
집착 없이 관찰해 갈수록,
그대가 그 현장에, 활동들에 넣는 에너지가
되돌아가 그대의 가슴 안에 머문다
그대는 처음으로 진동을, 진동의 장을 경험하기 시작한다
그대 안에서 주시가 일어나는 곳으로부터, 그대의 침묵 경험 또한
so initially, it's like we are watching the mind wants to report about something.....................,
all this noise,
but gradually, as you witness or you observe with detachment,
you begin to experience the observing field,
just the sense of being becomes increasingly pronounced more than the activities of the journalistic mind,
you follow?
and something becomes more calm, incidents, accidents seem more distant,
they're not a fact, not because you perceive something means it's true
that you perceive something is true, but it's not necessarily true that what you perceive is truth,
that you experience something, you can say, yeah, this is my experience, that is true,
but you cannot call it true because you experience something doesn't mean that what your experience is truth,
so less of the story telling mind, or rather not just a story telling,
but the interpreting tendencies of the mind,
you begin to observe this, and feel increasingly distance from them,
because they are not truth, they're just possibility of perceiving,
what is true is the place of the perceiver, who is not entangled in object of perception
그러니 처음에는, 우리가 마음을 보고, 마음이 여러 것에 대해 보고하고 싶어하는 것 같다, 온갖 소음,
하지만 점차, 그대가 주시할수록, 혹은 집착 없이 바라볼수록,
그대는 바라보는 장을 경험하기 시작한다
단지 존재하는 느낌이 점점 뚜렷해진다,
보고하곤 하는 마음 활동들 보다는,
이해하는가
그리고 무언가 점점 고요해진다, 사건들이 더 멀어진다
그것들은 사실이 아니다,
그대가 무언가를 인식하는 것이 사실인 것이라서가 아니다
그대가 무언가를 인식하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대가 인식하는 것이 반드시 진리인 것은 아니다
그대가 무언가를 경험하고, 이것이 나의 경험이다 라고 말할 수 있다, 그건 사실이다,
하지만 그대는 그것을 사실이라고 할 수 없다,
그대가 무언가를 경험하는 것이, 그대의 경험이 진리인 것은 아니다
그러니 이야기 하는 마음이 덜어져가고, 혹은 이야기하는 것보다는, 마음의 해석하는 성향이다
그대가 이것을 바라보기 시작한다, 점차 그것들에서 거리를 느끼기 시작한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진리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냥 인식하는 가능성이다,
진짜인 것은 인식하는 자의 자리, 인식의 객체에 얽히지 않은 자이다
'Mooj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가 안 좋은 운을 가졌는가?꿈 꾸어진 자신 (0) | 2019.07.12 |
---|---|
진심으로, 자유롭고 싶은 열망과 경쟁할 수 없다 (0) | 2019.07.11 |
내일을 위한 것이 아니다 (0) | 2019.07.09 |
시간없음 은 얼마나 걸리는지, 시간을 바라보지 않는다 (0) | 2019.07.08 |
죽음의 죽음이다 (0) | 2019.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