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n the perceiver be perceived?

is like on the very edge of dualistic functioning of knowledge

and juat a little bit more and it come burst into something else,

 

'인식하는 자는 인식될 수 있는가'

 

지식의 이중성 작용의 맨 끝에 있는 것 같다

그리고 조금만 더 가면,

터져, 다른 것으로 

 

it is as far as guestions, is one of the most unique questions,

still on the very periphery of that, circumference of concepts,

if you use it where it boom, you get something

 

질문들 중에서, 가장 독특한 질문 중 하나이다,

그래도 아직 개념의 맨 끝 주위다

그것이 펑 하고 터지는 곳에서 그것을 활용하면, 그대는 무언가를 얻는다

 

so when we say, can be perceiver be perceived?

 

그래서 우리가, 인식하는 자는 인식될 수 있는가 라 할 때,

 

so we're saying that as soon as you in deep sleep, you don't know anything at all,

we don't have a sense of knowing anything at all,

there's no relationships there, there's not even your usual sense of self there in deep sleep,

we can agree or not?

 

그대가 깊은 잠에 빠지면, 그대는 아무것도 모른다,

어떤 것을 아는 느낌이 없다

관계가 없다, 깊은 잠 속에서는 평소 그대의 자신에 대한 느낌도 없다,

 

동의하는가 아닌가

 

all my answers and questions are everybody, ok?

 

나의 모든 대답과 질문은 모두를 위한 것이다, 

 

when waking state appears, there kind of like functioning of consciousness opens up,

and we start to perceive, time and plays, -,

just as soon as consciousness wake up, you must have the sense of your own existence first,

before you can register the existence of anything else,

you must know that you are the perceiver, you already in a perceiving position automatically,

you know, 'it's late, oh, i'm gonna get up, so and so',

but you must be there in order to read the time, the time cannot be before you, you are the one who reads time,

so something is already functioning

 

깨어나는 상태가 나타나 보일 때, 의식이 문을 여는 작용과 같은 것이 있다,

그리고 우리는 인식하기 시작한다, 시간, 놀이들, 등

 

의식이 깨어나면

그대가 어떤 것들의 존재를 등록하기 전,

우선, 그대에게 그대 자신이 존재한다는 느낌을 갖고 있어야 한다, 그대가 인식하는 자 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자동적으로 이미 인식하는 위치에 있다

'늦었네, 일어나야겠다, 등'

 

시간을 읽기 위해서는 그대가 있어야 한다, 시간이 그대 전에 있을 수 없다, 그대가 시간을 읽는 자이다,

그러니 무언가 이미 움직인다

 

so i call that the functioning of perceiving, you're perceiving things and life and time, relationship, -, and so on,

that comes very spontaenously upon the waking states,

then we say that eveyrthing are this side of the eyes (눈 밖으로) is made of the play of the 5 elements, 

we can talk like that,

that is perceivable,

behind the eyes, which we may say, in a realm of mind and thought, emotion, feeling, memory, desire, all of these things,

they are also perceived, isn't it?

eyes open, we perceive, eyes close, we perceive, isn't it?

 

그래서 내가 인식 작용이라고 하는 것,

그대는 보이는 것들과 삶, 시간, 관계 등을 인식한다

깨어나 있는 상태이면 바로 즉시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그러면 우리가, 이 눈 밖의 모든 것은 5 원소들의 놀이로 만들어져 있다고,

그런 식으로 말할 수 있다

인식 가능하다,

눈 뒤, 우리가, 마음과 생각, 감정, 느낌, 기억, 욕망, 이런 온갖 것들의 영역이라 하는 것,

그것들 또한 인식된다, 그렇지 않은가

눈을 뜨고, 인식하고, 눈을 감고, 인식한다, 그렇지 않은가

 

so all that is perceivable,

we know that we are perceiving, just like when we're conscious at the moment,

you cannot deny that you are conscioius,

because to even deny your conscious, it needs conscious deny your conscious,

so we know that in a waking state period,

when the activity largely, our life exist in the span of the waking state,

so nobody's living a functioning of interactive life 24 hours, nobody,

maybe i don't know 16, 15 fo conscious interactive life,

the rest, we go to sleep,

so when i speak now, we can only conduct this kind of inquiry inside the waking state,

when we have a faculty of using our mind and intellect and so on,

we know that it needs a functions inside the conscious state

 

그러니 그 모든 것이 인식 가능하다

우리는 우리가 인식한다는 것을 안다, 그 순간 바로 인식하듯,

 

그대가 인식한다는 것을 그대는 부인할 수 없다

그대의 인식을 부인하기 위해선, 그대의 인식을 부인할 인식이 필요하다

 

그래서 깨어있는 시간 동안,

주로 활동할 때, 우리 삶은 깨어있는 상태의 주기 안에서 존재한다

아무도 24 시간을 상호작용으로 살지 않는다, 아무도,

모르겠다, 아마 16, 15 시간이 의식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삶일지

나머지는 우리가 잠에 든다

 

