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w 2023.05.12
- k 2023.05.09 2
- 커다란 안쪽으로의 생명력, 힘, 명확함을 요구한다 2023.05.06
- 그것의 핵심에서 중독은, 지금 순간의 거절이다, 지금으로부터의 도피다 2023.05.05 1
- x 2023.05.04
- 세상에 있는 모든 다른 인간 존재와 연결될 때 2023.05.01
- c 2023.05.01
- g 2023.04.26
- 창조적인가 아니면 파괴적인 마음의 결과인가 2023.04.26
- 라마나 마하리쉬, 붓다, 루미 같은 사람들과 우리들 대부분 사이의 차이는 무엇인가 2023.04.25
w
k
커다란 안쪽으로의 생명력, 힘, 명확함을 요구한다
if you put aside all the scriptures,
doesn't matter what they have said
because if you merely repeat what they have said, you're merely repeating a lot of words
it is not original perception of what is truth
그 온갖 경전들을 제쳐놓는다,
그것들이 무엇을 말했든 상관없다,
왜냐하면 그대가 단지 그들이 말한 것을 반복할 뿐이라면, 그대는 많은 말들을 반복할 뿐이다
그것은 진리인 것의 본래의 인식이 아니다
you may read all the commentaries of other people,
and quote them and repeat them as an intellectual entertainment,
that's all right on the one hand, but the words are not reality
so one has to be totally free from all that
because truth has no path to it like a ship that has no rudder, it is a pathless land
you have to walk out of darkness, out of your own chaos, out of your own confusion,
out of the forest of ignorance, and come to that by yourself
your own comprehension or perception
다른 사람들의 그 모든 말들을 읽을 수 있다,
그리고 인용한다, 반복한다, 지적 놀이로
한편으로는 괜찮다, 하지만 말은 실재가 아니다
그래서 그 모든 것에서 완전히 자유로워야 한다
왜냐하면 진리는 그것으로 가는 길을 갖고 있지 않다, 키 없는 배와 같다, 길이 없는 나라다
그대는 어둠에서, 그대 자신의 혼돈에서, 그대 자신의 혼란에서,
무지의 숲에서,
벗어나야 한다, 그리고 그대 홀로 그곳에 이른다
그대 자신의 이해 혹은 인식
that demands great inward vitality, strength, and clarity
그것은 커다란 안쪽으로의 생명력, 힘, 명확함을 요구한다
'Krishnamurti'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본적으로, 깊이, 의식이 그 내용을 바꿀 때 (0) | 2023.10.31 |
---|---|
뇌가 늙는 요인들 중 하나는 아는 것의 축적이다 (0) | 2023.08.19 |
세상에 있는 모든 다른 인간 존재와 연결될 때 (0) | 2023.05.01 |
창조적인가 아니면 파괴적인 마음의 결과인가 (0) | 2023.04.26 |
Krishnamurti 겸손은 오로지 자연스럽게, 초대되지 않고, 쉽게, 올 수 있을 뿐이다 (0) | 2023.03.30 |
그것의 핵심에서 중독은, 지금 순간의 거절이다, 지금으로부터의 도피다
PROSE AND POETRY THE ROOT OF ALL ADDICTION 모든 중독의 근원 What is addiction? 중독이 무엇인가 Addiction is many things, but at its core, it’s an escape, from uncomfortable - or even seemingly unbearable - thoughts or feelings or sensations in the body. It’s an escape from LIFE. It’s a search for LOVE. In all the ‘wrong’ places… It’s the inability to be with our pain. 중독은 많이 있다, 하지만 그 핵심에서 중독은, 회피다, 불편하거나 참을 수 없는 것으로 보이거나 하는 몸에서의 생각이나 느낌, 혹은 감각으로부터의 삶으로부터의 달아남이다 온갖 '잘못된' 곳들에서 사랑을 찾고 있다 고통과 하나될 수 없음이다 It’s trying to get safe, using and doing things that aren’t actually safe at all. 