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는 그대 자신에게 의문을 품지 않는다, 이런 중 그대 자신이 도전 받는 것을 허용하고 있지 않다
우리는 모든 것을 원한다, 하지만 그대는 그것을 얻기 위해 그대 자신 중 아주 조금을 내어놓는다
그것을 얻는 자가 되고 싶다
그리고 나는 지금,
붙들고 있는 그대 자신에 대한 그대 생각이 경험적으로,
그대 에 대한 직관적이고 자연스러운 이해를 가로막고 있다 는 것을 가리키고 있다
it's nothing personal, the guidance and the discovery that has happened here,
is as the same discovery that can be made right where you are
여기에서 일어나는 가리킴과 발견은
특정 개인에 사적으로 제한된 인식에 관한 것이 아니다,
그대가 있는 바로 그 곳에서 가능한 것과 같은 발견이다
but the mind says, 'no, i want to have my own discovery, i want you to talk to me',
하지만 마음은, '아니야, 난 나 자신의 발견을 갖고싶어, 나에게 말해주길 원해',
라 한다
so this feeling of me is then very strong, 'that's not me, that's he',
Mooji, can you talk to me?
then that's gonna be very difficult for me
이 나' 라는 느낌은 그러면 너무 강하다,
'그건 내가 아니잖아, 그 잖아',
Mooji, 내게 말해줄 수 있나요
그러면 이건 내게 너무 어려운 것이 될 것이다
'i went to emptiness and i came out of the emptiness',
'빔 으로 갔다 그리고 빔 에서 나왔다' ?!
is emptiness speaking about emptiness? no,
this is why i ask you,
because you say, 'i have been following pointings',
i want to ask you, where do they lead?
if you follow something, then where does it end?
cannot speak pointing, pointing, pointing,
at what am i pointing?
and you have been to this place, am i pointing in any direction that you should go?
or am i pointing to something which is not the end of the journey?
빔 이 빔 에 대해 말을 하는가, -아니다,
이래서 내가 그대에게 묻는 것이다
그대는, '나는 가리킴들을 따라왔는데' 라며 말하고 있다
나는, 그것들이 어디에로 이끌던가, 라 묻고 싶다
그대가 뭔가를 따랐다, 어디에서 끝나던가
가리킴, 가리킴, 가리킴 만을 말할 순 없다
내가 어디를 가리키는가
그리고 그대는 이 곳에 있었다 고 한다
내가 그대가 가야하는 어느 방향을 가리키는 것인가
아니면 여정의 끝이 아닌 무언가를 가리키는가
is the emptiness a possession?
because if it is a possession, you're going to lose it,
if it is something you create, it probably get damaged,
빔 은 소유물인가
그것이 소유하는 것이라면, 그대는 그것을 잃을 것이다
그대가 만들어낸 것이라면, 그것은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is there you who found the emptiness and now you have to make sure you take care of your emptiness?
is it like that?
빔 을 발견한 그대가 있어서 이제 그대가 그대의 빔 을 확실히 보살펴야하는가
그런 식인건가
-yeah, maybe
-아마 그런 것 같다
then is not it,
something is still holding onto the sense of identity that wants to accomplish something
and then to say i accomplish that,
so there still a duality there, then still the you who had the experience of emptiness,
but it went away, how can i get it back again?
그러면 그건 아니다,
뭔가 여전히, 무언가를 성취하고 싶어하는 동일시의 느낌을 붙들고 있다
그 다음 내가 그것을 해냈어 라고 말하고 싶은
그럼 여전히 이중성이 있다,
빔 의 경험을 한 그대, 하지만 그것이 사라졌어, 어떻게 내가 다시 돌려낼 수 있을까
and you're not challenging yourself, you're not allowing yourself to be challenged in this,
we want everything, but you offer so little of yourself for that,
you want to be the one who get it
and i'm pointing now that your idea of yourself being held onto stands in the way experientially of the intuitive and natural recognition of what you are
그대는 그대 자신에게 의문을 품지 않는다, 이런 중 그대 자신이 도전 받는 것을 허용하고 있지 않다
우리는 모든 것을 원한다, 하지만 그대는 그것을 얻기 위해 그대 자신 중 아주 조금을 내어놓는다
그것을 얻는 자가 되고 싶다
그리고 나는 지금,
붙들고 있는 그대 자신에 대한 그대 생각이 경험적으로,
그대 에 대한 직관적이고 자연스러운 이해를 가로막고 있다 는 것을 가리키고 있다
this sense of i is not being tackled,
it wants to be the achiever, if it achieve something, it has not gotten out of the way, it remains or survives as the achiever of the thing,
so there still the duality in you
이 나' 라는 느낌 이 문제제기를 받지 않는다
성취하는 자가 되고 싶어한다, 뭔가를 성취하면, 그것에서 빠져나오지 못한다, 성취한 자로 남아있거나 생존해 있다
그렇게 아직 그대 안에 이중성이 있다
but i'm asking you, a little bit deeper, come a little bit more inside where you're not wearing in uniform of personhood,
so that even the sense of your person feeling good or bad about something becomes sort of like an image inside the seeing in self,
then you see, 'oh, yes i can see that my mind is playing this picture,
하지만 나는 그대에게, 조금 더 깊이, 그대가 사적으로 제한된 인식 의 복장을 입고 있지 않은 안으로 조금 더 들어오라고 요청한다
그래서 그대의 제한된 인식이 뭔가에 대해 좋게 혹은 나쁘게 느끼건,
진짜 자신 안에서 보이는 일종의 이미지일 뿐 이라는 것
그러면 그대가, '아, 그러네, 내 마음이 이런 그림으로 놀이를 벌이고 있는 것이 보이네'
but this seeing itself, is it being done by a person?
is the seeing coming from some eyes, the seeing i'm speaking about?
is there some eyes seeing something?
because a blind person can follow my pointing and say, i see it,
are they seeing an object to say, 'aha, i can see it'?
am i pointing to a form or a shape or size or something that you can say, i can see it?
so what kind of seeing is this?
하지만 이 바라봄 자체 가, 사적으로 제한된 인식에 의한 것인가
어떤 눈으로 바라보는 것인가, 내가 말하는 바라봄이란 것은,
눈이 있어서 무언가를 보는 것인가
왜냐하면 시각장애인이 나의 가리킴을 따라오고, 내가 본다, 고 말할 수 있다
그들이, '아하, 보인다' 고 하는 것이 어떤 대상인가
내가 어떤 형상이나 모양, 크기, 혹은 그대가, '내가 볼 수 있다' 고 말할 수 있는 무언가를 가리키는 것인가
그러니 이건 어떤 종류의 바라봄인가
so i call it a non phenomenal seeing or recognition,
meaning that is a recognition of something which is not an object,
it is like the subject becoming aware of itself
그래서 나는 현상적이지 않은 바라봄 혹은 알아차림 이라 한다
대상이 아닌 것에 대한 이해 이다
마치 주체 가 그 자신을 알아가는 것 같다
is that saying too much?
내가 말하는 것이 너무 이해하기에 과한가
'Mooji'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성은 멍함으로 고통받을 수 없다 (0) | 2019.03.14 |
---|---|
진짜를 본 것에서 나오는 권위 (0) | 2019.03.13 |
그대는 아무 것 없음 이기 위해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0) | 2019.03.11 |
그대가 진리에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어 내가 그대를 여행 떠나보내야 하는가 (0) | 2019.03.09 |
보기는 하면서 개입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0) | 2019.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