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ishnamurti:

 

we all depend on experience to keep us awake,

a challenge, a question

and external influence to keep us awake

naturally for the moment, 

that challenge, that external force keeps us awake for a few minutes

and one goes back to sleep

 

우리는 모두 우리가 깨어 있도록 경험들에 의존한다

시련, 문제에,

외부 영향력이 우리를 깨어 있도록 하게끔

 

당연히 그 순간에는

그 시련, 그 외부의 힘이 우리를 깨어 있도록 한다,

잠시,

그리고 다시 잠으로 돌아간다

 

so one depends constantly on experience to keep awake

and when one realizes that,

you reject all outward stimulus

all outward or inward experience

then one can ask,

can the mind be so intensely alert without experience?

 

그러니 계속해서 경험에 의존한다,

깨어 있기 위해

 

그것을 알아차릴 때

그대는 모든 외부 자극을 거절한다, 

모든 외부 혹은 안으로부터의 경험을

 

그런 다음 묻는다,

경험 없이, 마음이 아주 강렬하게 깨어 있을 수 있는가

 

 

 

 

 

 

 

300x250

 

 

 

krishnamurti:

 

건강 때문에, 뭔가 다른 이유 때문에

흡연을 그만둔다면

사실 그만두는 것이 아니다

동기가 근본적으로 변하지 않았다

 

담배를 피우고 싶다는 욕망이 멈출 수는 있다

하지만 그대는 다른 욕망을 갖는다

그것이 욕망이란 것의 습관인 것을

 

그렇게 그대는 항상 움직인다

다시 같은 지점으로 돌아온다

항상 한 가지를 그만두고, 다른 것을 집어든다

이것이 지금 세상이다

 

그래서

어느 특정 방향으로 투사되는 생각의 움직임,

그리고 그것을 이루려는 것은

인간의 근본적 변형이 아니다


 

what does it mean to change?

and we have always changed from this to that, from that to that,

in the same direction

 

변한다는 건 무슨 뜻인가

 

우리는 항상 이것에서 저것, 저것에서 저것으로 변해왔다

같은 방향 안에서

 

is that change?

we think it is change

but is that basic change?

or that is not change but to have a mind

that has no directional movement at all,

but has movement

 

그것이 변화인가

 

우리는 그것이 변화라고 생각한다

그것이 근본적인 변화인가

 

아니면

변화가 아니지만

방향이 있는 움직임이 전혀 없지만, 움직임을 갖는 마음을 갖는 것이 변화인가

 

why you, human being have not changed?

 

왜 그대, 인간 존재는 변하지 않았는가

 

you may smoke,

that's become a habit

and you know it's very harmful for your health

but you still go on

and you don't say, 'let me observe why i don't drop it'

 

그대는 담배를 피고 있을 수 있다

그것이 습관이 되었다

건강에 아주 해롭다는 것을 안다

하지만 계속 핀다

그리고

'내가 왜 그만두지 않는지, 바라봐야겠다'라 하지는 않는다

 

if you drop it because of your health,

because of some other reason,

you are not actually dropping it

the motive is not to change radically

 

건강 때문에, 뭔가 다른 이유 때문에

그만둔다면

사실 그만두는 것이 아니다

동기가 근본적으로 변하지 않았다

 

why do you smoke?

must have tasted first time rather unpleasant

but people around you smoke

it tastes perhaps good

so the commercial says so

 

왜 담배를 피우는가

처음에는 기분 좋지 않은 맛이었을 건데

 

하지만 주위 사람들이 피운다

아마 괜찮은 거겠지

그리고 광도고 그런 식이고

 

then you get in the habit of it

then doctors come along and say,

'it's very bad for your health'

 

그러면 그대는 그 습관을 얻게 된다

 

그런 다음 의사들이 말한다,

'건강에 아주 나쁘다'

 

and for what reason will you drop somoking?

you're frightened?

 

그 때 그대는 무슨 이유로 흡연을 그만둘까

 

놀라서?