안전하고자 애를 쓴다, 사실 전혀 안전하지 않은 것들을 하고, 사용하면서 It’s an attempt to get out of the present moment, and into a different one. It’s an attempt to get out of this body, and into another version of it. Or rather, it’s an attempt to shift our mood, our feelings, our experience, using an external thing, relying on something outside ourselves. A substance. A person. An idea. It doesn’t matter. 중독은 지금 순간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다, 다른 것으로 들어서려는 이 몸에서 벗어나, 그것의 다른 버전으로 들어서려는 시도다 혹은 우리의 기분, 느낌, 경험을 변화시키려는 시도다, 외부의 것을 사용해서, 우리 자신 밖에 있는 것에 의존해서 물질, 사람, 생각, 뭐든 Anything to not feel what we feel, anything to not face what we know we must face. 우리가 느끼는 것을 느끼지 않기 위해 어느 것이든, 우리가 마주해야 하는 것으로 아는 것을 마주하지 않기 위한 어느 것이든 (And we are haunted by what we know we must eventually face. Yes, addiction is the experience of being haunted, hounded, hunted...) (그리고 우리는 우리가 결국 마주해야 하는 것으로 아는 것에 의해 쫓긴다 그렇다, 중독은 쫓기는 경험이다 --) No judgement here. It’s important not to judge ourselves. We all do this. We all escape. We all seek. We all run. 심판은 없다 우리 자신을 심판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 모두가 이렇다 우리 모두가 회피한다. 우리 모두가 추구한다, 우리 모두가 달린다 We are all addicted to something… 우리 모두가 무언가에 중독되어 있다 Some use alcohol, drugs, food. Others use work. Some use rage, control, manipulation. That makes them feel better. Some of us get addicted to other people. Their love, their approval, their attention. Some of us get addicted to beliefs, dogmas, religions, gurus, authority figures. Maybe they will save us from ourselves. Some of us get addicted to our own thinking. To fantasies. To futures. Or to cleaning the house. Washing our hands. Ordering our furniture. Checking the locks. 어떤 이들은 알콜, 마약, 음식을 이용한다 일을 이용하는 이들도 있다 어떤 이들은 분노, 통제, 술수를 이용한다. 그것이 그들 기분을 낫게 한다 우리 중 어떤 이들은 믿음, 교리, 종교, 스승님들, 권위 있는 인물들을 이용한다, 아마 그들은 우리를 우리 자신으로부터 구해줄 것이라고 우리 중 어떤 이들은 우리 자신의 생각에 중독되어 있다, 환상, 미래에 대한 혹은 집을 깨끗하게 하는 것에, 손을 씻는 것에, 가구를 주문하는 것에, 문이 닫혔는지 확인하는 것에 Or making sure everything is … perfect. 혹은 모든 것이 ..........완벽한지 확실히 하는 것에 Anything to feel safer. Anything to try and manage our anxiety. Anything to not be here. Now. Like this. 더 안전하게 느끼기 위해 어떤 것이든 우리의 불안을 관리하기 위한 어느 것이든 여기, 지금 에 있지 않기 위해 어느 것이든 이런 식이다 Addiction takes many forms but at its core it is a rejection of the present moment, a flight from Now, a deep lack of self-love and self-acceptance. We can’t end addiction through will-power alone. Our addiction objects will shift, change shape. We’ll shift from a smoking addiction to a gambling addiction. From a food addiction to an addiction to spiritual experiences. From an addiction to a lover to an addiction to a guru. From an addiction to work to an addiction to the gym. 