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hart tolle :

 

부정적 생각, 에너지는 말하자면 다른 파장을 갖는다

(나 고통스럽다)는 한층 더 부정적 생각을 찾는다

왜냐하면 그것을 통해 그 자신을 강화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들의 삶에서 고통으로, 비극으로 들어선다

그것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알아차리지 못하고

 

그들이 그것을 알아차린다면,

배경에 자각을 갖고 있다면

 

다음 시련은,

일어나는 그 순간에 자각하는 것이다

 

일어나는 감정은 엄청난 에너지를 갖는다

그리고 쉽게 그대의 자각을 다시 덮어버릴 수 있다

 

그래서 많은 경계가 필요하다

 

자각의 현존의 힘에서 그대가 성장할 것이다

현존을 통해 씌여진 강력한 영적 책을 읽거나

영적 이야기를 듣는 것으로도,

 

그런 다음 그대의 일상에서 현존을 연습한다,

그대가 시련을 겪지 않을 때


 

the pain body needs to reexperience emotional pain through drama

and whoever comes up first in,

it's always recognizable by being an overreaction to something

but the person who displays the pain body does not know it's an overreaction

to the pain body, it's totally natural reaction

 

(나 고통스럽다)는

드라마-자기 이야기-를 통해 감정적 고통을 다시 경험한다

무언가에 과잉 반응을 하는 것으로 알아차릴 수 있다

하지만 그 사람은 그것이 과잉 반응이라는 것을 알지 못한다

완전히 당연하다는 반응이다

 

your pain body is suspeptible to resonate with

if you live alone, then the pain body has a little problem, 'what am i going to feed on?',

'i can't have drama with myself or can i?'

yes, you can

you can have drama in your mind

you can have a stream of a destructive and negative thoughts in your mind

either about yourself or other

they may not be here, but you have thoughts about them

 

그대의 (나는 고통스럽다) 부분은,

영향받기 쉽다

혼자 산다면, (나는 고통스럽다) 부분은 문제가 적다

 

'그것에 무슨 먹이를 줄까'

'나 자신과 드라마를 가질까, 그럴 수 있을까'

 

물론 그럴 수 있다

그대의 마음에 드라마를 가질 수 있다

그대의 마음에, 파괴적이고 부정적인 생각의 흐름을 갖고 있을 수 있다

그대 자신에 관한 것이거나 다른 것에 관한 것이거나

그것들은 여기에 있지 않을 것일 수도 있다,

하지만 그대가 그것들에 대한 생각을 갖는다

 

if there's nobody around the pain body can feed on through negative emotion,

it will feed on negative throught streams

this is where the addiction to negative thinking comes from

there are people who are actually addicted to negative thinking

because the negative thinking is used by the pain body to feed on

because thought is energy

the pain body is an energy form

 

(난 고통스럽다)와 관련해서, 부정적인 감정으로 양분을 줄 수 있는

다른 이가 없다면,

그것은 부정적인 생각의 흐름을 먹이로 먹을 것이다

여기에서 부정적 생각에의 중독이 나온다

실제로 부정적 생각에 중독되어 있는 사람들이 있다

부정적 생각은 (나 고통스럽다)의 먹이이므로

 

생각은 에너지다

(나 고통스럽다)도 에너지 형상이다

 

and negative thought, energies has different frequencies, sot o speak

and pain body seeks further negative thinking

because it strengthen itself through that

so people get into terrible suffering, misery in their lives,

not realizaint how it arises

if they knew how it arises, if there were some awareness in the background

 

그리고 부정적 생각, 에너지는 말하자면 다른 파장을 갖는다

(나 고통스럽다)는 한층 더 부정적 생각을 찾는다

왜냐하면 그것을 통해 그 자신을 강화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들의 삶에서 고통으로, 비극으로 들어선다

그것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알아차리지 못하고

 

그들이 그것을 알아차린다면,

배경에 자각을 갖고 있다면

......................

 

the next challenge is to be there when it happens in the moment

the emotion that comes up has enormous energy,

and can easily obscure your awareness again

so it requires a  lot of vigilance

 

다음 시련은

일어나는 그 순간에 자각하는 것이다

 

일어나는 감정은 엄청난 에너지를 갖는다

그리고 쉽게 그대의 자각을 다시 덮어버릴 수 있다

 

그래서 많은 경계가 필요하다

 

you will have grown in presence power

even by reading a powerful spiritual book that has been written through presence

or listening to a spiritual talk,

then practicing presence in your daily life when you are not being challenged

 

자각의 현존의 힘에서 그대가 성장할 것이다

현존을 통해 씌여진 강력한 영적 책을 읽거나

영적 이야기를 듣는 것으로도,

 

그런 다음 그대의 일상에서 현존을 연습한다,

그대가 시련을 겪지 않을 때

 

don't wait until you're being challenged to practice presence

but a challenge of course is a little alarm bell that says,

this is your opportunity to wake up and to be present

but don't wait for the alarm bell

because the alarm bell is not going to wake you up 

if you haven't praticed presence when you're not being challenged

 

현존을 연습하도록 시련에 처해질 때를 기다리지 마라

물론 시련은 작은 알람벨이다

'이것은 그대가 깨어날 수 있는 기회다, 현존에 있을 때다'라는

 

하지만 알람벨을 기다리지 마라

왜냐하면 알람벨은 그대를 깨어나게 하지 못한다,

그대가 시련을 겪지 않고 있을 때, 현존을 연습하는 것이 아니라면

 

 

 

 

 

 

 

 

300x250

 

 

echart tolle :

 

우리 문명은 개념화와 에고에 의해 지배되어 있다

 

모든 곳에 에고 존재들이 있다

개인들 뿐 아니라 덩어리들이

가령 미국 방송국으로 말하면, cnn 은 에고 존재다, fox 는 에고 존재다,

정당이 에고 존재다

기업이 집단 에고 존재다

그런 그들이 도처에 있다


 

when you look at the tree,

knowing that it is an olive tree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you're not trapped in a concept

you're still able to let go of the concept, and then look at the tree

and be still while you look

 