 

the desire to smoke may be stopped

but you have other desires

which has its own habits

 

담배를 피우고 싶다는 욕망이 멈출 수는 있다

하지만 그대는 다른 욕망을 갖는다

그것이 욕망이란 것의 습관인 것을

 

so you are always moving,

come back to the same point

you are always dropping one thing, picking up another,

and this is the modern world

 

그렇게 그대는 항상 움직인다

다시 같은 지점으로 돌아온다

항상 한 가지를 그만두고, 다른 것을 집어든다

이것이 지금 세상이다

 

so we are saying

any movement of thought projected in a particular direction

and achieving that end

is not basic transformation of man

 

그래서

어느 특정 방향으로 투사되는 생각의 움직임,

그리고 그것을 이루려는 것은

인간의 근본적 변형이 아니다

 

 

 

 

 

 

 

 

 

 

 

 

 

 

 

 

 

 

300x250

 

 

krishnamurti:

 

아이가 다치지 않고 교육받을 수 있을까

 

난 교수, 학자들이

아이가 세상에서 살기 위해서는 다쳐야 한다고 말하는 것을 들었다

내가 그에게 물었다,

'당신의 아이가 다치기를 원하는가'

그는 완전히 조용해졌다

그냥 이론상으로 말하는 것이었다


 

we ought to enquire very very deeply the nature of hurt

because a mind that is not hurt is an innocent mind

and you need this quality of innocency

to be so totally attentive

 

우린 상처의 본성을 아주 아주 깊게 탐구해야 한다

왜냐하면 다치지 않은 마음이 순수한 마음이므로

 

이런 특질의 순수가 필요하다

완전히 주의깊기 위해서는

 

from childhood parents compare the child with another child

when you compare, you are hurting

but we do it

therefore is it possible to educate a child without comparison?

and therefore never get hurt in that way

 

어린 시절부터 부모는 아이를 다른 아이와 비교한다

비교할 때, 다치게 하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그렇게 한다

 

아이를 비교 없이 교육하는 것이 가능한가

그래서 그런 식으로는 결코 다치지 않도록

 

and one is hurt

because one has built an image about oneself

the image is a form of resistance,

a wall between you and me

and when you touch that wall at its tender point, i get hurt

 

그리고 다치는 것은,

자신 주위에 이미지를 쌓아올렸기 때문이다

이미지는 저항의 한 모습이다

너와 나 사이의 벽이다

그것을 건드리면, 약한 부분을, 

난 다친다

 

so not to compare in education

not to have an image about oneself

that'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life

if you have, you are inevitiably going to get hurt

 

그래서 교육에서 비교하지 않는다

자신 주위에 이미지를 갖지 않는다

그것이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들 중 하나다

그대가 이미지를 갖고 있다면,

다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so can a child be educated  never to get hurt?

and i have heard professor, scholars say,

a child must be hurt in order to live in the world

and when i asked him, 'do you want your child to be hurt?'

he kept absolutely quiet

he was just talking theoretically

 

아이가 다치지 않고 교육받을 수 있을까

 

난 교수, 학자들이

아이가 세상에서 살기 위해서는 다쳐야 한다고 말하는 것을 들었다

내가 그에게 물었다,

'당신의 아이가 다치기를 원하는가'

그는 완전히 조용해졌다

그냥 이론상으로 말하는 것이었다

 

unfortunately through education, through social structure,

and the nature of our society in which we live,

we have been hurt, 

we have images about ourselves, which are going to be hurt,

 

불행하게도 교육, 사회 구조,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의 성질을 통해

우리는 다쳐왔다

우리를 둘러싼 이미지를 갖고 있다, 다칠 것인 것을

 

and is it possible not to create images at all?

if i have an image, is is possible to wipe it away?

to understand it and therefore dissolve it

and never to create a new image about oneself

 

이미지를 전혀 만들어내지 않는 것이 가능한가

 

내가 이미지를 갖고 있다면, 그것을 지우는 것이 가능한가

그것을 이해하고, 그래서 사라지도록

그리고 자신에 관해 다시는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내지 않도록

 

living in a society, being educated,

i have built an image inevitably

can that image be wiped away?