중독에는 많은 모습들이 있다, 하지만 그것의 핵심에서 중독은, 지금 순간의 거절이다, 지금 으로부터의 도피다, 자기 사랑, 자기 수용의 깊은 부재다 우리는 의지력만으로 중독을 끝낼 수 없다 우리의 중독 대상들은 변할 것이다, 모양을 바꿀 것이다 흡연에서 도박으로, 이동할 것이다 음식 중독에서 영적 경험에의 중독으로, 연인에서 스승에게로의 중독으로, 일에의 중독에서 체육관에의 중독으로 In order to heal from addiction, we’ll have to face what’s inside. No more running. No more turning away. We’ll have to face the rage, the grief, the loneliness, the fear. The emptiness inside. Stop trying to fill it. The void. Stop trying to mask it. 중독에서 치유되기 위해서는, 우리가 안에 있는 것을 마주해야 할 것이다 더는 내달리지 않는다. 더는 돌아서지 않는다 우리는 격노, 통탄, 외로움, 두려움을 마주해야 할 것이다 안의 비어있음을 그것을 채우려 애쓰는 것을 그만둔다 공허함을 그것을 감추려 하는 것을 그만둔다 And maybe, maybe, we’ll come to the very core. And we’ll touch the thing we’ve been hiding from our whole lives. And we’ll dive into the bleakness and the blackness and we’ll find light. 그리고 아마도 아마도, 우리는 그 핵심에 이를 것이다 우리가 우리의 온 삶들로부터 숨어왔던 그것에 닿을 것이다 쓸쓸함과 암흑으로 뛰어들 것이다, 그리고 빛을 발견할 것이다 We’ll lose interest in avoiding the moment, and gain interest in touching it. 우리는 그 순간을 피하는 것에의 관심을 잃을 것이다, 그리고 그것에 닿는 것에의 관심을 가질 것이다 We’ll become addicted to … Presence. We’ll fall in love with the wonderful, messy, weird, awkward, powerful, powerless, vulnerable and sensitive creatures that we are. 우리는 중독될 것이다..........현존 에 우리 인, 멋지고 엉망이고 이상하고 서투르고 강력하고 무력하고 연약하고 민감한 생물과 사랑에 빠질 것이다 We’ll stop bypassing our humanity. 우리의 인간애를 피하는 것을 멈출 것이다 We’ll stop masking our authenticity to win love from those who cannot give it. 사랑을 줄 수 없는 이들에게서 사랑을 얻기 위해, 우리의 진짜를 가리는 것을 멈출 것이다 We’ll lose interest in being what others want us to be. 다른 이들이 우리이길 원하는 존재에 관심을 잃을 것이다 We’ll speak our raw truth and say no when we mean no. 우리의 날것인 진리를 말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아닐 때, 아니라고 말할 것이다 We’ll come out of hiding and we’ll say: 숨는 것에서 나와서, 말할 것이다 HERE WORLD, HERE I AM. 내가 있다 IN ALL MY MESS. IN MY POWER, MY WEIRDNESS, MY SHADOWS AND MY LIGHT. 나의 온갖 엉망진창, 나의 힘, 나의 이상함, 나의 그림자와 나의 빛 속에서 HERE I AM. 여기 내가 있다 |
'Jeff Fos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대의 생산적이지 않은 순간들에서 의 순수한 삶 (0) | 2023.06.24 |
---|
x
세상에 있는 모든 다른 인간 존재와 연결될 때
'if one is privileged to be totally aware, how can one help another to uncondition and so on?'
'누군가 완전히 깨어나는 특권을 갖는다면, 다른 이들이 조건화에서 벗어나도록 등을 어떻게 도울 수 있는가?'
why, if i may ask, do you use the word privilege?
what is there sacred or priviledged about being aware?
that's a natural thing, isn't it, to be aware?
