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 자신을 더 잃을수록, 그대 자신을 더 발견한다
다른 식으로는, 그대가 아닌 것을 잃을수록, 그대 자신에 대해 가진 관념을 잃을수록, 그대는 더욱 발견한다
그대는 항상 여기에 있다
모든 것을 덜어내라, 남아있는 것이 그대이다
모든 것을 되돌려놓아라, 그대가 남는다
maybe one day the world would have such a prayer,
let us not brun each other, let us brun only what is not true,
can you imagine? how beautiful,
let's stop hurting each other,
~our all desusions by Gods Grace, each one wake up to the inner beauty of the self,
so that this life is spent well,
if you've used a life well, you've attained the freedom.
what is freedom?
is not just idea, 'yes, i know this, i can say this', this smart things,
no
is that your life becomes the proof that God exists.
아마 언젠가는 세상이 이런 기도를 할 것이다
우리가 서로를 태우지 않도록, 진실하지 않은 것만을 태우도록
상상할 수 있겠는가
얼마나 아름다운지
모든 환영들이 신의 Grace 에 의해,
각자가 자신 안의 아름다움에 깨어난다
그렇게 이 삶을 잘 보냈다고
그대가 삶을 잘 사용했다면, 자유를 얻은 것이다
자유가 무엇인가
그냥, '그래 나 이거 알아, 이렇게 말할 수 있지', 와 같은 영리한 것들,
아니다
그대의 삶이 신이 존재한다는 입증이 되는 것이다
blessed is the one who's life is the evidence of the truth.
for this reason, i come
so like anyone who feels the love which is not merely personal can only serve.
you have to taste the privilege of service to do, whever can be done, to facilitate the clear understanding of who we are in the heart and in the mind,
this is genuinely someone's prayer,
how can it not be heard?
축복 받은 자는 그 삶이 진리의 입증인 자이다
이런 이유로 내가 있다
이런 식으로, 단지 person (아주 제한된 의식) 이 아닌 것을 사랑하는 자만이 줄 수 있다
그대는 줄 수 있는 특권을 맛 봐야 한다,
끝났을 때, 가슴에서, 마음에서 우리가 누구인지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쉽게 하도록 할 수 있게
이것이 진짜 기도이다
그것이 어떻게 안 들어질 수 있겠는가
the Grace of God works in such a way that even as you sleep, even as we sleep,
we're expanding in that understanding, maturing through Grace.
it needs not be some strenuous work,
just that you're becoming more open to this,
you begin to appreciate, you bein to recognize the great miracle that wichin your own self,
something perfect is there already,
no human being can perfect it,
you can only discover
신의 Grace 는 그대가 잘 때에도 작용한다, 우리가 잘 때에도,
이해 안에서 우리가 확장한다, Grace 를 통해 성숙한다
어떤 고된 작업이 필요한 것이 아니다
그냥 이것에 그대가 점점 더 열려가는 것,
그대는 감사하기 시작한다, 그대 자신 안의 커다란 기적을 이해하기 시작한다
무언가 완벽한 것이 이미 있다
아무도 그것을 완벽하게 만들 수 없다
발견할 수 있을 뿐이다
Satsang is for that, to discover that,
so that the mind does not have dominion over you, over your heart,
it never has,
is just we dream it,
it's never true
사트상이 그것을 위해 있다, 그것을 발견하기 위해
마음은 그대를, 그대의 가슴을 지배하지 않는다
그랬던 적이 없다
단지 우리가 그렇게 꿈을 꾼다
그건 결코 진실이 아니다
when you recognize again completely in the heart the truth of yourself,
it is already beyond familiar to you.
그대가 다시 완벽히 가슴 안에서 그대 자신의 진리를 이해할 때
그건 이미 그대에게 친숙한 것 이상이다
the more you lose yourself, the more find yourself,
another way, the more you lose what you're not, lost the idea you have of yourself, the more you discover,
you're always here, you take everything away, you're what remains, put everything back, you're what remains
그대 자신을 더 잃을수록, 그대 자신을 더 발견한다
다른 식으로는, 그대가 아닌 것을 잃을수록, 그대 자신에 대해 가진 관념을 잃을수록, 그대는 더욱 발견한다
그대는 항상 여기에 있다
모든 것을 덜어내라, 남아있는 것이 그대이다
모든 것을 되돌려놓아라, 그대가 남는다
you have to know this
sometimes we have to leave everything aside to find the one thing that cannot be left aside,
the one thing that cannot be removed.
find that,
when you find that, you can put evrything back, won't matter
그대는 이것을 알아야 한다
때로 우리는 모든 것을 제쳐놓아야 한다, 제쳐놓아둘 수 없는 하나를 발견하기 위해
제거될 수 없는 것을 찾기 위해
그것을 찾아라
그것을 찾을 때, 그대가 모든 것을 되돌려놓을 수 있다,
문제일 게 없을 것이다
so we have to be cured from that delusions that we're merely our body mind and conditioning
and you must know this beyond merely intellectual conviction.
it must be closer than intimacy, even close is not good cause close means apart,
you must be one with this and it is happening, if you, what is our role?
that is cooperate with the Grace, welcome it, appreciate it, love it, be it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가 고작 우리 몸과 마음, 조건화일 뿐이라는 환영에서 치유되어야 한다
단지 지적 확신을 넘어, 이것을 알아야 한다
친밀함보다 가까운 것이다, 가깝다는 걸로 충분치 않다, 가깝다는 것은 떨어져 있다는 의미다
그대는 이것과 하나여야 한다
그리고 그렇게 일어나고 있다
우리 역할은 무엇인가
Grace 에 협조하는 것, 그것을 환영해라, 그것에 감사해라, 그것을 사랑해라, 그것이어라
'Mooji'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것이 습관적이라는 느낌 또한 인식된다 (0) | 2018.05.16 |
---|---|
그러면 그대는 온 힘으로는 불타오르지 못한다 (0) | 2018.05.15 |
그대의 마음에 기대지 마라 (0) | 2018.05.13 |
나는 그대가 이것을 받아들이면 좋겠다, 봐라, 그대 스스로 봐라 (0) | 2018.05.12 |
대개 습관을 통해 우리는 우리 자신을 인식의 대상 자리에 놓는다 (0) | 2018.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