 

사회에서 살면서, 교육 받으면서,

피할 수 없이 이미지를 만든다

그 이미지는 지워질 수 있는가

 

it would totally disappear

but i must understand how this image is born

i can't just say, 'i'llwipe it out'

use attention as means of wiping out, it doesn't work that way

 

완전히 사라질 것이다

하지만 이 이미지가 어떻게 생겨나는지 이해해야 한다

그냥 '지우겠다'라 말할 수 없다

지우는 수단으로 주의를 주는 식으로는 되지 않는다

 

in understanding the image,

in uderstanding the hurts,

in understanding the education

in which one has been brought up

in the family, in the society, all that,

in understanding of that,

out of that understanding comes the attention

 

가족에서, 사회에서, 그런 모든 것에서,

그가 자라온

그 이미지를 이해하는데서

그 상처를 이해하는데서

교육을 이해하는데서

 

그 이해에서 주의가 나온다

 

not the attention first, 

and then wipe it out

you can't attend iif you're hurt

if i am hurt, how can i attend?

because the hurt is going to keep me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from this total attention

 

주의를 주는 것이 먼저가 아니다

주의를 주어 지우는 것이 아니다

 

그대가 아프다면 주의를 줄 수 없다

내가 아픈데, 어떻게 주의를 주겠는가

그 아픔이 나를

완전히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

막을 것인데

 

 

 

 

 

 

 

 

 

 

 

 

 

 

 

 

 

 

 

 

 

 

 

 

 

 

 

 

 

 

300x250

 

 

krishnamurti :

 

자신에 대한 책임이 있다

다른 누군가에게가 아니라

 

책임이란

 

결국 인간은 지금 완전히 이기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책임을 질 때

평화롭게 살기 위해서는 이 이기성을 끝내야 한다는 것을 본다

그것이 책임이다


 

what is the function of an organization?

to help man

but man uses the organization for his power, position, money and so on

 

조직의 기능은 무엇인가

사람들을 돕는 것이다

하지만 인간은 조직을, 그의 권력, 지위, 돈 등을 위해 사용한다

 

man is always craving to be free

there's the deep psychological demand to be free from all the problems,

fear, suffering,

not only physical but psychological suffering

free from his depressions, anxieties

 

인간은 항상 자유롭기를 열망한다

모든 문제들로부터 자유롭고 싶은

깊은 심리적 요구가 있다

두려움, 고통에서

육체적인 것 뿐 아니라 심리적인 고통에서도

우울, 근심들로부터 벗어나기를 열망한다

 

and in seeking to be free,

they get trapped into some kind of religious organizations

or some kind of political theory

apparently man has become so insensitive

they cannot see the traps

 

자유로우려 하는 중에,

그들은 종교적 조직이나 정지적 이론에 갇힌다

인간은 아주 둔감해진 것 같다

속임수들을 보지 못한다

 

he may recognize it, but he's caught in it

i think we all agreed that man in this confusion, uncertainty,

is seeking security

not only physical security,

but much more psychological security, inner security

and he has tried religion,

he has tried the security of nationalities,

he has tried following some guru

 

알아차리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 안에 잡혀 있다

 

나는 우리 모두가

이 혼란, 불확실함에서

안전함을 찾고 있다는데 동의한다고 생각한다

육체적 안전 뿐 아니라,

심리적 안전, 내면의 안전을 훨씬 더

 

그래서 종교를 시도해 본다

국가의 안전을 시도해 본다

스승을 따르기도 해 본다

 

but he hasn't been able to find it

so he creates an illusion

a belief is an illusion

he hopes to find there some kind of security

but security can only exist in freedom and in intelligence

 

하지만 발견할 수 없었다

그래서 환영을 만들어낸다

환영에의 믿음

거기에서 뭔가 안전함을 찾기를 바란다

 

하지만 안전함은

자유에서, 지성에서 존재할 수 있을 뿐이다

 

all religions have said that

love your enemy, don't kill, live peacefully,

and none of them follow this

 

모든 종교가,

그대의 적을 사랑해라, 죽이지 마라, 평화롭게 살아라 라 말해왔다

그리고 누구도 이것을 따르지 않는다

 

'belief that you must not kii?'