and if you are aware of your own conditioning, of the turmoil, of the squalor, of the dirt, the war, the hatred,
you know what is happening in the world, the tears, the sorrow of those poor people being killed,
the children, the mothers, all that
내가 묻는다면, 왜 특권이라는 말을 사용하는가
깨어있는 것과 관련해서 신성하거나 특권을 누리는 것이 무엇이 있는가
그것은 자연스러운 것이다, 그렇지 않은가, 깨어있는 것은
그대가 그대 자신의 대혼란, 지저분함, 더러움, 전쟁, 증오에 대한 조건화를 인식한다면,
세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이다, 눈물, 살해당하는 가엾은 사람들의 슬픔,
아이들, 어머니들, 그 모든 것
if you are aware of all that
you will establish relationship with another so complete,
so then when you are related to another so completely,
you are related to every other human being in the world
그대가 그 모든 것을 인식한다면
그대는 다른 이들과 아주 완전한 관계를 자리잡게 할 것이다
그러면, 그대가 다른 이들과 아주 완전히 연결될 때,
세상에 있는 모든 다른 인간 존재와 연결될 때
you understand this?
이해하는가
if i'm related to my wife, my husband, somebody completely, totally, not as an idea or an image, completely,
then i'm related to every other human being in the world,
then i will see i will not hurt another
나의 부인, 남편, 누군가와 완전히, 전체적으로 연결된다면,
생각이나 이미지로서가 아니라, 완전하게,
그러면 나는 세상에 있는 다른 모든 인간 존재와 연결된다,
그러면 나는 다른 이들을 다치게 하지 않는 것을 볼 것이다
they are hurting themselves, then i can go, preach, talk about it,
not with the desire to help another
that's the most terrible thing to say, 'i want to help another'
who are you to help another? including the speaker
그들이 그들 자신을 다치게 한다, 그러면 내가 갈 수 있다, 그것에 대해 말할 수 있다,
다른 이를 도우려는 열망에서가 아니다
그것은 말하기 가장 끔찍한 것이다, '나는 다른 이를 돕고 싶다'
다른 이들 돕겠다는 그대는 누구인가, 말하는 자를 포함해서
the beauty of the tree or the flower doesn't want to help you, it is there
it is for you to look at the sqalor or the beauty
and if you are incapable of looking at it, then find out why you are incapable
why you have become so indifferent, so callous, so shallow and empty
if you find that out, then you are in a state where the water of the life flows, you don't have to do a thing
나무나 꽃의 아름다움은 그대를 돕고 싶어하지 않는다, 그곳에 있다
그대가 지저분함이나 아름다움을 본다
그리고 그대가 그것을 바라볼 수 없다면, 그러면 왜 그럴 수 없는지 찾아내라
그대는 왜 그렇게 무관심하고, 냉담하고, 얄팍하고, 공허하게 되었는가
그대가 그것을 찾아낸다면, 그러면 그대는 삶의 물결이 흐르는, 그대가 하나도 할 필요 없는 상태에 있다
'Krishnamurti'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본적으로, 깊이, 의식이 그 내용을 바꿀 때 (0) | 2023.10.31 |
---|---|
뇌가 늙는 요인들 중 하나는 아는 것의 축적이다 (0) | 2023.08.19 |
커다란 안쪽으로의 생명력, 힘, 명확함을 요구한다 (0) | 2023.05.06 |
창조적인가 아니면 파괴적인 마음의 결과인가 (0) | 2023.04.26 |
Krishnamurti 겸손은 오로지 자연스럽게, 초대되지 않고, 쉽게, 올 수 있을 뿐이다 (0) | 2023.03.30 |
c
g
창조적인가 아니면 파괴적인 마음의 결과인가
그대 자신이 발견하는 것이 너무 중요하다, 그대가 진지하다면,
어떻게 그대가 바라보는지,
'나'를 밖에서 안을 들여다보는 자로 보는지, '나'를 우위에 있는 자신으로 바라보면서
그래서 분열을 받아들이는지,
아니면 이 전체 현상을 바라보는지, 전체의 움직임으로, 말이 아닌 것으로
그대가 그것을 말이 아닌 것으로, 관념이 아닌 것으로 바라볼 때,
그러면 그대는 위험한 그것과 직접 닿는다
그래서 그대는 즉시 행동한다, 앞으로 언젠가가 아니라
그것은 우리 조건화 중 하나다,
점차 나아지는 움직임이라는 것을 받아들인다,
우리는 우리 자신에게 말한다, '나는 점차 변할 것이다, 당장 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교회, 종교, 심리학자, 분석가들이 이것을 받아들인다,