그대가 나무를 바라볼 때

가령 올리브 나무다 라고 안다,

그렇다고 그대가 꼭 개념에 갇힌 것은 아니다

여전히 개념을 놓고, 나무를 바라볼 수 있다

그리고 바라보는 동안, 고요히

 

and then you know the tree not through concepts,

but you can sense the life of the tree,

deeper knowing

our civilization dislikes that

because our civilizations are dominated by conceptualization and the ego

 

그러면 개념을 통해 나무를 아는 것이 아니라

나무의 생명을 느낄 수 있다

더 깊은 앎이다

 

우리 문명은 그런 것을 싫어한다

우리 문명은 개념화와 에고에 의해 지배되기 때문이다

 

there are egoic entities everywhere

not just individual egos but egoic entities

cnn is an egoic entity, fox is, you talk about american tv station in case,

political party is,

a corporation is egoic collective entity

they're everywhere

 

모든 곳에 에고 존재들이 있다

개인들 뿐 아니라 덩어리들이

가령 미국 방송국으로 말한다면, cnn 은 에고 존재다, fox 는 에고 존재다,

정당이 에고 존재다

기업이 집단 에고 존재다

그런 그들이 도처에 있다

 

 

you can sense the being of the tree, the presence of the tree

and you know it in a much deeper way

deeper than what your senses tell you about the tree

 

그대는 나무의 존재를 느낄 수 있다, 나무의 현존

그러면 훨씬 더 깊은 방식으로 나무를 안다

그대의 감각이 나무에 대해 말하는 것보다 더 깊은

 

all cultures and civilizations had more access to that dimension

because conceptual mind has not quite developed yet, 

so there are still some room for sensing to knowing things at a deeper level

when you look at the tree and you're still,

there is an intelligence there but it's not what we conventionally call it intelligence

there's a different kind of intelligence

and this is the beginning of the wisdom where intelligence turns into wisdom

wisdom is associated with this deeper way of knowing

 

모든 문화, 문명이 그런 차원에 보다 접근했던 적 있다

개념적인 마음이 아직 많이 발달하지 않았던 

그래서 아직 더 깊은 단계에서 느끼고 알 수 있는 공간이 있었다

 

나무를 볼 때, 

그대는 고요히

 

지성이 있다, 하지만 으레 지성이다 라 하는 그것이 아니다

다른 종류의 지성이 있다

이것이 지혜의 시작이다, 지성이 지혜로 변하는

지혜는 이렇게 더 깊이 아는 방식과 연결되어 있다

 

so you sense the aliveness of the tree, its beingness

then you come to that what ancient cultures knew

and we have to use that word,

the fringe of god so to speak

you sense the sacredness of the tree

you sense the sacredness of this life forms

then what arises is certain respect for the life from of the tree

 

그대가 나무의 생동감을 느낀다, 그 존재를 느낀다

그러면 고대 문화가 알던 것에 닿는다

 

그 말을 써야겠다, 

말하자면 신의 경계

 

그대는 나무의 신성함을 느낀다

이 생명 형상의 신성함을 느낀다

그러면 일어나는 것은, 나무의 삶의 형상에 대한 어떤 존경이다

 

 

 

 

 

300x250

 

 

echart tolle :

 

does the brain produce consciousness?

the other possibility is that the brain receives consciousness,

and channels consciousness into particular form,

then creates your experience of the world and creates you

that conscoiusness is the organizing principle behind the formation of the brain

 

뇌가 의식을 만들어낼 수 있을까

 

뇌가 의식을 받아들인다 가 다른 가능성이다

의식이 뇌를 통과해, 특정한 형상으로

 

그대의 세상 경험을 만들고,

그대를 만든다

 

의식이

뇌의 형성 뒤에 있는, 조직하는 원리다

 

in the same way that a radio or a television does not produce the program that you watch

i can destroy the television set,

it's no longer functioning as a receiver

 

같은 식으로, 라디오나 텔레비전이 그대가 보는 프로그램을 만들지 않는다

텔레비전을 부술 수 있다,

그건 더 이상 수신기로 작용하지 않는다

 

and science will come to that realization

and there are already some scientists who have enough courage to question conventional interpretations,

and it's usually scientist who are approacing retirement age

because before reaching retirement age, 

it would be too destructive for their career to go outside the mainstream interpretations

but once you reach retirement, you got nothing to lose, you can speak out

 

과학은 그것을 알아차리게 될 것이다

이미 기존의 해석들에 의문을 제기할 만큼 용기 있는 과학자들이 좀 있다

대개 은퇴하는 나이 즈음의 이들이다

그 이전에는, 주류의 해석 밖으로 나가는 것이, 그들의 경력에 너무 위험한 것일 것이므로

하지만 은퇴가 다가올 때는, 잃을 것이 없다, 말할 수 있다

 

so the greatest mystery in the entire universe

is the fact that the universe is conscious

how do i know that

well it's self-evident, i'm consicous

if i'm conscious, it means the universe is consicous

i am the universe

 

그래서 온 우주에서 가장 큰 신비는

우주는 의식적이라는 사실이다

나 는 그것을 어떻게 아는가

자명하다, 나 라는 것이 의식적이다

나 가 의식적이면, 우주가 의식적이란 뜻이다

나 가 우주다

 

the only thing that you cannot question

 

그대가 의심할 수 없는 유일한 것이다

 

 

300x250

 

 

echart tolle :

 

there is this beautiful saying,

'if ego weeps for what it has lost, the spirit rejoices what it has found'

 

이런 아름다운 말이 있다

 

'잃은 것에 대해 에고가 울 때,

얼 은 발견한 것에 기뻐한다'

 

the ego of course is happy when something is added that provides the comfort

 