 

'죽이지 않아야 한다는 -믿음-은 어떤가'

 

but it's not a belief, it's a fact, don't kill

why do you want a belief?

because you have made it a belief, it has become a concept

you don't have to believe in not killing

 

하지만 그건 믿음이 아니다, 사실이다, 죽이지 마라

왜 믿음을 원하는가

믿음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개념이 되었다

죽이지 않는 것에 믿음이 있을 필요가 없다

 

man is not responsible not to hurt nature

but he is responsible to see that he lives correctly

then he can have a peaceful world

 

인간은 자연을 다치게 하지 않는 것에 책임을 지지 않는다

하지만 그가 제대로 사는지 보는 것에 책임을 져야 한다

그래야 평화로운 세상일 수 있다

 

so what is important is to understand yourself

because you as a human being suffer, lonely, fear, anxiety, depression, 

that's the common psychological

so basically we are one human being

so each one of us is responsible to bring about transformation in himself,

which is to end fear,

not to belong to any nationality

 

그래서 중요한 것은

그대 자신을 이해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한 인간 존재로서 그대는,

외로움, 두려움, 걱정, 우울 등을 겪는다

심리적으로 공통된 것이다

 

기본적으로 우리는 하나의 인간 존재다

그래서 우리 각자,

자신 안에서 변형을 일으킬 책임을 갖는다

두려움을 끝내는 것이다

어떤 국적에도 속하지 않고

 

to understand himself,

which is knowing his conflict and dissolving

he must be responsible to himself, not to somebody else

 

자신을 이해한다는 것은,

자신의 갈등과 해소를 아는 것이다

자신에 대한 책임이 있다, 다른 누군가에게가 아니라

 

responsibility means,

after all man is now action selfishly totally

and when he's responsible,

he sees that this selfishness must end in order to live peacefully

that is his responsibility

and he's unwilling to take that responsibiliity

 

책임이란

 

결국 인간은 지금 완전히 이기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그리고 책임을 질 때

평화롭게 살기 위해서는 이 이기성을 끝내야 한다는 것을 본다

그것이 책임이다

그 책임을 지려 하지 않고 있다

 

 

 

 

300x250

'Krishnamurti'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욕망의 습관  (36) 2025.08.09
다치지 않는 마음이 순수한 마음  (17) 2025.07.27
행동이란 무엇인가, 라 질문해봐야 한다  (36) 2025.07.22
'우리 둘 다 다쳤다, 보자'  (22) 2025.07.16
어느 누구를 사랑하는가  (13) 2025.07.10

 

 

krishnamurti :

 

one must as this essential question

what is action?

 

이 본질적 질문을 해봐야 한다

행동이란 무엇인가

 

is it repetition?

is it imitation?

is it an adjustment between 'what is' and 'what should be' or 'what has been'?

 

반복하는 그것인가

모방하는 것인가

 

'있는 것'과

'있어야 하는 것' 혹은 '있어 왔던 것'

그 사이에서 조절하는 것인가

 

or is it a conformity to a pattern?

or to a belief or to a formula?

 

아니면 패턴에의 순응인가

아니면 믿음이나 공식에 따르는 것인가

 

if it is, then inevitably there must be conflict

because idea-action : there is an interval,

a lag of time between the two

and in that interval, a great many things happen

a division in which other incidients take place

 

그렇다면

피할 수 없이 갈등이 있게 된다

생각-행동 :

간격이 있다

둘 사이 시간 차가 있다

 

그 간격에서 많은 것들이 일어난다

그 분리로, 다른 것들이 일어난다

 

 

300x250

 

krishnamurti :

 

so when the educator realizes,

he is hurt and the child is hurt,

he is aware of he's hurt

and he is aware also of the child's hurt,

then the relationship changes

 

교육자가 이렇게 알아차릴 때,

 

그 자신이 상처 받았고

저 아이가 상처 받았다,

 

그 자신의 상처를 인식하고

저 아이의 상처 또한 인식한다,

 