'당장 변할 수 없다, 시간을 가져야 한다',
'천국에 가기 위해서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하지만 그러는 동안 해로움의 씨앗을 뿌려라'
그대는 그것을 그대 문화의 일부로 받아들인다,
그것이 내내 게으름, 에너지 낭비, 파괴적인 활동을 일으킨다
you don't see the danger of your conditioning
you see the danger of a snake, because of your condition,
because thousands of generations have said, 'be careful of snakes, they are dangerous'
and thousands of generations have said, the 'me' is very important
but you don't see the danger of this conditioning as the 'me's that is important
그대는 그대 조건화의 위험을 보지 못한다
뱀이 위험한 것은 본다, 그대의 조건화 때문에
왜냐하면 세대에 이어 사람들이 말해왔다, '뱀 조심해라, 위험하다'
그리고 세대에 이어, ''나'는 아주 중요하다'라 말했다
하지만 그대는 이 조건화, 중요한 '나'라고 하는 위험을 보지 못한다
in one direction, conditoning warns you against danger
and another conditioning says, 'continue though it is dangerous'
한 방향으로는, 조건화는 위험에 대해 경고한다
다른 쪽으로는 조건화가, '위험하더라도 계속해라'라 한다
is this clear and simple?
명료한가
now do you see it?
or do you see it really as an intellectual theory as an idea to be accepted
or do you translate what you see according to your fancy, agreeing or disagreeing,
or do you see it actually as a tremendous danger?
그대가 그것을 보는가
아니면 받아들여야 하는 하나의 생각으로, 지적 이론으로 보는가
혹은 그대의 환상에 따라, 동의하거나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하는가
아니면 그것을 실제로, 엄청난 위험으로 보는가
if you see it as a danger, life becomes extraordinarily simple
because all our conditioning is based on this
that the mind must be conditioned in order to function in human behavior properly
and for generations, mind has been conditioned in the idea that the 'me' is all important
and the mind being so conditioned, does not see how dangerous it is
you've got this?
그대가 그것을 위험으로 본다면, 삶은 비범하게 단순해진다
우리의 모든 조건화가 이것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마음이 인간의 태도로 적절하게 작용하기 위해서는 조건 지워져야 한다 고
그리고 대대로, 마음은 '나'는 너무 중요하다 는 생각으로 조건 지워져 왔다
그리고 그렇게 조건화된 마음은, 그것이 얼마나 위험한지 보지 못한다,
이해하는가
because as we said, where there is division, there must be conflict
you may tolerate this conflict
you may say, 'that is human nature to be in conflict'
and through conflict, through tension, you will produce various forms of literature
and through this tension, this contradiction, what you produce is called creative
and is it creative?
or is it the result of destructive mind?
왜냐하면 우리가 말했듯,
분열이 있는 곳에, 갈등이 있다
그대는 이 갈등을 견딜지 모른다,
'갈등 속에 있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지'라 말할지 모른다
그리고 갈등을 통해, 긴장을 통해, 다양한 모습들의 문학을 만들어낼 것이다
그리고 이 긴장을 통해, 어긋남을 통해, 창조적이라 불리는 것을 만들어낸다
그것이 창조적인가
아니면 파괴적인 마음의 결과인가
so it becomes all important to find out for yourself, if you are at all serious
how you observe,
whether you observe the 'me' as an outsider looking in, observing the 'me' as from a superior self
그래서 그대 자신이 발견하는 것이 너무 중요하다, 그대가 진지하다면,
어떻게 그대가 바라보는지,
'나'를 밖에서 안을 들여다보는 자로 보는지, '나'를 우위에 있는 자신으로 바라보면서
and therefore accepting division or do you see this whole phenomenon? as a whole movement, non-verbally?
