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착과 관련된 이런 것들, 불안과 구걸스러움 등의 느낌을 가져온다
우리는 그냥 그것을 바라본다
느낌 자체만 보기보다, 누구에게 다가오는지를 본다
누구에게 집착인지,
우리가 알아낼 수 있는지 본다
그냥, 누구라니, 라 냉소적으로 말하지 마라
아니다
그건 열리고 지성적이고 명확한, 제정신인 질문이다
you must know the difference between ourself and our mind
and this is becoming clear,
and clear.
in anyone in whom there's earnestness for the truth, it is coming clcear,
Grace is on your side, more than your mind,
so something is there refining even as you sleep
because you have chosen the higher..........the highest choice,
you've chosen freedom, chose truth, chose God or so.
it must open up to great space for freedom.
그대는 자신과 마음의 차이를 알아야 한다
그리고 이건 점점 명확해진다
진리를 향한 진지함이 있는 누구에게나, 그건 점점 명확해진다
Grace 가 그대 편이다, 그대 자신의 마음보다도
그런 식으로 무언가가 있고, 그대가 잘 때에도 계속해서 정제된다
그대가 보다 높은, 가장 높은 선택을 했으므로,
그대는 자유를 선택했다, 진리를 택했다, 신을 택했다
그것으로 자유를 위한 커다란 공간에 열린다
so i mention this because attachment falls very closely to love but it much more belonging to the person,
whereas the love of presence in the self
but attachment comes from a person, from the sense of insecurity
and the fear to be rejected or to lose that which is so much inside your heart
내가 이런 것을 말하는 이유는
집착은 사랑에 아주 가깝게 떨어지지만, 그건 person (아주 제한된 인식) 에 훨씬 더 많이 속해 있다
존재의 사랑이 self 에 있는 것과는 달리
집착은 person 에서 온다, 불안함에서,
그리고 거절당할 두려움이나 그대의 가슴 안에 있는 너무나 많은 것을 잃을까 하는 두려움에서
but the more you keep honoring this,
if all things fall away, everything should fall away from you
and you can only be clinging to God's toenail, you're saved.
그러나 그대가 계속해서 (진리를) 가치있게 여길수록,
모든 것들이 떨어져나간다면, 모든 것이 그대로부터 떨어져나가야 한다
그리고 그대가 오로지 신의 발톱에만 매달려있을 수 있을 때, 그대는 구해진다
understand?1 so don't worry
you just have to stay, stay with it.
that's your focus.
the all things be passsed away but this will not pass away
알겠는가, 그러니 걱정마라
그대는 그냥 머물러라, 그것과 함께 머물러라
그것이 그대의 초점이다
모든 것들이 지나갈 것이다, 하지만 이건 지나가지 않을 것이다
so these attachments come, there's a mirror also showing,
maybe where there still inside the sense, those are still living,
그러니 집착들, 온다,
또한 거울이기도 하다
아마도 아직 감각 안에서, 그런 것들이 살아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feels may be rejected and it makes us feel a sham
and when we feel the shame, we don't want to expose, we want to hide, you don't want others to see that such a thing could be experienced by you.
거절당할지도 모른다고 느끼는 것은, 우리를 수치스럽게 만든다
그리고 우리가 수치스러움을 느낄 때, 드러내고 싶지 않다, 숨기고 싶다
다른 사람들이 그러한 것을 그대가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보게 하고 싶지 않다
so this is why i say that
when people come, it's not like that i like to hear their stories, what they're exposing,
by love that they're strong enough, bold enough to say that 'i just want to expose this,'
that is love, because also it allows your brothers and sisters to feel, 'wow, he did that'
when you do this, they feel so much love for you.
we think they're gonna go hohoho, got you!
no, no,
there would only be from people who really have much more darn that's been hidden,
but mostly sangha loves you.
when you declare, yes, i'm having trouble with this
이래서 내가 말하는 것이다
사람들이 올 때,
내가 그들이 드러내는 것,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싶은 것이 아니다
사랑에 의해, 그들은, '난 단지 이것을 폭로하고 싶다' 라고 말할 만큼 충분히 강하고, 대담하다
그건 사랑이다
왜냐하면 그것으로 그대의 형제들, 자매들이, '와, 그가 저랬구나' 라고 느낄 것이므로,
그대가 이렇게 할 때, 그들은 그대에게 너무나 많은 사랑을 느낀다
우리는 그들이 비웃을거라 생각한다
아니, 아니다
정말 심하게 악의를 가진 사람들만이,
하지만 대부분은, sangha 는 그대를 사랑한다
그대가, '그렇다, 나는 이런 문제를 갖고 있다' 고 선언할 때
so these things with attachment brings a feeling of insecurity, neediness and so on.
