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대가 교육과 조건화, 동일시에 의존을 덜할수록
순수 존재의 영역 안으로 더 깊이 빠져들수록,
이런 것들이 저절로 드러난다
우리가 그러한 것을 가르치지 않는다
그렇게 나타난다
지혜가 가르쳐질 수 없듯, 그건 그냥 어떤 식으로 해서 싹이 튼다
무수한 것들이 그런 식으로 온다
the one who was here previously and who was saying, 'oh, i got to be free, got to find a freedom' and so on.
now you cannot find, where is it? where is this person, who was asking, 'oh, i just want to be free'
이전에 이 곳에 있던 자, '아, 난 자유로워져야 해, 자유를 찾아야 해' 라고 말하던 자,
이제 그대는 찾을 수 없다
어디에 있는가, 이 사람은, '난 자유로워지고 싶을 뿐' 이라고 애타하던 자는 어디에 있는가
but at the same time, that phase and that urge was important at that time,
that urge brought you here,
so today you can be saying, the one who was searching cannot be found
그러나 동시에, 그런 단계와 그런 열망이 그 때에는 중요했다
그 열망이 그대를 이 곳으로 데려왔다
그렇게 오늘 그대가, '찾던 자를 찾을 수 없다', 라고 말할 수 있도록
discovering can continue somehow, going deeper, coming more defined, more mature, you can say word like that,
at the same time, there is this space which is unchanging.
it's kind of paradox
but within the experience, it feels totally right
발견은 어떻게든 계속된다, 깊어지고, 더 정제되며, 더 성숙해진다 라는 식으로 그대가 표현할 수 있다
동시에 변하지 않는 이 공간이 있다
일종의 모순이다
하지만 경험 안에서 그것은 완전히 옳다고 느껴진다
and good that you mention that we don't see each other everyday, 'hello, hi', talk or something,
though i'm here, you're here, moving in our natural pace,
but inner connection, that was not broken
and that is a sign of maturity too.
that the vibration of what you have seen and,
that continuous even as you sleep, something it needs to continue to mature, become more deep.
우리가 매일 보면서, 안녕, 등 이야기를 하거나 하지 않는데
내가 여기에 있고, 그대가 여기에 있고, 우리의 자연스러운 속도로 움직인다
하지만 안에서의 연결은 끊기지 않았다
고 그대가 언급한 것 좋다
그것은 성숙의 표시이기도 하다
그대가 경험한 것의 진동 그리고
그대가 자면서도 계속해서 성숙하고 깊어져야 할 것은 계속된다
so i'm happy when i hear this,
cause it's good that everyone hears that sometimes it feels like, 'oh, i don't see you, i want to see you,'
funny sometimes we have satsangs, it might be one thousand people, so many people
and then i may ask someone, have you seen John?
and for some reason, she's not in the room,
how? because i'm counting? no,
i'm looking and have registered? no
but the feeling comes, who is this one, it turns out this one is not well or something, they're not there
그래서 나는 이렇게 듣고 기쁘다
모든 사람들이 이것을 들을 수 있으므로
때로, '아 당신이 보이지 않네요, 보고 싶어요' 라는 식으로 느껴지는 때에는
재미있는 건, 우리가 사트상을 하는데, 천 명의 사람들이 있을 수도 있고, 무수한 사람들이 있을 수 있다
그런 때에 내가 누군가에게, John 못 봤나? 라고 물을 수 있다
뭔가의 이유로, 그녀가 방에 없다
어떻게 (내가 아는가)?
사람 수를 세기 때문에? 아니다
쳐다보고 기록하기 때문에? 아니다
하지만 느낌이 온다, 이 자는? 그리고 이 사람이 잘 지내고 있지 못하다 거나, 그 자리에 있지 않다는 것으로 밝혀진다
so something works like that,
some of you know this, you have experienced
it's like a mystery
it's knowing but it's not a studied knowing,
it comes with the beingness.
무언가 이런 식으로 작용한다
그대들 중에는 아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경험했을 것이다
그건 신비다
앎이지만 공부를 한 앎이 아니다
존재함으로 나타난다
the more that you are not depending so much on education and conditioning and identity,
but more sinking inwardly into that realm of pure being,
these things are manifesting automatically.
we don't teach that. it comes, just like wisdom cannot be taught, it just somehow sprouts,
many things come like that
그대가 교육과 조건화, 동일시에 의존을 덜할수록
순수 존재의 영역 안으로 더 깊이 빠져들수록,
이런 것들이 저절로 드러난다
우리가 그러한 것을 가르치지 않는다
그렇게 나타난다
지혜가 가르쳐질 수 없듯, 그건 그냥 어떤 식으로 해서 싹이 튼다
무수한 것들이 그런 식으로 온다
'Mooji'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상을 이용하지 마라, 만들어내지 마라, 그냥 봐라 (0) | 2018.05.04 |
---|---|
무언가 이것에 아직 질문을 던지지 않았다 (0) | 2018.05.03 |
그대가 허구로서 알아야 한다 (0) | 2018.05.01 |
의미는 인식하는 사람의 마음에 있는 것이고, 그것 자체는 아니다 (0) | 2018.04.29 |
보는 것은 그대가 주체와 하나인 것이다 (0) | 2018.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