therefore when you see it non-verbally, non-ideologically,
then you are in direct contact with that which is dangerous,
therefore you act immediately, not in a future date,
and that's one of our conditioning, we accept a gradual process of action
that is, we say to ourselves, 'i will change later gradually, it is impossible to change instantly,
the churches, the religions, the psychologists, the analysts accept this,
'you can't change instantly, you must have time',
'you must have time to go to heaven, but in the meantime sow the seeds of mischief'
그래서 분열을 받아들이는지,
아니면 이 전체 현상을 바라보는지, 전체의 움직임으로, 말이 아닌 것으로
그대가 그것을 말이 아닌 것으로, 관념이 아닌 것으로 바라볼 때,
그러면 그대는 위험한 그것과 직접 닿는다
그래서 그대는 즉시 행동한다, 앞으로 언젠가가 아니라
그리고 그것이 우리 조건화 중 하나다, 우리는 점차 나아지는 움직임이라는 것을 받아들인다,
우리는 우리 자신에게 말한다, '나는 점차 변할 것이다, 당장 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교회, 종교, 심리학자, 분석가들이 이것을 받아들인다,
'당장 변할 수 없다, 시간을 가져야 한다',
'천국에 가기 위해서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하지만 그러는 동안 해로움의 씨앗을 뿌려라'
so you accept that as part of your culture,
which induces laziness, wastage of energy, and destructive activity all the time
그대는 그것을 그대 문화의 일부로 받아들인다,
그것이 내내 게으름, 에너지 낭비, 파괴적인 활동을 일으킨다
so the question becomes extraordinarily important to ask,
whether you can bring about change instantly, in yourself psychologically
and as you see, it can be done instantly
when you see danger, the danger of division between man and man, created by thought which is the 'me'
so one asks, 'can we live in this world without the 'me'?
그래서 질문이 굉장히 중요하다,
그대는 변화를 즉시 일으킬 수 있는지, 그대 자신 안에서, 심리적으로
그리고 그대가 보듯, 즉시 가능하다
그대가 위험을 볼 때, 사람과 사람 사이의 분리의 위험, '나'라는 생각에 의해 일으켜진 것을 볼 때
누군가는 묻는다, '이 세상에서 '나' 없이 살 수 있을까' 라고
the 'me' that is ambitious, the 'me' that is competitive, the 'me' that is pursuing everlastingly pleasure,
through power, status, money, sex,
we're not saying that you must not seek pleasure
to observe the phenomenone of pleasure, what is involved in it
there is great difference between pleasure, enjoyment and joy
when you see a beatiful thing, there is complete enjoyment of that beauty
when you see the mountains in the evening light, there is great delight, of the beauty of that light on that hill
but when that enjoyment is pursued by thought, wanting it to be repeadted tomorrow, then it becomes pleasure
and pleasure has nothing whatsoever to do with joy, it comes naturally, unexpected, fully
but when it comes and gone, thought pick it up and says, 'i must pursue that, i must have joy',
and therefore it becomes pleasure
권력, 신분, 돈, sex 를 통해, 야심 있는 '나', 경쟁적인 '나', 영원히 쾌락을 추구하는 '나',
그대가 쾌락을 추구하지 말아야 한다 라 말하고 있지 않다
쾌락의 현상을 바라봐라, 그것에 무엇이 개입되어 있는지
쾌락, 즐거움 그리고 기쁨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그대가 아름다운 것을 볼 때, 그 아름다움을 완전히 누린다
저녁 빛에서 산을 볼 때, 커다란 기쁨이 있다, 언덕에 비추어지는 그 빛의 아름다움
하지만 그 즐거움이 생각으로 추구되면, 그것이 내일도 반복되기를 원한다면,
그러면 그것은 쾌락이 된다
그리고 쾌락은 기쁨과 전혀 아무런 관련이 없다,
기쁨은 자연스럽게, 기대치 못하게, 완전하게 온다