물론 에고는 안락함을 주는, 무언가가 더해질 때 행복하다

 

so the mastery of life is so to speak,

you pursue life on this level where these things are fine,

there's nothing wrong with adding here and there not in an obsessive way,

because that makes even more frustrated,

but improving your life

and when these things happen to disrupt,

things happen that seem to diminish who you are

 

그래서 말하자면 삶의 숙달이란,

 

그대가 이런 정도의 삶을 추구한다면, 뭐 괜찮다,

강벅적이지 않게, 여기 저기 뭔가가 더해지는 것에 잘못된 것은 없다

왜냐하면 그것은 더욱 좌절하게 만드는 것이므로

 

삶을 낫게 해 나가는데

이런 것들이 무너져 내릴 때,

그대를 쭈그러들게 하는 것 같은 것들이 일어난다

 

even an insult by somebody

'you silly man, are you stupid?'

and insult is a kind of diminishment to the ego

and diminishment is one manifestation of being taken out of your comfort zone, the egoic comfort zone

everybody sooner or later will encounter diminishments

also the opposite

it's the two part of life

you gain and then you lose

 

누군가가 모욕을 하는 것 또한

'멍청한 것, 너 바보냐'

 

모욕은 에고에게는 일종의 쭈그러짐이다

그리고 쭈그러지는 것으로, 그대의 안락한 지대에서, 에고의 안락한 지대에서 나오게 된다

 

모두가 마주할 것이다

 

그 반대로도 (에고의 확대)

 

삶의 두 부분이다

얻은 다음, 잃는다

 

once you know that this is how life functions that the two are there

and also you know that ultimately,

because you're going to grow old,

you as this form is going to dissolve

no matter how successful you've been in life,

suddenly or gradually you experience the diminishment

 

이것이 삶이 작동하는 방식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

왜냐하면 결국,

그대는 늙어갈 것이므로,

이 형상은 무너질 것이다

그대가 삶에서 얼마나 성공했든

갑자기 혹은 점차 그대는 쭈그러드는 것을 경험한다

 

and even your trophy wife in the meantime has become old

so that doesn't work anymore either

 

그러는 중에, 자랑할 만한 부인 또한 나이가 든다

더는 내세울 수 없다

 

when you think you finally arrived,

that's the beginning of all the diminishments

 

마침내 도달했다고 생각할 때

그것은 쭈그러듦의 시작이다

 

but that's also a great opportunity

fianlly if you arrive at an old age, who knows where the potential opening is still there

in some old people, the ego shell has become so rigid that there is no opening

and when finally disease comes or death approaches,

it's the crack that finally appears might be too late

but some old people who become more entrenched in their egos,

and others begin to transcend the ego

 

하지만 큰 기회이기도 하다

결국 늙은 나이에 이르는데도, 뭔가가 열릴 수 있다

어떤 이들의 경우, 에고 껍데기가 아주 단단해져서, 열리지가 않는다

결국 병이 오거나 죽음이 다가올 때,

그것이 틈이다,

너무 늦은 것처럼 보일

 

하지만 다른 이들의 경우, 그들의 에고를 변형시키기 시작한다

 

and then there are others who whether this spiritual background or not,

whether they have already explored spirituality when old age comes,

they come to the place of acceptance

and they become more compassionate, more loving, even more joyful,

and something a light shines through

they become a little bit like children

but that's that kind of openness of a child

a child that's not yet burdened with excessive conceptualization in their minds

they're just able to look at something,

you're not immediately imposing conceptualization on things and people

 

이런 영적인 배경이든 아니든,

이미 영적인 것을 경험했든 아니든,

나이 들어서, 그들은 받아들임의 자리에 이른다

더 자비로워지고, 더 사랑하고, 훨씬 더 기쁘기까지

뭔가 빛이 나온다

 

그들은 좀 아이들과 같이 된다

아이의 열려 있음과 같은

마음에 아직 과도한 개념들을 지고 있지 않은

그들은 보는 것들, 사람들에 바로 개념을 씌우지 않는다

 

i've met some old people in the 80s, 90s who go just shining

and many of them have experienced, they have gone through diminishments,

they have lost things

and at some point, whether through spiritual teaching or simply through life,

they've come to a plce of cooperating with the diminishments,

with the sabotages that life seem to inflict on you

'oh here's another one'

 

그런 80대, 90대들을 만난 적 있다

그저 빛나는

그들 중 많은 이들이 쭈그러짐을 경험했다, 잃은 것들이 있다

그리고 어느 지점에서,

영적 가르침을 통하든, 단순히 삶을 통해서든,

그들은 쭈그러짐과 협조하는 자리에 이르렀다

삶이 그대에게 가하는 해로움과 

 

'오 이거 또 그거다'

 

and at some point, they learn to even welcome

'oh thanks, i lost this, thank you'

 

그러다 어느 지점에 이르면, 그들은 심지어 환영하는 법을 습득한다

 

'오 고맙다, 이것도 놓게 되네, 좋다 고맙다'

 

 

 

 

300x250

 

 

echart tolle :

 

용서란

우리가 아주 주의해야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흔히 아주 피상적으로 쓰이곤 하므로

 

사람들은 말한다,

'네가 한 것을 네 자신이 용서해야 한다'

'다른 이가 한 것을 용서해야 한다'

그러면서 사람들은 '난 널 용서한다'라 한다

하지만 그것이 얼마나 깊이 가는 것인지는

 

 

그대가 어떤 특정한 종류의, 강한 이미지를 갖고 있을 때

무수한 부정적 감정들을 지닌다

 

가령 영적이라거나 종교적으로, '난 이런 사람이다'

