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a way almost a repetitive confirming until the seeming unrelenting ways of mind dissolve in the light of the seeing
so at the end, we can say that of genuine introspective seeing, do you have something to show?
can one transcend being?
not merely to get out of the pain, but to be so fixed in the non-dual seeing that pain has no one to claim it
but emotional pain, some psychological pain, some memory pain, physical pain,
actually it seems that until we discover and be established in the root of being, life is a series of pain, in a way,
as you wake up to it
that beings who in their mind become separated or unconsciously separated from the source which is their own through nature, are in almost in the phenomenal waking state, in almost continuous state of disturbance
어느 면에서 거의 반복적인 확인이다,
마음의 완강한 방식들로 보이는 것이 바라봄의 빛에서 없어질 때까지
그래서 결국, 진실하게 조사하는 바라봄에서, 그대가 보여줄 것을 갖는가
존재를 변형시킬 수 있는가
단지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서가 아니라,
고통을 주장할 자가 없는, 비이원적 바라봄에서 너무나 안정되는 것이다
하지만 감정적 고통, 심리적 고통, 기억의 고통, 육체적 고통,
사실 우리가 발견하고, 존재의 근원에 자리잡을 때까지, 어느 면으로 고통의 연속인 것 같다
그대가 그것에 깨어날수록
그들의 마음에서 혹은 무의식적으로 그들 자신의 것인 근원에서 분리되어 있는 존재들은
본성을 통해, 현상적으로 깨어나 있는 상태에서 거의 계속적인 혼란의 상태에 있다
as you begin to recognize deeper and deeper,
then the tax imposed upon the being for carrying personal identity become more evident
remember i said with you that only when we are moving out of one state into higher state are we able to look back and have a sense of what previous state was, how limiting it was
until that transition is happening, we accept our states and become common, normalize our states
그대가 점점 더 깊이 알아차릴수록,
제한된 인식의 동일시를 짐 지고 있는 존재에 부과되는 세금이 더욱 명백하게 보인다
내가 함께 한 말을 기억해봐라,
오로지 우리가 한 상태에서 나와, 보다 높은 상태로 이동할 때,
이전의 상태가 무엇이었는지, 얼마나 제한되어 있었는지에 대해 돌아보고 느낄 수 있다
그런 이동이 일어날 때까지, 우리는 우리의 상태를 받아들이고, 점점 더 그것이 보통인 것으로 된다,
우리 상태들을 정상인 것으로 받아들인다
but let's stop referring to situations or circumstances now
and be the witness of circumstances that is not imprisoned by any circumstances
formless witness
witnessing with identity tends to solidify their experiences and become part of the einvironment of identity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나 환경을 언급하는 것을 그만두자
그리고 어느 환경에 의해서도 갇히지 않는, 환경의 바라봄으로 있는다
형상 없는 바라봄
동일시를 갖고 바라보는 것은, 그들의 경험을 단단하게 만들고, 동일시의 환경의 일부가 된다
in the natural state of non-dual self awareness, what is progress for you?
in a way i'm presenting it as the most simple
this two aspected way in which now having come to that non-dual recogniton,
now we must look again at the state of the manifest being,
starting from the place the intuition i am, the soul being
when the sage said, the i am-ness, the sense of presence, the witnessing capactity, is like a door that swings one way towards the manifestations and the other to infinity
i'm going to use it as the purest and earliest manifestation arising out of absoluteness,
which is equating with perceiving the witness
it can only witness, then now show begins, of the manifestation of time and play--
비이원적 자각의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그대에게 나아감이 무엇인가
어느 면에서 나는 그것을 가장 간단한 것이라고 내보인다
이 두 가지 측면의 방식에서, 비이원적 알아차림에 이른다
이제 우리는 다시 드러나 보이는 존재의 상태를 바라봐야 한다
내가 있다 는 직관, 영혼의 존재인 자리에서 시작한다
현자가, '내가 있다', 현존의 느낌, 바라볼 수 있는 역량을 말할 때,
그것은 한쪽으로는 드러나 보이는 곳으로, 다른 쪽으로는 무한으로 향하는 문과 같다
나는 그것을, 절대에서 떠오르는 가장 순수하고 가장 이른 드러나 보임으로 쓸 것이다
그것은 바라봄을 인식하는 것과 같다
그것이 바라볼 수 있으므로, 쇼가 시작된다, 시간과 놀이들이 드러나 보인다
that as soon as the sense i am is present, a movement compells in to get identified with the body which is the instrument, through which can taste experiencing,
and with that come the conviction i am this body
then it can categorize a race or culture or gender, all these things can come subsequent to the identity i am this body
the i am-ness is there also, but now it's as though it drops back into the background, to be seeming overshadowed by strong identification i am the person who have future, destiny, projection to fulfill, perceive the world in a certain way
so that now you can see how the extension happens
who creates it?
you may call it God manifesting
where there is a sense of individuality, then the natural claim of God which is above all that is manifest, consciousness takes this form
내가 있다 는 느낌이 있자마자,
움직임이, 경험을 맛볼 수 있는 도구인 몸과 동일시하게 된다
그리고 그것과 함께 '나는 몸이다'라는 확신이 따른다
그 다음 그것이 인종이나 문화, 성별의 범주를 만들 수 있다,
이런 모든 것들이 '나는 이 몸이다'라는 동일시에 이어 올 수 있다
내가 있다 또한 있다, 하지만 이제 그것은 배경으로 물러나는 것 같다,
'나는 미래, 운명, 채우려는 투사를 갖고 있는 제한된 인식이다'라는 강한 동일시에 의해 가려지는 것 같다,
세상을 특정한 방식으로 인식한다
이제 어떻게 뻗어나가는 것인지 볼 수 있을 것이다
누가 그것을 만들어내는가
신의 드러나 보임이라고도 할 수 있다
개인성의 느낌이 있는 곳에서, 그러면 그 모든 것이 드러나 보이는 것 위쪽에, 자연스럽게 신이라는 것이 있다,
의식이 이런 형상을 취한다
and quite right, because it is this, consciousness is form of God is relating to through love, all the virtues of justice, love, compassion, wisdom, loving kindness,
the soul that comes into individuality as a person must now cultivate these virtures
these virtues bring it back heart-ward, towards its origin
otherwise it keeps going outward, to pursue the manifestaion like that
그리고 상당히 옳다, 이것이므로
의식은 신이 사랑을 통해, 정의, 사랑, 자비, 지혜, 사랑하는 친절이란 모든 미덕들을 통해 연결하는 신의 형상이다
어떤 한 사람으로서의 개인으로 들어서는 영혼은, 이제 이런 미덕들을 키워야 한다
이런 미덕들은 가슴의 방향으로, 그것의 근원으로 되돌린다
그렇지 않으면 계속해서 밖으로 나간다, 그런 식으로 드러나 보이는 것들을 쫓는다
'Mooji'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대는 어떻게 바라보는가 (0) | 2023.03.02 |
---|---|
우리인 것이어야 한다, 우리가 믿는 것이 아니라 (0) | 2023.03.01 |
우리를 대상의 자신으로 너무 강하게 동일시해 온 것 같다 (0) | 2023.02.27 |
그들의 결핍에서, 내준다 (0) | 2023.02.26 |
첫 번째 생각이 나타나기 이전에, 그대가 있어서 첫 번째 생각을 바라본다 (0) | 2023.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