하지만 그것이 와서 가버릴 때, 생각이 그것을 잡고, '난 쫓아야 한다, 기쁨을 가져야 한다'라 말한다,
그래서 그것이 쾌락이 된다
so when you see all this clearly,
without any choice,
choice exists only when there is confusion
when you see clearly that the beauty of this valley must be kept as beautiful, there's no choice
you do everything to keep it, elect the right person and so on and so on
it is only when you are confused, not clear, then you choose
and out of that choice, you create conflict
so it is of great importance to see clearly, without any distortion
and when there is distortion, when there is 'me' which divides
그래서 그대가 이 모든 것을 명확히 볼 때,
어떤 선택도 없이,
선택은 혼동이 있을 때에만 존재한다
그대가 이 골짜기의 아름다움을 아름다운 것으로 간직해야 한다고 명확히 볼 때, 선택은 없다,
그것을 유지하기 위해 모든 것을 한다,
그러기에 적합한 사람을 뽑고, 등등
그대가 혼란스러울 때, 명확하지 않을 때에야, 그대가 선택한다
그 선택으로, 그대는 갈등을 일으킨다
그래서 명확하게 보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어떤 왜곡도 없이
그리고 왜곡이 있을 때는, 분열시키는 '나'가 있을 때다
'Krishnamurti'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본적으로, 깊이, 의식이 그 내용을 바꿀 때 (0) | 2023.10.31 |
---|---|
뇌가 늙는 요인들 중 하나는 아는 것의 축적이다 (0) | 2023.08.19 |
커다란 안쪽으로의 생명력, 힘, 명확함을 요구한다 (0) | 2023.05.06 |
세상에 있는 모든 다른 인간 존재와 연결될 때 (0) | 2023.05.01 |
Krishnamurti 겸손은 오로지 자연스럽게, 초대되지 않고, 쉽게, 올 수 있을 뿐이다 (0) | 2023.03.30 |
라마나 마하리쉬, 붓다, 루미 같은 사람들과 우리들 대부분 사이의 차이는 무엇인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냥 모습을 보고, 실체는 무시한다,
그래서 우리가 고통스럽다
it's not your reality, it's the reality
there aren't different reality fot different people
there are different appearances
every person, because of a point of view from which they experience the world appear different to every person
but the reality of the world is the same
그대의 실체가 아니라, 실체다
서로 다른 사람들마다 다른 실체는 없다
서로 다른 모습들이 있다
사람마다, 그들에게 다르게 나타나 보이는 세상을 경험하는 것에서 나오는 관점 때문이다
하지만 세상의 실체는 같다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people like ramana maharshi, buddha, rumi, and most of us,
it's just they didn't allow appearances to veil their reality
they saw the same appearances as do everyone else,
but those appearances didn't veil their underlying reality,
on the contrary they're shoun with and as their underlying reality
they saw the reality first, and appearacen second
most people see the just appearance and ignore the reality, hence our suffering
라마나 마하리쉬, 붓다, 루미 같은 사람들과 우리들 대부분 사이의 차이는 무엇인가
그냥 그들은 모습이 그들의 실체를 가리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그들도 다른 모두처럼 같은 모양을 본다,
하지만 그 모습들은 그들의 근원적인 실체를 가리지 않았다
반대로 그들은 그들 근원의 실체로, 실체로서 빛난다
그들은 실체를 먼저 보았다, 그리고 모습은 두번째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냥 모습을 보고, 실체는 무시한다,
그래서 우리가 고통스럽다
'Rupert Spi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은 우리에게서 한 가지를 원한다, 우리의 행복 (0) | 2023.07.09 |
---|---|
사랑은 항상 하나에 대한 사랑이다 (0) | 2023.05.23 |
나로서는, 나는 나의 육체를 보지 못한다 (0) | 2022.08.22 |
차원 없는 여기 를 굴절시키는 것은 개념이다, 그것이 공간으로 나타나 보인다 (0) | 2022.07.31 |
이해가 일어나는 순간, 생각은 끝난다 (0) | 2021.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