그러면 자신이라 믿는 것에 어긋나는 것들을 부인하기 쉽다

영적이거나 종교적 사람이라는 것과 정확히 반대되는 것들을

그것들을 억압하고,

그것들이 더 악화된다

그리고 그것이 심지어 에고 마음에 의해 정당화되기까지 한다


 

if other people did something bad, 

what is called guilt, then that become resentment or grievance towards somebody else

and it is more likely that whatever happened at that time almost certainly,

it was perpetrated by human being who was unconscious,

forced by dysfunction of the egoic self to perpetrate that

 

사람들이 뭔가 나쁜 짓을 저질렀다,

죄책감이라 하는 것이, 

다른 누군가를 향한 분노나 불만이 된다

그 당시 일어난 것이 무엇이든, 

거의 확실히,

무의식적인 인간 존재에 의해 계속해서 반복된다

에고라는 기능 장애에 의해, 그런 것을 지속한다

 

and the danger is

if we equate the unconscious action of another,

that is also a trap for the ego again

so whether you do it to yourself in which case it is guilt,

guilt ridden sense of self or somebody else did something to you

then you are burdened with a sense of deep resentment or grievance

or having a sense of having been a victiom of somebody

and then you adopt a victim identity,

which is again a very strong egoic identity

 

위험은

우리가 다른 이들의 무의식적 행동과 똑같이 한다면,

그것 또한 에고의 함정이라는 것이다

자신에게 한다면, 그것이 죄책감

 

죄책감이 자신이란 느낌에 더해지거나

다른 누군가가 그대에게 한 것이라거나

그러면 그대는 깊은 분노나 불만의 느낌으로 짐을 지고 있게 되거나

누군가의 희생자가 된 느낌을 갖는다

희생자란 신분을 선택한다,

그것은 다시 아주 강한 에고다

 

so you can recognize what somebody did in the past

and 

forgivenss, is something we need to be very careful with

because it's often used in a very superficial sense

people say,

you need to forgive yoursrelf for something you did,

and you need to forgive somebody else for what they did

then sometimes people say, i forgive you,

but how deep does it go

 

용서란

우리가 아주 주의해야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흔히 아주 피상적으로 쓰이곤 하므로

 

사람들은 말한다,

'네가 한 것을 네 자신이 용서해야 한다'

'다른 이가 한 것을 용서해야 한다'

그러면서 사람들은 '난 널 용서한다'라 한다

하지만 그것이 얼마나 깊이 가는 것인지는

 

perhaps they have an image of themselves as quite spiritual

and then they want to simply reinforce the image they have of themselves

as a spiritual person who doesn't harbor resentment

but deep down they're still

 

아마 그들은 '나는 영적이다'라는 이미지를 갖고 있을 것이다

그들 자신에 대해 갖는 이미지를 강화시키고 싶어할 뿐이다

분노가 머물지 않는 영적인 사람이라면서

 

하지만 깊이에서는 그들은 여전히 (부글부글)

 

many negative emotions when you have a strong self image of a particular kind,

for example, spiritual or religious, 'this is who i am'

then it can easily happen that you deny certain things that they contradict your belief in who you are

they're the exact opposite of your belief in being spiritual or religious person

then they repress them, they get even worse

and even that justified by the egoic mind

 

그대가 어떤 특정한 종류의, 강한 이미지를 갖고 있을 때

무수한 부정적 감정들이 있다

 

가령 영적이라거나 종교적으로, '난 이런 사람이다'

그러면 자신이라 믿는 것에 어긋나는 것들을 부인하기 쉽다

영적이거나 종교적 사람이라는 것과 정확히 반대되는 것들을

그것들을 억압하고,

그것들이 더 악화된다

그리고 그것이 심지어 에고 마음에 의해 정당화되기까지 한다

 

 

 

300x250

 

 

echart tolle -

 

그대는 공간의 존재처럼 삶을 움직여 다닌다

무겁게 짐 지워진 어떤 인간으로서가 아니라

 

그 밖에 아무것도 영적이지 않다, 영적이라는 말을 쓴다고 하면

영적인 것은 무슨 종류의 생각이 그대의 머리를 통과하는 지와 관게 없다

하루 24 시간을 천사와 신에 대해 생각할 수 있다, 그것은 영적인 것이 아니다

영적이란 생각과 동일시하지 않는 것이다

그대 안에 공간이 있을 때, 그것이 영적인 차원이다

 

그리고 그것이 자유다, 그것이 그대 마음, 세상, 시간의 변형이다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 차원이므로


through the nightmare of your life turns into a dream that's quite pleasant

because the way in which you experience life changes,

when the transcendent dimension comes in

because you no longer experience life through the filter of the false self

and the false self distorts everything that you experience

the false self wants the conflict, the unhappiness

it doesn't know that but

why does it want it? because it strengthens itself through it

 

삶의 악몽을 겪으면서,

변하는 차원이 들어설 때

상당히 유쾌한 하나의 꿈으로 전환된다

 

왜냐하면 그대가 더 이상 거짓 자신의 필터를 통해 삶을 경험하지 않기 때문이다

거짓 자신은 경험하는 모든 것을 왜곡한다

거짓 자신은 갈등, 불행을 원한다

그것이 그런 줄 모른다

왜 갈등, 불행을 원하는가, 그것으로 그 자신이 더 강해지기 때문이다

 

so you can see in when you observe people in daily life, how they do it,

they want because it gives them a stronger sense of who they are

it can start with a simple thing like complaining about situations and other people or your own life

complete distortion, you're looking at through false sense of self

through every little complaint strengthens itself

because when you complain about something, it means something is found deficient

which means you put yourself in a superior position to that situation,

you are the judge of it

whoever you complain about or criticize, it enhanses the false sense of self

 

그대가 볼 수 있다

매일의 삶에서 사람들을 바라본다, 그들이 어떻게 하는지

갈등, 불행을 원하는 그들,

왜냐하면 그것이 그들에게, 그들이 누구인지에 대한 더 강한 느낌을 준다

 