그러면 관계가 변한다

 

then he in the very act of teaching,

whatever it is,

he is not only freeing himself from his hurt,

but also helping the child to be free of his hurt

 

그가 가르치는 것이

무엇을 가르치든,

그는 그 자신을 그의 아픔으로부터 자유롭게 할 뿐 아니라

아이가 그 자신의 상처로부터도 자유롭도록 돕는다

 

after all

that is education

 

결국

그것이 교육이다

 

to see that i,

who am the teacher,

i am hurt, i have gone through agonies of hurt,

and i want to help that child not to be hurt,

and he has come to the school being hurt,

so i say, all right, we both are hurts, my friends,

let's see, let's help each other to wipe it out

 

내가,

선생님이,

 

내가 상처 받았다,

아픔의 고통을 겪었다,

그리고 난 저 아이가 아프지 않도록 돕고 싶다,

아이는 다친 채 학교에 오고 있다

나는,

그래 좋다, 우리 둘 다 다쳤다,

보자, 서로 상처가 다 떨어져 나가도록 돕자 

 

 

 

300x250

 

 

krishnamurti : 

 

사랑하는가?

봐봐라


 

you may love your dog

but the dog is your slave

apart from animals and buildings and books,

and poetry and the love of the land,

do you love anybody?

 

그대는 그대의 개를 사랑할지 모르겠다

하지만 그 개는 그대의 노예다

동물, 건물, 책, 시, 땅에 대한 사랑 외

그대는 누구를 사랑하는가

 

which means not asking anything in return

just listen, find out

 

되돌려 받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귀 기울여 들어라

봐봐라

 

not asking anything from that peron you love

not dependent on that person at all

because if you are dependent, fear begins

jealousy, anxiety, hatred, anger

 

그대가 사랑하는 그 사람에게서의 어떤 것도 요구하지 않는다

그 사람에게 전혀 의존하지 않는다

의존한다면, 두려움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질투, 근심, 증오, 분노가

 

 

 

 

300x250

 

krishnamurti :

 

사실이 아닌 것을 보고, 사실이 아닌 것을 제거하는 것이 지성이다

 

국가주의가 파괴적이라는 것을 본다

그것을 인식하는 것이 지성이다

 

이 온 종교적 구조, 인간이 만들어 낸 것,

그 의식, 옷,

생각이 만들어 낸 것이다

그것은 종교가 아니라는 것을 보는 것

그것이 지성이다

 

그래서

발견하는 것이다

거짓이라 들어서가 아니라, 그것을 보는 것이다

그것에 뭔가를 하는 것이 아니다,

그냥 바라보는 것이다

허위라고 인식하는 그 자채로 허위는 부인된다

그것에 대항해 싸울 것 없다

 

그렇게 본다,

한 걸음 한 걸음,

지성의 방식이 작용한다


 

so security,

 

as long as i live in isolation,

there must be uncertainty

from that uncertainty comes the desire to be secure

the cause is,

thought has brought about the sense of division

and thought has brought about this isolation

and where there is isolation, there is total insecurity

and being insecure, the urge to be secure

 

그래서 안전함이란

 

분열되어 사는 한,

불화실성이 있다

 

그 불확실에서,

안정되고 싶다는 욕구가 나타난다

 

원인은,

생각이 분리감을 일으킨다

그리고 생각이 소외를 가져온다

소외가 있는 곳에, 불안은 있게 된다

불안해서, 안전하고 싶다

 

now to see this whole thing,

as you would observe a beautiful mountain without any reaction, just watch,

when you so observe, the very cause disappears

because it is so

it is so a fact that thought has about this isolation

having brought it about, there is confusion, conflict, isolation

and therefore in that isolation, there can be no security

therefore i seek some

 

이제,

이 전체를 봐라

 

그대가 아름다운 산을, 어떤 반응도 없이 그냥 바라본다면

그렇게 바라볼 때, 원인이 사라진다

 

그건 그러하므로

생각이 소외를 일으킨다는 건 너무 사실이다

그래서 혼동, 갈등, 고립이 있다

그 고립에서, 안정감이 있을 수 없다

그래서 뭔가를 찾는다

 

if one remains with the fact completely,

then the causation doesn't create an effect

 

