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명이 그대의 조그만 화장실을 쓴다면,

그대는 규율을 만들기 시작할 것이다






practicality that grows out of necessity.

is not an obsessive practicality,

is like praticality that emerges out of necessity, out of some urgency,

it was not always like that, actually


실용은 필요에서 자란다

강박적 실용이 아니다

필요에서, 긴급함에서 나타나는 게 실용성인 것 같다

항상 그런 것이 아닌


i was a little bit of rebel

i would not feel that i was a rebel

.............don't worry about, these type of thing

but then life changes


나는 좀 반역자였다

난 그렇게 느끼지 않았지만

.................에휴, 걱정마, 이런 타입,

하지만 그러고나서 삶이 변했다


one time i was fiercely resistant of organization, any kind of structure.

i imgagine that it may have chopped life.

i have to be sitting at 7

maybe i don't want to be sitting at 7,

maybe i don't wanna be sitting at all,

i don't know


한 때는 조직, 어떤 종류의 구조에도 지독하게 저향적이었다

그것이 나의 삶을 절단낼거라 상상했다

7시 정각에 앉아있어야 하다니

아마 7시에 바로 앉아 있고 싶지 않을 수도 있다

전혀 앉아있고 싶지 않을 수도 있다

내가 알겠나


and so something creates a kind of concept of spontaneity.

i have some people i know, they have a strong concept of spontaneity.

i shouldn't have to do that with them

because it's not spontaneous.

they're so obsessed about spontaneity, they're not spontaenous at all, actually.

they're only obsessed with a concept of spontaneity

and also myself i was feeling, no, no, i don't want to............


무언가 즉흥성의 개념과 같은 것을 만들어낸다

내가 아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들은 즉흥성에 대해 아주 강한 개념을 갖고 있다

그들과는 내가 그러면 안 되었다

왜냐면 그건 즉흥적인 것이 아니다

그들은 즉흥성에 너무 강박적이다

그들은 사실 전혀 즉흥적이지 않다

그들은 즉흥성의 개념에 집착할 뿐이다

그리고 나 또한, 아니, 아니, 난 그러고 싶지 않아..............의 느낌이었다


i just imagine that if i had to be accountable,

my life is not flowing like that

but then necessity change all of that.


내가 책임을 져야 하다니

상상만 해도,

나의 삶은 그렇게는 흐르지 못한다


하지만 그 때 필요가 그 모든 걸 바꾸었다


when you have a place,

my apartment in London where people could sit,

is a quarter of the size of this

and sometimes 40 people we have in there.

they're virtually sitting on each other's labs

and if you have 40 people using your little tiny bathroom, you're gonna start making some rules

and something was afraid to tell them not to do that,

afraid to confirm, to say something directly.

that beame a sadhana, also,

then you had to be..........

and 40 people want to eat, nobody wants to wash up.

so we had to, necessity said something, have to be done

and that is the best sort of discipline, actually.

it arises out of need

and that i found that there was a really a need for organization and structure 

and found that structure also support spontaneity.

that is not healty to have one thing, then resist the other.

no, no, both seem to be needed.

when they are needed like that


그대가 장소를 갖고 있을 때

런던에 있는 내 아파트는

이 정도 크기의 4분의 1 정도,

로 40 명이 그 곳에 있다

실제로 서로의 무릎에 걸터앉아 있다

그리고 40명이 그대의 조그만 화장실을 쓴다면,

그대는 규율을 만들기 시작할 것이다


무언가는 그들에게 그러지마라 말을 하기 두려워했다

직접적으로 다지며, 무언가를 말하기가 두려웠다

그것 또한 수행이 되었다

그러면 그대는...........해야 한다

게다가 40명이 다 먹고 싶어하고, 설겆이는 하고 싶어하지 않는다

그래서 필요가 무언가를, 무언가 행해져야 했다

그리고 그것이 실제로 최상의 규율이다

필요에서 나오는


나는 조직과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정말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리고 구조 또한 즉흥성을 지지한다는 것도


한 가지를 가지면, 다른 하나에는 저항하는 것은 건강하지 않다

둘 다 필요해 보인다

그처럼 필요가 있을 때




but we don't worship

we're not worshipping discipline, not worshipping any particular practice,

make use of it.

what is practical, then when it is served in its purposes,

then it wil also go back to where it came from.


하지만 숭배하지는 않는다

규율을 숭배하지 않는다, 어떤 특정 수행도 우러러보지 않는다

그것을 활용해라

실용적일 때, 그 다음 그것이 목적대로 기여를 다할 때,

그러고나면 그건 다시 나온 곳으로 돌아갈 것이다





300x25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