상황, 다른 사람들, 자신의 삶에 대해 불평하는 것과 같은 간단한 것들로 시작할 수 있다

거짓 자신을 통해 바라보면, 완전한 왜곡이다

모든 작은 불평이 그 자신을 강화한다

무언가에 대해 불평할 때, 그건 무언가가 부족하다는 뜻이다

그대 자신을 그 상황에서 우월한 위치에 둔다는 뜻이다

그대가 그것을 심판한다

누구에 대해 불평을 하든, 비난을 하든, 그것은 거짓 자신을 강화한다

 

what we need to learn is to take attention out of thinking

that is transcendence

you transcend the primordial forms which are thoughts

and then in your life you have form and space in daily life

if you're not doing something, you have to think about

you chasing forms, like the dog chasing the rabbit

that's a dreadful thing, there's only forms in my life

forms, forms, --

no space

 

우리가 배워야 하는 것은, 주의를 생각에서 빼내는 것이다

그것이 변형이다

생각인 형상들을 변형시킨다

 

삶에서 그대는 형상들, 공간을 갖는다

무언가를 하고 있지 않다면, 생각해야 한다

형상들을 쫓는다, 토끼를 쫓는 개처럼

그것은 끔찍한 것이다, 내 삶에서 형상만 있다는 것은

형상, 형상, --

공간이 없다

 

now there begins to be also space in your life

and that changes everything

so while forms happen, the need compulsively to impose interpretaion on what's happening goes

and you allow what is, people situations places which before you would have criticized or complained about

they are as they are

if you don't criticize and complain, they are not a problem

can you still take action if things need to be changed?

and perfectly fine without the complaining about it

 

이제 그대 삶에서 공간 또한 있기 시작한다

그것이 모든 것을 변화시킨다

그래서 형상이 일어나면서도, 

무언가 일어나는 것에 강박적으로 해석을 붙여야 한다는

 

이제 그대는 '있는 것'을 허용한다

사람들, 상황, 장소

이전에라면 비난하거나 불평했을 것을

그것들은 그것들인 대로 있다

그대가 비난하고 불평하지 않는다면, 그것들은 문제가 아니다

그럼에도 변화되어야 하는 것들이 있다면, 그대는 움직일 수 있을까

완전히, 그것에 관한 불평 없이

 

you take action without complaining,

it's a different action that flows,

different energy flows into what you do

and you move through your life as a spacious being

not a heavily burdened personality

 

불평 없는 행동력

그건 다르게 흐르는 움직임이다

그대가 하는 것에 다른 에너지가 들어선다

그리고 그대는 공간의 존재처럼 삶을 움직여 다닌다

무겁게 짐 지워진 어떤 인간으로서가 아니라

 

nothing else is spiritual, if you want to use the word spiritual

spiritual has nothing to do with what kind of thoughts go through your head

you can think about angels and god for 24 hours a day, it's not spiritual

spiritual is not identitying with a thought

when there is space in you, that's the spritual dimension

 

그 밖에 아무것도 영적이지 않다, 영적이라는 말을 쓴다고 하면

영적인 것은 무슨 종류의 생각이 그대의 머리를 통과하는지와 관게 없다

하루 24 시간을 천사와 신에 대해 생각할 수 있다, 그것은 영적인 것이 아니다

영적이란 생각과 동일시하지 않는 것이다

그대 안에 공간이 있을 때, 그것이 영적인 차원이다

 

and that is the liberation and that is transcendence of your mind, the world, time

because this is the timeless demension

 

그리고 그것이 자유다, 그것이 그대 마음, 세상, 시간의 변형이다

이것은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 차원이므로

 

 

300x250

 

 

echart tolle :

 

큰 착오는, '내가 그곳에 이르면, 난 괜찮을 것이다'라 하는 것이다

아니 그렇지 않을 것이다

이미 괜찮아야 한다

그런 다음 그곳에 이를 때, 괜찮을 것이다


 

 

it's all very well taking consicousness out of thought as we sit here,

but when you become active and start doing in the world,

there very quickly you can slip back into identification with thought,

you become attached to the results that you want to achieve through your doing

the end result where you want to get to become more important

that the doing now

again the end result is a thought form

you're attached to the thought form

 

우리가 여기에 앉아서는, 의식을 생각에서 벗어나 있도록 두는 것이 잘 된다

하지만 세상에서 움직이기 시작하면,

아주 빠르게 생각과의 동일시로 돌아가버릴 수 있다

 

하는 것을 통해, 이루고 싶은 결과에 집착하게 된다

이르고 싶은 그 결과가,

지금 하고 있는 것보다 더 중요하게 된다

 

그 결과란, 생각의 모습이다

그 생각의 모습에 집착된다

 

so when you become active,

high degree of alertness is required so that you remain centered in present moment

and give that more attention than where you want to go

the doing now, if you're not enjoying that, what is the point?

the great fallacy is to say that once i get there, i'll be fine

no you won't

you have to be fine already

and then you'll be fine when you get there

 

그래서 활동할 때,

높은 정도의 깨어 있음이 요구된다,

지금 순간에 중심을 두고 있을 수 있도록

 

가고 싶은 곳보다 그것에 더 주의를 준다

지금 하고 있는 것, 그것이 즐겁지 않다면,

요지가 뭔가

큰 착오는, '내가 그곳에 이르면, 난 괜찮을 것이다'라 하는 것이다

아니 그렇지 않을 것이다

이미 괜찮아야 한다

그런 다음 그곳에 이를 때, 그대는 괜찮을 것이다

 

this is the awakening from the identification with form,

 

이것이 형상과의 동일시로부터의 깨어남이다

 

if that is not transcended, 

then life is frustrating

you just go from one frustration to another

some people believe that buddha said all life is suffering

no he said, all identification with form is suffering

because all identification with form creates a false self

 

'어떤 모습이 나다'라는 것이 변형되지 않는다면

삶은 좌절스럽다

한 좌절에서 다른 좌절로 갈 뿐이다

 

