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은 단지 상징이다
우리는 아주 직관적인 존재들이다, 삶을 느끼는
하지만 너무 많이 훈련을 받아서, 이제 이해하는데 마음을 사용하고, 마음에 의존한다
맞지 않을 때에도
특히 마음은 person 을 대표하여 기능한다
우리가 서로를 이해하고, 만나고, 아는 방식이, 이런 식으로 한층 더 오염된다
if you understand my silence or understand me in silence,
그대가 내 침묵을 이해한다면, 혹은 침묵 속에서 나를 이해한다면
in truth you're never unmerged from me,
if i'd be honest with you
but i wonder sometimes what i find myself saying this, it seems very strange thing to say,
nevertheless, i have to speak because it's true
it just depends on from what level we're speaking.
when that doubt is not there, we have so much fun.
when that doubt is not there, we have so much love,
don't have nothing to do to each other,
we can see the sense of difference playing and enjoy them
사실 그대는 나와 분리된 적이 없다
그대에게 정직하게 말하는 것이다
하지만 때로 나는 나 자신이 이처럼 말하는 것을 보면서 의아하다, 이렇게 말하기가 이상한 것 같다
그럼에도, 나는 말해야 한다, 그것이 진실이므로.
단지 우리의 말이 어디에서 나오는가에 따라 다르다
의심이 없으면, 우린 아주 재밌다
의심이 없으면, 우린 아주 사랑이 넘친다
서로에게 할 것이 없다
서로 다른 놀이를 바라보고, 그것들을 즐길 수 있다
but what they mean phylosophically, forget about that
forget about all that stuff.
the thing we forget, we believe we forget and we believe we forget has a cost also,
it contributes something to the experiencing, also
it will make you feel a certain way, but in absolute terms, it's not true
but in relative terms, it has an iimpact, effect and so the game has a purpose
it has tremendous, this play of magnificence of consciousness
even as its dynamic expression as we what we call life or existence
it has to play like this
but i like to just doubt the earth talk simple
하지만 그것들을 철학적으로 의도하려면,
그것에 대해선 잊어라
그런 것들은 다 잊어라
우리가 잊는 것,
우리는 우리가 잊는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잊는데에는 대가가 따른다고도
그것이 경험하는데에도 영향을 끼친다고 믿는다
그것이 그대가 특정한 방식으로 느끼게 만든다
하지만 절대적으로는, 그것이 진실이 아니다
상대적으로는, 영향이나 효과가 있다,
그래서 게임은 목적을 갖는다
어마어마한, 의식의 장엄한 놀이이다
우리가 삶이나 존재라 부르는 역동적 경험조차
그것은, 이처럼 놀아져야 한다
하지만 나는 그냥 세속의 흔한 말들에 대해선 의심하고 싶다
awareness, it's not disturbed.
the sense of the person is disturbed, but the person is not background, the person is not that pure background,
awareness is the background
even background is nto actually acurate to say it is background
because then it's not also foreground to only say background.
this is the trouble with the words, also
because all words have limitation in them.
awareness is not a concept. it is not an ideal.it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disturbed even.
깨어있음은 방해받지 않는다
person (웅크러든 의식) 이란 느낌이 방해를 받는다
하지만 person 은 배경이 아니다, 순수한 배경이 아니다
깨어있음이 배경이다
배경이라는 말 조차도 사실 정확하지 않다
그러면 전경은 아니란 건가
이것이 말의 문제이기도 하다
모든 말이 그 자체 안에 한계를 갖는다
깨어있음은 개념이 아니다
방해 받는 무언가도 아니다
we're like the fishes in the ocean discussing about where the water is, something.
i can put like this.
우리는 물이 어디에 있는지에 관해 토의 하는 바다에 있는 물고기와 같다
나는 이렇게 말할 수 있겠다
'have you seen water? really experienced it? (뿔룹 뿔룹), no, no, i never heard about it, i believe that we live in it,
the source of our being and it has always been here and my very nature is water'
'물 본 적 있어? 정말로 경험한 적은? ( 물거품 내며 말한다),
아니, 아니, 들어본 적도 없어, 우리가 그 안에 살고있다고는 믿어,
우리 존재의 근원이며, 항상 여기에 있어 왔고, 나의 본성 자체가 물이라고
'haha, nice philosophy (뿔룹 뿔룹)
'하하, 멋진 철학이다' ( 물거품 내며 말한다)
we're thinking what our awareness is
but our very thinking arises in awareness
and even if you say, i don't believe in awareness, this still just an idea,
arising in the awareness, like space
우리는 깨어있음이 무엇인지를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그것이 깨어있음 안에서 오른다
그대가, 나는 깨어있음을 믿지 않아, 라 말한다 해도, 이건 여전히 하나의 관념일 뿐이다
깨어있음 안에서 일어나는,
공간처럼
whatever you see, you see because of space and the sense of distance,
you can perceive, there must be some separation, distance, a gap for you to perceive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 object
그대가 무엇을 보든, 공간, 거리감 때문에 볼 수 있다
분리가, 거리가 차이가 있어서 그대가 인식할 수 있다
주체, 객체의 관점에서 그대가 인식을 한다
the only distance that they can only possibly be speaking about awareness is the distance of a thought.