그래서 내가 지금 말할 때, 우리는 이런 탐구를 깨어있는 상태 안에서 할 수 있을 뿐이다

우리 마음과 지력 등을 우리가 사용할 수 있을 때

의식적 상태 안에서 라는 것이 필요하다

 

so i say that all of this, we can perceive, we'r perceiving, externally and internally,

we know the difference between fantasy and actuality,

we have all this functioning inside us,

so that's where we come,

 

그러니 이 모든 것을 우리가 인식할 수 있다, 인식한다, 밖으로 그리고 안으로,

환상과 실제의 차이를 알 수 있다,

우리 안에 이 모든 작용이 있다, 

 

그렇게 우리가 이르렀다

 

then we say, the fact that you are conscious and perceiving, is also knonwn, isn't it?

not from something way back here,

actually right there in the seeing of things is the awareness of them,

i can't say i can see my finger because my awareness is right here looking at it, the awareness is right in the same place, just same time, but the awareness did not hapen,

 

그러면, 그대가 의식하고, 인식하는 사실 또한 알려진다, 그렇지 않은가

여기로부터 저 멀리의 무언가에서가 아니다

실제로 바라보는 바로 그 곳에, 그것들에 대한 인식이 있다

 

나는, 나의 인식이 바로 여기 있어서 바라보기 때문에, 나의 손가락을 볼 수 있다, 고 말할 수 없다

인식은 바로 같은 곳에 있다,

똑같은 시간에 바로, 

하지만 인식은 일어난 것이 아니었다

 

can we be like to say?

the awareness did not happen, but the functioning of perceiving is a function and happens inside the awareness that is not happening,

can we be together on this?

i don't know, don't agree with me, if you don't

 

우리가 이처럼 말할 수 있을까

인식은 일어나지 않았다,

하지만 인식 작용은 작용이고, 일어나지 않는 인식 안에서 일어난다

 

이것에 대해 우리 함께 있는가

모르겠다, 내게 동의하지 마라, 그대가 동의 안 된다면

 

so something ultimately must be perceiving everything,

or are there several different points of perceiving?

and if there is a several different areas of perceiving, they must come to some central perceiving,

would not be true? would you say like this?

 

그래서 궁극적으로 무언가 모든 것을 인식해야 한다,

아니면 인식하는 여러 다양한 지점들이 있는 것인가

그리고 인식하는 여러 다양한 영역들이 있다면, 그것들은 어떤 중심의 인식으로 가야 한다,

맞는가, 이렇게 말하겠는가 (질문자에게)

 

it seems that no separation, there's no language

because for what purpose is language?

 

그것은 분리가 없는 것 같다, 언어가 없다

무엇 때문에 언어가 있겠는가

 

there must be in a certain space, time, there must be a functioning happening,

and the functioning needs the mind to compare,

because you said, the mind is the instrument for measuring and comparing, information, -,

it must have something to report about,

must have something to compare,

it functions in the realm of duality,

if we know someting is hot, because you must have a sense of something that is cold,

otherwise, hot doesn't stand,

there are all things and are interrelated opposite, you can say,

that's the way the game works

-there's no separation', that is an assumption,

 

특정 공간, 시간이 있어야 한다,

일어나는 작용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작용에는 마음이 필요하다, 비교하기 위해,

왜냐하면 그대가, 마음은 정보 등을 측정하고 비교하기 위한 도구 라 말했다,

마음이 보고 할 곳이 있어야 한다

비교할 것이 있어야 한다

이중성 영역에서 작용하는 것이다

 

우리가 뜨거운 것을 안다면, 그대는 차가운 것에 대한 느낌을 알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뜨거움은 있지 못한다

온갖 것들이 있다, 서로 반대되어 열결되어 있다 고 할 수도 있겠다

그것이 게임이 작용하는 방식이다

-분리가 없다' 고 하면, 그건 추정이다

 

when i say, can the perceiver be perceived?,

because we actually cannot deny there's a perception

and if there's a perception, there must be something that perceive perceiving,

so this is a legitimate question, can that which is perceiving,

because we cannot deny that you are perceiving,

so can that which is perceiving all this, can that be perceived?

what is a purpose of asking this question?

except to find out, if the perceiver, if it's a single entity, or is it coming from nothing?

 

내가, 인식하는 자는 인식될 수 있는가, 라 말할 때

우리는 사실적으로 인식이 있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그리고 인식이 있다면, 인식하는 것을 인식하는 무언가가 있어야 한다

 

그래서 이것이 적절한 질문이다,

-인식하는 것은-

왜냐하면 그대가 인식한다는 것은 우리가 부인할 수 없다

그래서, 이 모든 것을 인식하는 것은 인식될 수 있는가?