붓다가 삶은 다 고통이다 라 했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있다

아니다 그는, 형상과의 동일시가 다 고통이다 라 했다

형상과의 동일시는 모두, 거짓 자신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and as long as you live in a false sense of self,

you suffer, there's fear, always around the corner

because everybody knows forms are fragile, fleeting

 

거짓 자신의 느낌으로 사는 한

그대는 고통스럽다,

두려움이 있다, 항상 궁지에 몰린다

왜냐하면 모두가,

모습들이란 부서지기 쉽다, 지나가는 것이다 라 안다

 

so our practice is to take identification out of thought, 

consciousness out of thought

simple, and radical shift inside you

i'm saying simple because thought is complex

and when you look at the problems of the world through thought,

you'll want to commit suicide

because of the complexity of it all

even your own problems may be enough for that

 

그래서 우리 연습은,

의식을 생각에서 벗어나 있도록 두는 것

 

간단하다, 그리고 안에서의 급진적 변화다

내가 간단하다고 말하는 것은, 생각은 복잡하기 때문이다

생각을 통해 세상의 문제를 바라보면,

자살하고 싶을 것이다

그 온갖 복잡함 때문에

그대 자신의 문제만으로도 충분히 그럴 것이다

 

 

 

 

300x250

 

echart tolle :

 

누군가를 도우려 할 때

종종 사람들은 바로 도움이 되는 무언가를 말하려 한다, 열심히 생각한다,

마음에서 찾는다

그리고 대개는 그게 그렇게 좋지가 않다

잘 받아들여지지도 않는다

그렇게 도움이 되지도 않는다

'그래 고마워'라 할지는 모른다

 

하지만 그들은 그것이, 그대 안 깊은 곳에서 나오지 않은 것을 느낀다

그대의 의도는 좋다 해도

 

정말로 도움을 주는 것이기 위해서는,

그대가 어떤 것도 알지 못하는 것에 편해져야 한다

생각 없는 공간에서 그대는 어떤 것도 알지 못한다

적어도 개념상으로는

 

생각 없는 공간의 기적은,

그대가 모든 앎의 근원에 접근한다

하지만 아직 개념에 다다른 것은 아니다

모든 앎의 잠재성이다, 본래의 근원의

 

사실 많은 사람들이 그곳에 가는 것을 두려워한다

알지 못하는 것이 두렵기 때문이다

그래서 계속해서 생각해야 한다


 

in whatever area you are active in,

to be connected with the source will empower you

and will make your work much more helpful to others and more empowered

you become more inspired and you become inspirational for others

even if you just selll cinema tickets or whatever

it doesn't matter

everything become transformed through your connected with source

 

그대가 어디에서 활동하든

근원과 연결되어 있는 것은 그대에게 힘을 줄 것이다

그리고 그대의 일이 훨씬 더 다른 이들에게 유용할 것이다,

더 힘을 줄 것이다

더 영감을 받게 되고, 

다른 이들에게 영감을 주게 된다

그냥 영화 표를 파는 일을 하든, 무엇을 하든

상관없다

근원과 연결되는 것으로, 모든 것이 변형된다

 

but to have that, the vital thing is,

to be able to access the space of no thought

and another way of calling that space of no thought, present

so in order to have that connectedness with source,

you need to open up that space of no thought

alertness, relaxed alertness

 

하지만 그러기 위해서, 중요한 것은,

생각 없는 공간에 접근할 수 있는 것

다른 식으로 말하면, 존재다

근원과 연결되기 위해서는,

생각 없는 공간을 열어야 한다

깨어 있음, 긴장 없는 깨어 있음이다

 

and you could also call that, 

becoming comfortable with not knowing

because otherwise your mind always thinks it knows already

so when you are trying to help somebody, 

often people will immediately try to say something helpful, they think hard

and you search in your mind

and usually it's not that great

and it's not well received by the person

and it's not that helpful

they might say, 'ok thanks'

 

알지 못하는 것에 편안하게 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그대의 마음은 항상 이미 안다고 생각하므로

 

그래서 그대가 누군가를 도우려 할 때

종종 사람들은 바로 도움이 되는 무언가를 말하려 한다, 열심히 생각한다,

마음에서 찾는다

그리고 대개는 그게 그렇게 좋지가 않다

잘 받아들여지지도 않는다

그렇게 도움이 되지도 않는다

'그래 고마워'라 할지는 모른다

 

but they feel it doesn't come from any deep place within yourself

although your intentions are good

but to be really helpful,

you need to become comfortable with not knowing anything

because the space of no thought is, 

you don't know anything in the space of no thought

at least not conceptually

 

하지만 그들은 그것이, 그대 안 깊은 곳에서 나오지 않은 것을 느낀다

그대의 의도는 좋다 해도

 

정말로 도움을 주는 것이기 위해서는,

그대가 어떤 것도 알지 못하는 것에 편해져야 한다

생각 없는 공간에서 그대는 어떤 것도 알지 못한다

적어도 개념상으로는

 

the miracle is in that space of no thought

you access the source of all knowledge

but it hasn't reached concepts yet

it's the potential of all knowledge, the primary source

so many people are actually afraid of going there

because they're afraid of not knowing

so they need to keep thinking

 

생각 없는 공간의 기적은,

그대가 모든 앎의 근원에 접근한다

하지만 아직 개념에 다다른 것은 아니다

모든 앎의 잠재성이다, 본래의 근원의

 

사실 많은 사람들이 그곳에 가는 것을 두려워한다

알지 못하는 것이 두렵기 때문이다

그래서 계속해서 생각해야 한다

 

so if you can, 

somebody comes to you, 

let's assume you have practiced already beforehand now knowing, for example,

by not labeling compulsively everything around you,

but actually be present with a tree, the sky, another person

you almost disappear as a person in that state of no thought

becaue in no thought, who are you? you're simply a presence,

you're not a particular person anymore

 

그래서 그대가 그럴 수 있다면,

 

