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언어에 조심해야 한다
마음은 교활하기 때문이다, 그가 언어를 고안한다
우리가 말할 때 아주 조심해야 한다
그대의 숙고와 같이 해야 한다
with the mind, once we took on the costume of the personhood,
the mind will take on the costume as your friend and adversary that play this game,
must have been orchestrated by the supreme self
this dream, this maya
마음은,
우리가 제한된 인식의 분장을 한 번 쓰면
마음이 그대의 친구와 적으로 분장할 것이다,
이런 놀이를 벌인다
최상의 자신에 의해 지휘되는 것이다
이 꿈, 이 환영
'everything is going on by itself',
is it true? including your thought process, could you include?
i want to know, is it everything go on by itself, everything nice is going on by itself?
and everything nasty is going on by somebody else?
but we have to watch it also, at a certain point, we may see, 'but if everything is indeed going on by itself,
the bitter and the sweet, and for whom are the bitter and the sweet?
becasue can the bitter and the sweet go on without the one, for whom they seem to be going on for?
that one is also seen, she is confessing
'모든 것이 알아서 간다'
이것이 진짜인가
그대 자신의 생각을 포함하여
그것을 포함시킬 수 있는가
나는 알고 싶다
모든 것이 알아서 간다, 모든 좋은 것이 알아서 간다?
그리고 모든 고약한 것이 다른 누군가에 의한 것이다?
우리는 이 또한 잘 봐야 한다
어느 지점에 이르면, 우리가 볼 수 있다
좋든 나쁘든 모든 것이 사실 잘 가고 있다고 한다면,
누구에게 좋고 나쁜 것인가
왜냐하면 좋고 나쁜 것이, 그러한 자 없이 일어날 수 있는가, 누구에게 그것들이 일어나는 것으로 보이는가
'그것 또한 바라보아진다', 그녀가 자백한다
what are we taking from this? we being who?
we have to be, we are the same one, in drag, basically as the sort of the like listening, desiring, growing, evolving,
this is the play, this is the liquid god, dynamic form of god who is in the game of transcendence
is god transcended? no, before this play
perfection can need not transcended
the play of imperfection must transcend
and the game becomes sweet as you catch hold of it
that things that are being clung to, and there's no blame, 'oh you're clinging to this thing'
no, when we are strongly identified with the one who is doing, the doer one,
we take on and embrace the feeling of guilt and blame and shame
but you didn't do it and i wish i did more of it, i want to give more i i i............
but we need to be careful with language
becasue mind is clever, he designs language
we have to be very careful when we say that
that you are in step with your contemplation
이것에서 우리는 무엇을 얻는가, 우리 누구?
우리는 같은 하나이다, 기본적으로 길게 늘어지는. 듣고, 욕망하고, 성장하고 진화한다
이것이 놀이이다, 액체상태 같은 신이다, 역동적인 형상의 신이다, 변형의 게임 안에 있는
신이 변형되는가, 아니다, 이런 놀이 이전에 있다
완벽에는 변형됨이 필요할 수 없다
불완전함 의 놀이가 변형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대가 파악할수록, 게임이 달콤해진다
매달리던 것들이,
비난은 없다, '아 너는 이런 것에 매달리니'
아니다, 우리가 강하게 '하는 자' 에 동일시될 때
우리는 죄의식과 비난, 수치심을 떠맡고 끌어안는다
'넌 그것을 안 했다 / 내가 더 했더라면 / 나는 더 주고 싶다, 나 나 나 나................'
우리는 언어에 조심해야 한다
마음은 교활하기 때문이다, 그가 언어를 고안한다
우리가 말할 때 아주 조심해야 한다
그대의 숙고와 같이 해야 한다
i am very happy to share becasue i know it all comes out beautifully
why, becasue it is important in the world to see what is illusion, to discern what is true
and we cannot say, what is true universally so easily
becasue people have versions of truth that is somehow filtered through our social, political, spiritual conditioning
and ways that consciousness has created rivers
they say, 'you must go down this river and all the rivers lead to me, i am the ocean you all come to me,
fight not amongst yourself because i created you, i created your flow, i created your water and you all come from me
나는 이렇게 나눌 수 있는 것이 아주 행복하다, 모든 것이 아름답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왜?
왜냐하면 세상에서 무엇이 환영인지를 보는 것, 무엇이 진짜인지를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는 대개 아주 쉽게는 진짜인 것을 말할 수 없다
사람들은 어떻든 사회적, 정치적, 영적 조건화를 거친 그들만의 진리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의식이 강물들을 만들었다
'너는 이 강을 따라가야 한다, 모든 강이 내게로 온다, 나는 그대들 모두가 오는, 바다이다,
그대 자신 사이에서 싸우지 마라, 내가 그대를 만들었으니
내가 흐름을 만들었고, 내가 그대의 물을 만들었다, 그대들 모두가 나에게서 나온다'
'Mooji'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대는 생각이 아니다 (0) | 2020.08.29 |
---|---|
제한된 인식의 방식으로 무엇이 얻어졌는가 (0) | 2020.08.28 |
주는 자 또한 내어주어야 한다 (0) | 2020.08.26 |
나 누구? 아니면 그것 이 무엇인가 (0) | 2020.08.25 |
우리 안에 무언가 달리는 것이 있다 (0) | 2020.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