그 사실과 완전히 머문다면

원인이 효과를 만들어내지 못한다

 

we are wanting to change the effect

but not see the cause and let the cause disappear

 

우리는 결과를 바꾸고 싶어한다

하지만 원인을 보고, 원인이 사라지도록 하지 않는다

 

from this one begins to inquire,

what is intelligence?

because this is intelligence

to see the false and discard the false is intelligence

 

이것에서 누군가 탐구를 시작한다

지성이 무엇인가

 

이것이 지성이다

사실이 아닌 것을 보고, 사실이 아닌 것을 지우는 것이 지성이다

 

i see and there is perception that nationalism is destructive,

to perceive that is intelligence

i perceive this whole religious structure which man has built,

with all the rituals, dresses, - thought has built it,

and to see the fact that it is not religion is intelligence

 

국가주의가 파괴적이라는 것을 본다

그것을 인식하는 것이 지성이다

 

이 온 종교적 구조, 인간이 만들어 낸 것,

그 의식, 옷,

생각이 만들어 낸 것이다

그것은 종교가 아니라는 것을 보는 것

그것이 지성이다

 

now proceed that way, going more and more deeply,

you will see that we live in a world that is so impractical, utterly unintelligent

to see that,

not just verbally say it is unintelligent

 

이제 그것에서 더 나아가라

점점 더 깊이 깊이

 

우리가 아주 비실용적이고, 아주 비지성적인 세상에서 살고 있는 것을 볼 것이다

그것을 보는 것이다

단지 그렇다고 말로만 하는 것은 비지성적이다

 

so to discover, not to be told, what is false, what is illusory

to see it, not to act upon it, just to see it

the very perception of the false denies the false

i don't have to fight against it

 

그래서 발견하는 것

가짜라고 들어서가 아니라

보는 것이다

그것에 뭔가를 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바라보는 것

가짜라고 인식하는 그 자채로 가짜는 부인된다

그것에 대항해 싸울 것 없다

 

so i see, step by step,

the way of intelligence is acting

 

그렇게 본다,

한 걸음 한 걸음,

지성의 방식이 작용한다

 

 

 

 

 

300x250

'Krishnamurti'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둘 다 다쳤다, 보자'  (22) 2025.07.16
어느 누구를 사랑하는가  (13) 2025.07.10
노력이 있을 때 왜곡이 일어난다  (27) 2025.06.10
쌓아두지 않고 바라볼 수 있는가  (18) 2025.06.08
되어간다는 무엇인가  (20) 2025.05.25

 

 

krishnamurti :

 

노력이란

나 그리고 내가 도달하려는 무언가인 것이다

나와 그것 사이의 분리다

그 분리는 갈등을 일으키게 되어 있다

 

분리가 없을 때, 갈등 없다

그래서 갈등이 완전히 끝날 때

그 때 명상이 온다


what is the meaning and the significance of life?

if there is any at all

if we say there is, you have already committed yourself to something

therefore you cannot examine

you already started with distortion

 

삶의 의미,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있다면

 

우리가 있다고 말한다면

이미 무언가인 것에 자신을 맡겨버리는 것이다

그래서 조사할 수 없다

이미 왜곡과 함께 시작했다

 

or you say, there is nothing, no meaning to life,

that also is a form of distortion

 

아니면 삶에 의미는 없다, 아무것도 없다고 한다,

그것 또한 왜곡의 한 모습이다

 

so one must be completely free of both

both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assertions

this is the real beginning of meditation

when you do not demand any experience, 

there is no distortion, and therefore no illusion,

then only the mind being free is capable of looking at itself

looking at itself without any distortion

 

그래서 둘 다에서 완전히 자유로워야 한다

긍정적인 확신, 그리고 부정적인 확신 둘 다에서

이것이 명상의 진짜 시작이다

어떤 경험도 요구하지 않을 때,

왜곡 없다

그러므로 환영 없다

 