누군가가 그대에게 온다,

그대가 이미, 알지 못하는 것에 편해지는 것을 연습했다고 하자

그대 주변의 모든 것에 강박적으로 표지를 붙이지 않는다

하지만 사실 나무와, 하늘과, 다른 사람과 현존한다,

생각 없는 상태에서 그대는 거의 '어떤 사람'으로서는 사라져 있다

왜냐하면 생각 없는 것에서, 그대는 누구인가

단지 있을 뿐이다

더는 한 특정한 사람이 아니다

 

so it's a voluntary kind of disappearing act

where you as the personal entity disappear,

and there's just space of consicousness

where you were before

 

그것이 자발적으로 사라지는 것과 같은 행동이다

어떤 존재로서의 그대가 사라진다

그냥 의식의 공간이 있을 뿐이다

이전에도 있던 곳에

 

this sometimes happen to people who suffer greatly

they suffer so much that their ego gets destroyed and eroded

and what's left is just a presence

this could happen to you, but probably won't need to happen

because you're already voluntarily going there,

so life doesn't need to push you into it

 

이것이 때로는 크게 고통을 겪는 사람들에게 일어난다

그들은 너무 심하게 고통을 겪어서, 에고가 무너진다, 그리고 삭제된다

남아 있는 것은 그냥 존재다

이것이 그대에게 일어날 수 있다

하지만 아마 일어나야 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대는 이미 자발적으로 그곳에 가고 있으므로

그래서 삶이 그대를 그 곳으로 밀어넣을 필요 없다

 

 

300x250

 

 

echart tolle :

 

사실이든 아니든

가르침의 특질을 들어봐라

그것이 가르침인지, 그냥 꾸며낸 것인지

 

결국 진실한 메시지가 있다면,

 

여기에는 천사나 천사와 같은 존재들도 포함될 수 있다,

 

그것은 항상

 

'그대가 진실로 누구인지 발견해라, 모든 삶의 근원과의 연결을 찾아라,

모든 진실한 답은 그대 안에서 나올 것이다,

그리고 내가 무슨 말을 하든, 그것을 그대 자신의 경험으로 확인해라

나를 믿지 마라

그것을 그대 자신의 경험으로 확인할 수 없다면, 그것은 관련 없는 것이다'

 

로 간다


some people seem to have contact with different entities that are not physically embodied,

and there's no doubt that there are entities that are not physically embodied

there are a lot of guides, those entities who are also pretending to be somebody else

and the main criterion is what is the quality of the information that you are getting

rather than trying to figure out who they really are

and this also applies to so-called channeling

 

어떤 사람들은 물리적으로 몸에 있지 않은 다른 존재들과 닿는 것 같아 보인다

물리적 몸에 있지 않은 존재들이 있다는 것은 확실하다

누군가인 척 하는, 많은 안내자, 그런 존재들이 있다

주된 기준은,

그대가 받는 정보의 특질이 무엇인가다

그들이 정말 누구인지 알아내려 하기 보다는

 

그리고 이것은 채널링 이라고 하는 것에도 적용된다

 

and a lot of percentage of them seems not all that relevant to anything,

small percentage, yes, there is something there

a prominent example is, 'a course in miracles',

which is not for everybody, but it is high quality text, scripture,

and that was definitely channeled because the person who wrote it had an inner dictation,

and she wrote down what she heard

she did not fully understand,

and she couldn't live it, the teaching

and yet the book was produced

 

그들 중 많은 이들은 어떤 것과도 전혀 관련 없는 것 같다

작은 비율로, 그렇다, 뭔가 있다

두드러진 예시로, '기적 수업'이 있다

 

모두를 위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높은 특질의 책이다

명백하게 채널링된 것이다

자기 안에서 들은 사람이 썼다

그녀가 들은 것을 썼다

그녀는 완전히 이해하지는 못했다

그녀 자신이 그 가르침을 살 수는 없었다

그럼에도 책은 만들어졌다

 

you may have heard the saying, 'as far as deceased'

some people think at the moment they're deceased, they know everything

but there's a saying that goes,

'just because they are dead, doesn't mean they are smart'

 

'죽은 자와 관련된' 말을 들어봤을 수 있다

죽는 순간, 모든 것을 아는 이들이 있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있다

하지만

'단지 죽었다는 이유로, 영리하다는 뜻은 아니다'라는 말이 있다

 

whether or not it's genuine,

listen to the quality of teaching,

if it is a teaching or is it just fictitous,

ultimately if there is true message, 

this could include angel or angelic presences,

 

사실이든 아니든

가르침의 특질을 들어봐라

그것이 가르침인지, 그냥 꾸며낸 것인지

 

결국 진실한 메시지가 있다면,

 

여기에는 천사나 천사와 같은 존재들도 포함될 수 있다

 

it always boils down to 'find out who you truly are', 'find your connectedness with the source of all life'

'all true answers will come from within you,

and whatever i say, verify it in your own experience.

don't believe me

if you can't verify it in your own expeirnce, then it's not relevant'

 

그것은 항상

 

'그대가 진실로 누구인지 발견해라, 모든 삶의 근원과의 연결을 찾아라,

모든 진실한 답은 그대 안에서 나올 것이다,

그리고 내가 무슨 말을 하든, 그것을 그대 자신의 경험으로 확인해라

나를 믿지 마라

그것을 그대 자신의 경험으로 확인할 수 없다면, 그것은 관련 없는 것이다'

 

로 간다

 

this is what the true guide would say

 

이것이 진실한 안내가 할 말이다

 

there's difference between spirit guide

and teaching that comes from a deep connectedness of the teacher with a source

in that case, the teacher does not feel that it comes from an entity,

but it comes from a source

and if an entity gives you an information, where do they get that from?

from the one consicousness

 

영적 안내자와 스승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스승은 근원과의 깊은 연결에서 나온다

