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hart tolle :
there is this beautiful saying,
'if ego weeps for what it has lost, the spirit rejoices what it has found'
이런 아름다운 말이 있다
'잃은 것에 대해 에고가 울 때,
얼 은 발견한 것에 기뻐한다'
the ego of course is happy when something is added that provides the comfort
물론 에고는 안락함을 주는, 무언가가 더해질 때 행복하다
so the mastery of life is so to speak,
you pursue life on this level where these things are fine,
there's nothing wrong with adding here and there not in an obsessive way,
because that makes even more frustrated,
but improving your life
and when these things happen to disrupt,
things happen that seem to diminish who you are
그래서 말하자면 삶의 숙달이란,
그대가 이런 정도의 삶을 추구한다면, 뭐 괜찮다,
강벅적이지 않게, 여기 저기 뭔가가 더해지는 것에 잘못된 것은 없다
왜냐하면 그것은 더욱 좌절하게 만드는 것이므로
삶을 낫게 해 나가는데
이런 것들이 무너져 내릴 때,
그대를 쭈그러들게 하는 것 같은 것들이 일어난다
even an insult by somebody
'you silly man, are you stupid?'
and insult is a kind of diminishment to the ego
and diminishment is one manifestation of being taken out of your comfort zone, the egoic comfort zone
everybody sooner or later will encounter diminishments
also the opposite
it's the two part of life
you gain and then you lose
누군가가 모욕을 하는 것 또한
'멍청한 것, 너 바보냐'
모욕은 에고에게는 일종의 쭈그러짐이다
그리고 쭈그러지는 것으로, 그대의 안락한 지대에서, 에고의 안락한 지대에서 나오게 된다
모두가 마주할 것이다
그 반대로도 (에고의 확대)
삶의 두 부분이다
얻은 다음, 잃는다
once you know that this is how life functions that the two are there
and also you know that ultimately,
because you're going to grow old,
you as this form is going to dissolve
no matter how successful you've been in life,
suddenly or gradually you experience the diminishment
이것이 삶이 작동하는 방식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
왜냐하면 결국,
그대는 늙어갈 것이므로,
이 형상은 무너질 것이다
그대가 삶에서 얼마나 성공했든
갑자기 혹은 점차 그대는 쭈그러드는 것을 경험한다
and even your trophy wife in the meantime has become old
so that doesn't work anymore either
그러는 중에, 자랑할 만한 부인 또한 나이가 든다
더는 내세울 수 없다
when you think you finally arrived,
that's the beginning of all the diminishments
마침내 도달했다고 생각할 때
그것은 쭈그러듦의 시작이다
but that's also a great opportunity
fianlly if you arrive at an old age, who knows where the potential opening is still there
in some old people, the ego shell has become so rigid that there is no opening
and when finally disease comes or death approaches,
it's the crack that finally appears might be too late
but some old people who become more entrenched in their egos,
and others begin to transcend the ego
하지만 큰 기회이기도 하다
결국 늙은 나이에 이르는데도, 뭔가가 열릴 수 있다
어떤 이들의 경우, 에고 껍데기가 아주 단단해져서, 열리지가 않는다
결국 병이 오거나 죽음이 다가올 때,
그것이 틈이다,
너무 늦은 것처럼 보일
하지만 다른 이들의 경우, 그들의 에고를 변형시키기 시작한다
and then there are others who whether this spiritual background or not,
whether they have already explored spirituality when old age comes,
they come to the place of acceptance
and they become more compassionate, more loving, even more joyful,
and something a light shines through
they become a little bit like children
but that's that kind of openness of a child
a child that's not yet burdened with excessive conceptualization in their minds
they're just able to look at something,
you're not immediately imposing conceptualization on things and people
이런 영적인 배경이든 아니든,
이미 영적인 것을 경험했든 아니든,
나이 들어서, 그들은 받아들임의 자리에 이른다
더 자비로워지고, 더 사랑하고, 훨씬 더 기쁘기까지
뭔가 빛이 나온다
그들은 좀 아이들과 같이 된다
아이의 열려 있음과 같은
마음에 아직 과도한 개념들을 지고 있지 않은
그들은 보는 것들, 사람들에 바로 개념을 씌우지 않는다
i've met some old people in the 80s, 90s who go just shining
and many of them have experienced, they have gone through diminishments,
they have lost things
and at some point, whether through spiritual teaching or simply through life,
they've come to a plce of cooperating with the diminishments,
with the sabotages that life seem to inflict on you
'oh here's another one'
그런 80대, 90대들을 만난 적 있다
그저 빛나는
그들 중 많은 이들이 쭈그러짐을 경험했다, 잃은 것들이 있다
그리고 어느 지점에서,
영적 가르침을 통하든, 단순히 삶을 통해서든,
그들은 쭈그러짐과 협조하는 자리에 이르렀다
삶이 그대에게 가하는 해로움과
'오 이거 또 그거다'
and at some point, they learn to even welcome
'oh thanks, i lost this, thank you'
그러다 어느 지점에 이르면, 그들은 심지어 환영하는 법을 습득한다
'오 고맙다, 이것도 놓게 되네, 좋다 고맙다'
'Eckhart Tol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서, 아주 주의해야 하는 것이다 (28) | 2025.03.29 |
---|---|
공간의 존재처럼 삶을 움직여 다닌다 (42) | 2025.03.02 |
다다르고 싶은 결과란, 생각이다 (52) | 2025.02.27 |
알지 못하는 것에 편안하게 되는 것 (39) | 2025.02.23 |
진실한 안내가 할 말 (34) | 2025.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