we just watch it,
rather looking at the feeling itself only, look at the one who is coming to,
for whom is attachment,
see if we can identity, don't just say cynical like who is it,
no,
it's open, intelligent, clear and sober question,
who is been really attached by this, who is suffering this feeling
and stay with this question, don't change it for more easy one, stay with it,
who is it to see,
and don't use imagination, don't create, just see,
there's feeling there, the feeling is some attachment is there,
so use the feeling like a smell to find out where is coming from, who is it coming for,
stay with it, stay with it
and at a certain point, like i say, if you keep attention on it, understand what you're asking, not just mimicing something,
ir you really understand your question which you're asking,
at some point, you'll experience a kind of release
그러니 집착과 관련된 이런 것들, 불안과 구걸스러움 등의 느낌을 가져온다
우리는 그냥 그것을 바라본다
느낌 자체만 보기보다, 누구에게 다가오는지를 본다
누구를 향한 집착인지,
우리가 알아낼 수 있는지 본다
그냥 그게 누구겠어 라 냉소적으로 말하지 마라
아니다
그건 열리고 지성적이고 명확한, 제정신인 질문이다
이것에 의헤 누가 정말 공격받았는지, 누가 이 느낌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지
그리고 이 질문과 머물러라
쉬운 걸로 바꾸지 마라
그것과 머물러라
누가 보는가
그리고 상상을 이용하지 마라, 만들어내지 마라, 그냥 봐라
느낌이 있다, 느낌은, 집착이 좀 있다는 것이다
느낌을, 그것이 어디에서 나오는지, 누구를 향한 것인지를 알아내기 위한 냄새처럼 활용해라
그것과 머물러라, 그것과 있어라
그리고 어느 지점에서,
내가 말하듯, 그대가 계속해서 그것에 주의를 두고, 그대가 묻고있는 것을 이해하면, 단지 무언가를 흉내내는 것이 아니라면,
그대가 정말 그대가 묻고있는 질문을 이해한다면,
어느 지점에서, 일종의 놓여남을 경험할 것이다
because they cannot stand the laser power of your looking,
you stay with him
and then it cannot stay hooked in, it'll just loosen up
because of your insistance, your persistance,
it hasn't happened before
because we're protecting it,
in a minute something becomes clear, then i have to free of this things.
you can do this, you can look at this way,
stay with it
왜냐면 그것들은 그대가 바라보는 레이저의 힘을 견딜 수 없다
그대는 그와 있어라
그러면 그것은 걸어잡고 있을 수 없다, 힘을 풀 것이다
그대가 끈기있게 잡고 있으므로
그건 이전에 일어난 적 없던 일이다
왜냐면 우린 그것을 보호하고 있었다
무언가 명확해지는 순간, 나는 이것들에서 자유로워져야 한다
그대는 이렇게 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바라볼 수 있다
그것과 있어라
not just a relief come, confidence come that it can be done.
it's not that anything is eternal,
none of these things are eternal.
you're there before any concept was formed, you're there.
it's you who watches concepts, concepts don't watch you
그냥 놓여남만 있을 뿐이 아니다, 되더라는 자신감이 온다
영원한 것이 아니구나
이런 것들 중 영원한 것은 없다
그대는 어떤 개념이든 개념들이 만들어지기 전의 자리에 있다
그대는 그 곳에 있다
개념들을 바라보는 것은 그대이다, 개념들이 그대를 바라보지 않는다
the one who is free doesn't swallow all these things,
they're aware of them and because they have no interest, the relationship changes and these things can stick around after a while,
your environment become clean and gradually you're cured of this delusion
자유로운 이는 이런 온갖 것들을 삼키지 않는다
그들은 그것들을 인식한다
그리고 관심이 없으므로, 관계가 변하고, 이런 것들이 잠시 들러붙어 있을 수는 있다가
그대의 분위기는 깨끗해진다
그리고 점차 그대는 이 속임수에서 치유된다
'Mooji'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래서 그대가 럭셔리에 투자할 시간을 내지 않도록 (0) | 2018.05.06 |
---|---|
본래, 기본적으로 그대의 우선 순위는 깨어나는 것이다, 깨어나고 사는 것이다 (0) | 2018.05.05 |
무언가 이것에 아직 질문을 던지지 않았다 (0) | 2018.05.03 |
공부를 한 앎이 아니다 (0) | 2018.05.02 |
그대가 허구로서 알아야 한다 (0) | 2018.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