이 질문의 목적이 무엇인가

 

찾아내기 위해서 라는 것을 제외하면

 

만일 인식하는 자가, 하나의 존재라면, 

아니면 아무 것 없음 에서 나오는 것인가

 

 

you follow?

 

따라오고 있는가

 

if the perceiver, can the perceiver be perceived, 

are we go, 후-욱, here he is,

then he is something, 

even he is someting, he something perceived, also,

then what is perceiving that something?

can that perceiver be something? or is it no thing?

this is the point,

if you say that the perceiver, like i think you mention, we know that the perceiver is perceiving, something,

did you say like that?

 

인식하는 자가 인식될 수 있다면

우리가, 후-욱 하고 걷어버린다, 그가 있다,

그러면 그는 무언가 이다

그 조차 무언가여서, 그 무언가 또한 인식된다

그러면 그 무언가를 무엇이 인식하는가

인식하는 자는 무언가일 수 있는가, 아니면 아무 것 아님 인가

이것이 요점이다

그대가 인식하는 자 를 말한다면,

그대는, 우리가 인식하는 자가 인식한다거나 하는 것으로 말한 것 같은데,

그렇게 말했는가 (질문자에게)

 

let's not assume that perceiver, let's find the perceiver, first

 

인식하는 자를 추정하지 말자, 

먼저 인식하는 자를 찾자

 

it cannot simply be an intellectual conviction,

otherwise the mind takes the trophy

 

단순히 지적으로 확신하는 것일 수 없다

그렇지 않으면 마음이 트로피를 쥔다

 

i want to solve this thing with you that say, yeah, but the perceiver and the object of perception arise together,

i ask, but what knows that? is that on the same level or the deeper level of seeing?

 

나는 이것을 그대와 함께 해결하고 싶다,

'그래, 하지만 인식하는 자와 인식의 대상은 같이 떠오른다',

나는 묻는다, 하지만 무엇이 그것을 아는가, 같은 단계에 있는 것인가 아니면 더 깊은 바라봄의 단게인가

 

(deeper -)

(더 깊은-)

 

so therefore, that perceiver which arises with object of perception,

and i say, but something must perceive that, that was also perceived,

so then, that loses its power, like that's ultimate seeing, no, that's just another clouds passing,

then i want to catch you at the place where you think, 'but it just goes on and on',

i'd say, no, it doesn't go on and on,

because if it is seen, that there is a perceiver

 

그러면, 인식의 대상과 함께 떠오르는 인식하는 자, 라고 하면,

나는, 하지만 무언가 그것을 인식해야 한다, 그것 또한 인식된다, 고 말한다

그러면 그것은 그 힘을 잃는다,

궁극의 바라봄인 것 같았는데, 아니다, 그냥 또 다른 구름이 지나가는 것이다

 

그 다음 내가,

그대가, '하지만 그건 계속되는 것일 뿐이네' 라고 생각하는 곳에서 그대를 잡고 싶다

나는 아니, 라 말하겠다, 계속 되고 되는 것이 아니다

보여지는 것이면, 인식하는 자가 있다

 

because you have to remember that ego also perceive, it also witnesses,

but the difference is the ego witness with self interest,

it's a very partial witness, it's a biased perspective, it's not a total perspective, isn't it?

 

그대는 에고 또한 인식한다는 것을 떠올려야 한다, 에고 또한 주시한다

하지만 차이는 에고는 자기 관심으로 바라본다

아주 부분적인 바라봄이다, 치우친 관점이다, 완전한 관점이 아니다, 그렇지 않은가

 

so i agree with you that there is a perceiver that arise with simultaneously the object of perception,

but there's a perceiving of this,

and that deeper perceiving of this is that a duality of functioning or is it, what is there?

is there anything personal there?

 

그래서 나는 그대에게 동의한다,

인식의 대상과 동시에 떠오르는 인식하는 자가 있다,

 

하지만 이것을 인식하는 것이 있다

그리고 이것에 대한 보다 깊은 인식은 작용의 이중성인가, 

무엇이 있는가

제한된 인식이 있는 것인가

 

(it's just awareness there)

(그냥 인식이 있을 뿐이다 : 다른 사람이 대답함)

 

can you agree with this? 

or what would you say?

 

(질문자에게) 이것에 동의할 수 있는가

아니면 뭐라고 하겠는가

 

(yeah)

(그렇다)

 

so you who agree with it, must be the awareness itself or not?

 

그대는 동의한다, 인식 자체가 동의한 것이겠다, 아닌가

 

(yes)

(그렇다)

 

is that agreement a dualistic function or something?

what happens in that ultimate agreement?

that yes, 'but just awareness here',

can a conversation go on?

is there more to dig?

 

그 동의는 이중성의 작용인가 아니면 뭔가

궁극의 동의에서 무엇이 일어나는가

 

'하지만 여기에는 인식만 있을 뿐',

 

대화가 계속 갈 수 있는가

더 파고들어야 할 것이 있는가

300x25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