그 경우, 스승은 그것이 어떤 존재에게서 온다로 느끼지 않는다

하지만 근원에서 온다

 

그리고 어떤 존재가 그대에게 정보를 준다면, 그들은 그것을 어디에서 얻는가

하나의 의식에서다

 

and the essence of their message needs to be,

if it is to be true, find out who you are in your essence

and then begin to live from the esscence of who you are

 

그래서 그들의 메시지의 본질은 이래야 한다,

그것이 사실이라면, 

 

'그대의 본질에서 그대가 누구인지 발견해라,

그리고 그런 다음 그대의 본질에서 살기 시작해라'

 

 

 

 

300x250

 

 

그것을 통해 자기 성장이 있는가

그대가 갖고 있는 개념상 이미지, 세상에 보여주고 싶은 이미지,

그것으로 그대가 성장되었는가


ehhart tolle :

 

if you had not gone trhough the suffering you had gone throught,

you would not be here

there may be a few advanced souls here who may be 20 years old only or

and you're such an advance soul you have not experienced signifficant suffering

and nevertheless you're here

 

그대가 겪은 고통이 없었다면

여기에 있지 않을 것이다

20살 밖에 안 되거나 하는, 소수의 진화된 영혼들이 있을 수 있다

아주 진화된 영혼이어서, 중요한 경험을 하지 않았음에도, 여기에 있는

 

now that can have two reasons

either you're already gone through intense suffering in many other lifetimes,

you don't need it anymore

or you may have some ego image of yourself as a very advanced spiritual being

and therefore you would like to add it to your self image

and then you can post to the world that you are now attending a spiritual conference,

'look at me, i'm here'

 

두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다

이미 다른 많은 삶들에서 강렬한 고통을 겪어서, 더는 필요없거나

아니면 

아주 진화된 영적 존재라는, 자신에 대한 어떤 에고 이미지일 수도 있다

그래서 자기 이미지에 더하고 싶다,

그러면 그것을 세상에 알릴 수 있다, 그대가 영적인 모임에 참가하고 있다고

'날 봐라, 나 여기 있다'

 

i'm not implying that everybody who has mentioned in their facebook pose or tweets

is necessarily a reflection of that stage

it just might be an innccent fact, why not

if there is no self identification with it, it's perfectly fine

but the question is there a self enhancement through it,

does the conceptual image that you have and want to present to the world enhanced by that?

 

페이스북이나 트윗에 언급한 이들 모두가 꼭 그 단계에 있다고 하는 것은 아니다

그냥 순수한 사실일 수 있다, 왜 안 되겠는가

그것에의 자기 동일시가 없다면, 완벽히 좋다

 

하지만 문제는, 

그것을 통해 자기 성장이 있는가

그대가 갖고 있는 개념상 이미지, 세상에 보여주고 싶은 이미지가

그것으로 성장되었는가

 

self observation is vital

because new consciousness arises only if the individual recognizes that

you can only change the world by changing a state of human conscisousness

that's why where all the communists went wrong,

all the people who want to bring in a new government go wrong,

all these things will do nothing if there is not a shift in consciousness

it will only recreate the same thing again and again and again

 

자기 관찰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새로운 의식은, 그 개인이 알아차릴 때에만,

인간 의식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으로서만 세상을 바꿀 수 있다

그래서 그 모든 공산주의들이 잘못 갔다,

새로운 정부를 일으키고 싶어하는 그 모든 사람들이 잘못 간다,

이런 모든 것들은, 의식에서의 변화가 없다면, 소용 없을 것이다

단지 같은 것을 다시 또 다시 만들어낼 뿐이다

 

and that change in consciosness must 

there only one place where it can happen and that's in you

and that implies that you practice self observation

that is an essential part of the change in consciousness

to practice self observation implies that there is enough presence or awareness in you

from where you can self observe

maybe not all the time

 

그래서 의식에서의 변화

그것이 일어날 수 있는 유일한 자리가 있고, 그것은 그대 안에서다

그대가 자기 관찰을 한다는 뜻이다

그것이 의식에서의 변화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자기 관찰을 하는 것은, 

그대 안에 충분한 현존 혹은 각성이 있다는 뜻이다

그곳에서 그대가 자신을 바라볼 수 있다

내내 그렇지는 못할 수도 있다

 

there is enough presence in you so that you can self observe

your own motivations, your own thought structures, 

what are the habitual thoughts that i think

so that you are not drwan continuously

into every thought that comes and follow it

where it wants to take you

 

그대 안에 충분한 현존이 있어서, 그대가 자신을 바라볼 수 있다

그대 자신의 동기, 생각의 구조, 습관적인 생각들,

그래서 계속해서 나타나는 모든 생각으로 끌려들어,

그것이 데려가고 싶은 곳으로 그것을 따라가지 않는다

 

so the ability to observe non judgmentally what goes inside you

there is awareness

that is self knowledge

self knowledge means not so much knowing on a conceptual level

ultimately the arising of new consciousness is not a better conceptual understanding of anything

it's not a better conceptual understanding of who you are

it goes beyond any concept

 

판단 없이 그대 안에서 밀어나는 것을 바라볼 수 있는 힘,

각성이 있다

그것이 자기 앎이다

자신에 대한 앎이란, 그다지 개념상 아는 것에 대한 것이 아니다

결국 새로운 의식이 일어나는 것은,

어떤 것에 대한 더 나은 개념상 이해가 아니다

그대가 누구인지에 대한 더 나은 개념상 이해가 아니다

어떤 개념도 벗어난다

 

awareness in itself does not necessarily imply immediately that you undrstand more about yourself,

in fact, as you become more aware in yourself,

the need to understand 'my life and work it out' diminishes

 

각성 그 자체는

그대가 그대 자신에 대해 더 이해한다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

사실 자신 안에서 더 깨어날수록,

'내 삶과 그것을 해결하는' 것을 이해할 필요가 덜어진다

 

 

 

300x25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