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front of which the sense of present, the past flows and the projection towards the future flows,

but it itself is not flowing

of what value is that recognition?

if indeed it is recognized

does it stand up sufficiently to be embraced as self?

we have seemed to be conditoned, so strongly identified as an objective self

either this i am the body identity or i am my social or religious or family conditioning,

believe i'm a person living in this body,

and i'm not confer than that on the basis of that identification are experiencing life from the apparent subjectivity of this body,

that is our basis of experiences?

but through satsang, what is the basis of your experience?

 

지금의 느낌 앞에서, 과거가 흐른다, 미래를 향한 투사가 흐른다,

하지만 그것 자신은 흐르지 않는다

그 알아차림에 무슨 가치가 있는가

실제로 그것이 알아차려진다면,

자신 으로 안아들이기에 충분한 지원이 되는가

 

우리는 대상의 자신으로 너무 강하게 동일시해 온 것 같다, 조건화된 것 같다

이 '나는 몸이다'라는 동일시, 혹은 '나는 나의 사회적, 종교적, 가족의 조건화다',

'나는 이 몸에 살고 있는 사람'이라고 믿는다

그리고 그 동일시의 근거에서, 이 몸의 주체로 보이는 것에서 삶을 경험한다고

그것이 우리 경험의 근거인가

 

하지만 사트상을 통해, 그대 경험의 근거는 무엇인가

 

also we seem to be two aspected

from yesterday satsang was pointing directly to that which cannot be seen with physical eyes or evidence through senses

rather the other way around, the senses are functioning and the physicality of seeing and sense of personal identity are themselves witnessed, in a kind of phenomenality, so they're seen as objects of perceptions

what is the subject of that perceiving?

and can you bear such an discovery or an opportunity to see where the seeming subjective experiencing is without objective reference?

this is a now moment, now seeing

the now which is not a now of time

mean, time itself is perceived, as a notion movement perceived in this,

is this a movement also?

what is the value of such understanding, seen?

is it a knowledge kept?

and if it is to be kept, by who?

 

또한 우리는 두 가지 측면으로 있는 것 같다

어제 사트상에서 바로 가리킨 것은,

육체상 눈으로, 혹은 감각을 통한 입증으로 보일 수 없는 것

보다는 반대로 감각들이 작용하는 것, 그리고 보는 것의 물리성과 제한된 인식의 정체성의 느낌, 그것들이 바라보아진다, 현상계와 같은 것으로,

그래서 그것들은 인식의 대상들로 보인다

그 인식의 주체는 무엇인가

 

그리고 그대는 주체로 보이는 것의 경험이, 대상 없이 있는 곳을 바라볼 수 있는

그런 발견 혹은 기회를 견딜 수 있는가

 

이것은 지금 순간이다, 시간의 지금이 아니다

시간 자체가 인식된다는 뜻이다, 이것 에서 인식되는 개념의 움직임으로

이것 또한 움직임인가

 

그런 이해의 가치는 무엇인가, 보이는 것인가

간직되는 앎인가

간직되는 것이라면, 누구에 의해?

 

as long as it is held up as something to accomplish or to remember,

then there's possiblity to forget or to stray

but let's put that to forget or to deviate are also modes of the mind and identity perceivable,

and if they are perceivable, that which perceive them must be subtler or relatively unmoving when compared to the thing perceived

 

그것이 성취되거나 기억해야 하는 것으로 유지되는 한,

잊거나 길을 잃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잊거나 길을 잃거나 한다는 것 또한 마음과 동일시의 모습들로 인식가능하다

그리고 그것들이 인식된다면, 그것들을 인식하는 것은 보다 미묘하거나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인식되는 것에 비해

 

what to do with that which appears to call suffering?

to tangibly remove it or try to destroy?

what is the value of observing rather than merely identifying,

beacuse tendency is to identify, to claim

not a pleasant ownership, but inevitible or unavoidable state

i'm pointing to that but how important the witnessing of those states,

detached witnessing of those states reveals what?

 

고통을 부르는 것으로 보이는 것에 무엇을 해야 할까

구체적으로 그것을 제거하거나, 파괴하려 해야 할까

 

단지 동일시하는 것보다, 바라보는 것의 가치는 무엇인가

왜냐하면 습성이 동일시하는 것이다, 나 다 라고주장한다,

기분 좋은 소유권이 아니다, 피할 수 없는 상태다

 

나는 그것을 가리키지만, 그런 상태들을 바라보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

그런 상태들을 집착 없이 바라보는 것은 무엇을 드러내는가

 

myself beyond nationality or gender,

nationality or gender feels like tangible, supports to identity

and there's that which is myself beyond tangible self reference as a person or an object,

which is more substantial? more true?

can it be called even the self?

 

국적이나 성별을 넘어선 나 자신,

국적이나 성별은 구체적인 것처럼 느껴진다, 동일시를 지원한다

어떤 사람이나 객체로 구체적으로 자신을 언급하는 것을 넘어선 나 자신이 있다

어느 것이 본질적인가, 보다 진실한가

그것은 자신 이라 불릴 수나 있을까

 

even the act of looking becomes phenomenal to that which perceive

who are you, who are we?

a particular entity? uniquely individual?

is this seeing experiencing subject to time?

someone's experience that itself comes and goes

or is it the someone allegedly who say that's my experirence, is it the someone that itself comes and goes?

 

바라보는 행위조차, 인식하는 그것에게 현상적이 된다

그대는 누구인가, 우리는 누구인가

특정한 존재? 독특한 개인?

경험을 바라보는 이것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가

 

누군가의 경험은 오고 간다

아니면 '그것은 나의 경험이다'라 말하는 누군가, 그것 자체가 오고 가는가

 

that even this introspection of this nature is claimed from the very changeful perspective of personhood,

which will admit, that was nice experiences

to whom does the experience belong?

 

이런 본성의 통찰 또한, 제한된 성격의 변하는 시각에서라고,

그것은, '좋은 경험이었다'라고 할 것이다

그 경험은 누구에게 속하는가

 

so here, correct answers are not enough

we're not here merely to get the right answers

yourself must be the answer

 

그래서 여기에서는, 정확한 답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우리는 단지 옳은 답을 얻기 위해 여기에 있는 것이 아니다

그대 자신이 답이어야 한다

300x25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