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이들이 그냥 관계에 행복하다
그것 또한 좋다, 그것이 그들의 역량이 드러내는 곳이므로
그래서 깨어남의 길은, 아주 좁다, 거의 없다
'난 이런 사람이다'라는 완고함 때문에
for most people, the great rivers of religion are very good, very helpful
because they can experience the impact of grace,
and the transformative power of grace,
but still somehow person still survives, with grace which is the big river
and then once they receive the darshan of god's grace,
they can grow, they can keep evolving,
but many just are happy with relationship,
which is also good, because that's what their capacity is revealing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종교라는 큰 강물은 아주 좋다, 아주 도움이 된다
은혜로움의 영향, 은혜로움이 변화시키는 힘을 경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전히 어떻든, 제한된 의식 (난 이런 사람이다) 가 살아 남아 있다,
큰 강물인 은혜로움과 함께
신의 은혜로움의 축복을 받으면,
그들은 성장할 수 있다, 계속해서 진화할 수 있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그냥 관계에 행복하다
그것 또한 좋다, 그것이 그들의 역량이 드러내는 곳이므로
so for the path of realization, it's very narrow, it's very few
because of the stubbornness and the deep entrenchment of personal identity
'i want to have a relationship with god, i don't want to be god'
but this being god is not a blasphemy like, 'oh i'm equal, same as god', no
it's like harmony that your essence and god are in harmony
but your person is largely imaginary
and that wants to keep going through the wheel of samsara,
the movements of transmigration from a form to form
그래서 깨어남의 길은, 아주 좁다, 거의 없다
'난 이런 사람이다'라는 완고함, '난 이런 사람이다'가 깊이 확립되어 있기 때문이다
'난 신과의 관계를 갖고 싶다, 신이고 싶지 않다'
하지만 이 신 인 것은, '난 신과 대등하다'라는 식의 신성모독이 아니다
그대의 본질과 신이 조화롭게 있는 것과 같다
하지만 그대의 '나란 사람'은 주로 상상된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계속해서 삼사라의 바퀴를 통과하고 싶어한다
하나의 형상에서 형상으로, 윤회하는 움직임들을
where is he going?
it's going into holistic realization
not the duality
because once duality is there, the ego survives,
and it seems happy with relationship
but it's not universal in its way
it's still very secular, separate, still has beliefs and disbeliefs
whereas realization is beyond belief
어디로 가고 있는가
전체상 깨어남으로
이원성이 아니다 (가령 '내가 깨어난다'가 아니다)
왜냐하면 이원성이 있게 되면, 에고가 살아남는다,
그것은 관계에 만족하는 것 같다
하지만 그 방식으로는 전체적이지 않다
여전히 아주 세속적이고, 분리되어 있고, 믿음과 불신을 갖고 있는 것이다
깨어남은 믿음을 벗어나 있는 반면에
a relationship with god is not bad
is better than relationship with your ego and the world
of course, it's a stage
if there's more to go, if there's more refinement to happen, if there's more completeness,
if there's more this union which is not based on, 'i am as good as god', not that
but just a natural urge born,
then it is god that put the drive in you
and something inside must qualify to even have that feeling
신과의 관계가 나쁜 것이 아니다
그대의 에고와 그 세상과의 관계보다 낫다
물론 그것은 하나의 단계다
더 갈 것이 있다면, 더 정제가 일어나야 한다면,
더 완결이 있다면,
'난 신이나 마찬가지다'에 근거를 두지 않은 하나임이 더 있다면
자연스럽게 생겨나는 열망이다
그러면 그것이 그대 안에 신이 둔 열망이다
그리고 안의 무언가가 그런 느낌이라도 갖는 것에 적격이어야 한다
because many people may start off saying, 'i want this'
but as the actualiization of the possibility ripens,
they start to back away
becacuse what they treasure as being important is dissolving
'what is it being replaced with?'
we're very much in the phenomenon of getting something, losing something
but the self is just what we are
왜냐하면 많은 사람들이, '난 이걸 원한다'라 말하는 것에서 시작하지만
가능성이 무르익어 사실로 되어 가면서,
물러나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그들이 중요하다고 아끼는 것이 해체되므로
'뭘로 대체되고 있는 건가?'
우리는 무언가를 얻고, 무언가를 잃는 현상에 아주 많이 빠져 있다
하지만 '자신' 은 그냥 우리인 것이다
it's pure
it doesn't want something
there's not something else, like it fills everything
순수하다
무언가를 원하지 않는다
그 밖에 다른 것이 없다
그것이 모든 것을 채우는 것과 같다
'Mooji'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대가 오래 전에 떠났을 수 있을 것들을 되풀이 하는 것은 (52) | 2025.01.04 |
---|---|
높은 의식에 고삐를 놓는 것 (24) | 2025.01.03 |
기분에 대한 것이 아니다 (31) | 2025.01.01 |
배워야 할 것이 아주 아주 많다 라 절대 느끼지 마라 (13) | 2024.12.31 |
두려움, 난 그대가 그것을 보기를 원한다 (28) | 2024.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