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love that you say, become more established in that,

because it seems as though, when i say, but through this introspection, through this inquiry, through the contemplation, through the guidance, we come to singular seeing that is not linked with a particular form or tradition, it's like beyond

and it seems enough to say, 'but this is clear'

and yet i say, it takes time to stablize

 

나는 그대가 그것 에서 더 자리잡게 된다고 말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이 조사, 탐구, 숙고, 안내를 통해,

우리는 어느 특정한 형상이나 '이렇게 생긴 것이다' 와 연결되지 않은, 단 하나의 바라봄에 이르게 되는 것 같기 때문이다

넘어서 있는 것과 같다

'하지만 이것은 명확하다'라 말하는 것으로 충분한 것 같다

그럼에도 나는 말한다, 그것이 자리잡는데 시간이 걸린다

 

sometimes we cut off and say, 'got it',

and we continue to largely invest energy in the manifestation with this false sense that yes, i know what is real

but 'i know' must be the same with i am, must be what we are, not what we believe

so that's what it means, to be stablizing in the seeing,

so we don't falsely assume that having a clarity of conceptual conviction is sufficient

so in that stablizing, our world become quiet, empty, full of joy,

transcendent to the world of multiplicity, diversity, ever-restlessness, changeful phenomenon that we're so attracted to at a personal level

 

우리가 잘라 말하는 때가 있다, '알았다!'

그리고 계속해서 에너지를 주로 드러나 보이는 것에 투자한다,

'그래, 난 진짜가 무엇인지 안다'라는 틀린 느낌을 갖고

 

하지만 '나는 안다'는 내가 있다 와 같은 것이어야 한다,

우리인 것이어야 한다, 우리가 믿는 것이 아니라

그래서 그것이, 바라봄에서 안정된다는 뜻이다

그러니 개념적으로 명확함을 갖는 확신으로 충분하다고 그릇되게 추정하지 않는다

 

그 안정됨으로, 우리 세상은 고요하고, 비어있고, 기쁨으로 가득차게 된다

제한된 인식의 단계에서는 우리가 너무나 끌리는,

복잡함, 다양함, 항상 불안함, 변화하는 현상의 세상에서 벗어나 있다

 

and yet this one having come to the understanding moves more graciously in the world of multiplicity

understanding, its core nature is singularity of being, understanding deeply

 

하지만 그 이해에 이르게 되는 이 자는, 다양성의 세상에서 보다 편안하게 움직인다

그것의 핵심 본성은 존재의 단일성인 것을 깊이 이해하면서

 

real knowledge dissolve ignorance, leaving clear space within you

limitless, all pervading, actually indescribable

that we're not truly able to convey what this is,

except to soul that has been prime for that, grace for that understanding to combust into spirit

 

진짜 앎은 무지를 해산시킨다, 그대 안에 명확한 공간을 두고

제한 없고, 모든 곳에 퍼져있고, 사실 말로 할 수 없는

우리는 진실로 이것을 전달할 수 없다

그것이 우선인, 그 이해가 얼 로 전환된 영혼을 제외하고는

 

in fact, these type of conversation is a form of devotion

 

사실 이런 대화들은 헌신의 형상이다

 

the individual sense of soulhood love identity of personhood

it's not that it hates it

but one must come to a place where that is recognized as limitation and transcended

why transcended? because as long as we stay in the mode of personhood, its range is very narrow and selfish actually

like psychologically and personally self-centered, not universal self-centered, not spiritual self-centered

not centered in ego, but centered in limitless

you can call what mean centered even

 

개별적인 느낌의 영혼성은, 제한된 성격의 동일시를 사랑한다

그것을 싫어해야 한다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한계가 알아차려져서 변형되는 자리에 이르러야 한다

왜 변형되는가,

제한된 성격의 형상으로 머무는 한, 사실 그것의 범주는 아주 좁고 이기적이다

심리적으로, 제한된 인식으로 자기 중심적이다

전체적으로 자신에 중심을 둔다는 것이 아니라, 영적으로 자신에 중심을 둔다는 것이 아니라

에고에 중심을 두는 것이 아니라, 제한 없음에

 

그것을 중심에 둔다라고는 할 수 있을까

 

and get used to also that to bear the tendency to say, 'ok, now what, what next?'

what if there is no next?

it doesn't leave a stuckness actually

that next imposes a limitation that is not there in the pure

next means, unfinished business

 

'그래 이제 뭐냐, 다음은?'이라 말하는 습성을 참는 것에 또한 익숙해져라

다음이 없다면?

그것은 사실 침체를 남기지 않는다

다음 은, 순수한 것에는 있지 않은 한계를 얹는다

다음 이란, 끝내지 못한 일이다

 

who are you in this?

if you go to the mind for some response, confusion come

can you bear your own emptiness?

it sounds provacative, what is there to bear?

bear only would mean, we're addicted to something-ness and so fear no thing-ness

in the no thing-ness is the everything-ness

in the something-ness, there is always limitations

but this is not knowledge for the mind

it's the knowledge found in the mirror

 

이것에서 그대는 누구인가

답을 위해 마음으로 간다면, 혼란이 온다

그대는 그대 자신의 비어있음을 참을 수 있는가

도발적으로 들린다,

무엇이 있어 참는가

 

참는다 란, 우리가 무언가-임에 중독되어 있어서, 아무 것 없음을 두려워한다는 뜻일 뿐이다

아무 것 없음에서 모든 것 있음이다

무언가-임에서는, 항상 제한들이 있다

하지만 이것은 마음을 위한 앎이 아니다

거울에서 발견되는 앎이다

 

 

 

 

300x25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