그 때 자유로워진 마음이

그 자신을 바라볼 수 있다

어떤 왜곡도 없이

 

distortion takes place when there is effort

effort implies me and something i'm going to achieve

division between me and that

that division invariably brings conflict

where there is divison, there must be conflict

and so meditation comes only when there is complete ending of conflict

 

노력이 있을 때 왜곡이 일어난다

노력이란

나 그리고 내가 도달하려는 무언가인 것이다

나와 그것 사이의 분리다

그 분리는 갈등을 일으키게 되어 있다

분리가 없을 때, 갈등 없다

 

그래서 갈등이 완전히 끝날 때

그 때 명상이 온다

 

therefore every other form of meditation

where there is effort, practice, control 

has no meaning

 

그래서

노력, 연습, 통제가 있는

다른 모든 명상이란 모습은

의미 없다

 

 

300x250

'Krishnamurti'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느 누구를 사랑하는가  (13) 2025.07.10
거짓인 것을 포기하는 것이 지성이다  (22) 2025.06.23
쌓아두지 않고 바라볼 수 있는가  (18) 2025.06.08
되어간다는 무엇인가  (20) 2025.05.25
생각이 지성인가  (13) 2025.05.06

 

 

krushnamurti :

 

이름 붙이지 않고 바라보는 것

 

왜냐하면 이름 붙이기, 아는 것, 경험한 것이란

마음이 전체로 바라보지 못하게 한다

 

그대가 그 순간에 깨어 있지 않다면

그것이 얼마나 어려워지는지 봐라


 

can the mind observe without accumulating?

and the accumulation is the observer, is the censor, is the contidioned identity

therefore to look without accumulating

 

마음은

쌓아두지 않고 바라볼 수 있는가

쌓아두는 것은 바라보는 자다,

검열하는 자다, 조건화된 동일시다

 

쌓아두는 것 없이 바라보는 것이란

 

someone flatters you, says, how nice you are

or how stupid you are

now can you listen to what he is saying

that you are stupid or very cleaver, --

can you listen without accumulation?

 

누군가가 그대를 칭찬한다, 그대가 얼마나 멋진지

혹은 멍청하다 하거나

 

그가 말하는 것을 들을 수 있는가

쌓아두는 것 없이

 

that is,

without accumulating the insult or the flattery

because of you listen with accumulation, 

then he becomes your enemy

or your friend

 

모욕이나 칭찬을 모아두는 것 없이

 

왜냐하면 그대가 모으며 듣는다면,

그는 그대의 적이 된다

혹은 그대의 친구다

 

therefore that listening and how you listen creates the image

and that image separates

and that image is the cause of conflict

you believe and another dose not believe,

so there is contradiction

 

그렇게 듣는 것,

그대가 어떻게 듣는지가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그리고 그 이미지가 분리한다

그 이미지가 갈등의 원인이다

그대는 믿는 그림, 다른 자는 믿지 않는다

그렇게 충돌이 있다

 

so can you observe without separation?

can you observe at the moment of violence,

and the moment of your anger,

without the censor?

 

분리 없이 바라볼 수 있는가

폭력의 그 순간에, 그대가 화 나는 그 순간에,

검열 없이,

바라볼 수 있는가

 

see how difficult it becomes if you're not aware at the moment

if you are not aware at that moment, 

you have already created the image

 

그대가 그 순간에 깨어 있지 않다면

그것이 얼마나 어려워지는지 봐라

그대가 그 순간에 인식하지 않는다면,

그것으로 이미 이미지는 만들어졌다

 

just to observe without  naming it

because the naming, the knowledge, the experience,

prevents the mind from observing totally

so when the mind can look without the observer,

all fragments come to an end

in oneself

 

이름 붙이지 않고 바라보는 것

 

왜냐하면 이름 붙이기, 아는 것, 경험한 것이란

마음이 전체로 바라보지 못하게 한다

 

마음이 바라보는 자 없이 바라볼 수 있을 때

모든 분열이 끝난다

그 자신 안에서

 

and this is really important to grasp

and this cannot be taught by another

 

이것은 이해해야 할 정말 중요한 것이다

그리고 다른 이에 의해 가르쳐질 수 없다

 

 

 

300x25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