a thought creates the delusion of separation and then we agree, ok, there's a separation, how to end this separate.
깨어있음에 대해 말하면서 있을 수 있는 유일한 거리는,
생각의 거리이다
생각이 분리의 환영을 만든다
그 다음 우리가 동의를 한다, '그래, 분리가 있다, 이 분리를 어떻게 끝내지'
all this is thought
but how to convery this?
when there is such a strong belief in our autonomy and personhood, it seems like the fact of our being and not a fiction.
이 모든 게 생각이다
하지만 이것을 어떻게 나타낼까
우리 스스로를 우리가 다스린다고 믿고, person 을 강하게 믿는 것, 그것이 우리 존재의 사실인 것 같다
꾸며낸 것이 아니고
and right now, awareness is the fiction, basically/
그리고 지금은, 깨어있음이 꾸며낸 이야기인 듯하다, 기본적으로
knowingness itself is also perceived, it is not a pure function of awreness to know
because to know means other, means two.
what can that which is totally perfect, infinite, all pervading, omnipresent,
what could it want to know?
what could be other than itself want to know, even admit to a separation.
all of this can only appear inside its own dreaming.
안다는 것 자체 또한 인식된다
그건 깨어있음이 안다고 하는 순수한 기능이 아니다
안다는 것은 다른 것을 의미한다, 둘을 뜻한다
완전히 완벽하고, 무한하며, 모든 것 앞에 있고, 어디에나 있는 그것이 무엇일 수 있을까
그것이 알고 싶어할까
그 자신 외의 것을 알고 싶어할 수 있을까, 심지어 분리가 있다고 인정하기까지,
이 모든 게 오로지 그 자신의 꿈 안에서만 나타나 보일 수 있을 뿐이다
this is why whole concept about dreaming came in
that because the reality is one totally, total harmony, never two that only way it could achieve the sense of two-ness was to dream it,
was to imagine it.
이래서 꿈에 대한 온 개념이 들어섰다
실재는 완전히 하나이고, 완전한 조화이며, 결코 둘이 아니므로,
둘이라는 느낌에 이를 수 있는 유일한 길은 그것에 관해 꿈을 꾸는 것이었다, 그것을 상상하는 것이었다
another way of saying,
dream, cause it cannot actually do it.
또다른 식으로 말하면,
꿈은, 사실 그렇게 할 수 없다
mostly i describe what it is not, actually.
perhaps the most pure way of sharing this is in total silence
but you have to be mature
to come and hear the silence
대개 나는 아닌 것을 설명한다
이러한 것을 나누기에 가장 순수한 방식은 아마 완전한 침묵일 것이다
하지만 그대가 성숙해야 한다
와서 침묵을 들을 수 있어야 한다
in silence, is the purest way, in a way of communicating,
but you have to be receptive, sensitive enough
because our training says, 'no, our way of communication is with words'
but we're communication multidimensionally.
sometimes involuntarily, we're communicating
your body language, language, your vibrations is communication all the time, not just human beings.
just our favorite one is talking, that's how we transfer, integrate, communicate with verbal things.
we have so much levels which we are communicating,
and even if you're not trained in that, you may meet one day who said nothing to you and your life change
침묵 안에, 가장 순수한, 소통 방식이 있다
하지만 그대는 수용적이어야 한다, 충분히 예민해야 한다
우리가 배우는 것들은, '아니, 우리 소통 방식은 말로 하는 것이다' 라 말한다
그러나 우리는 다차원적으로 소통한다
때로는 그러자고 하지 않았는데도, 우리는 소통을 하고 있다
그대 몸의 언어, 언어, 진동이 항상 소통 중이다, 인간 존재들 뿐 아니다.
단지 우리가 애호하는 것이 말하는 것이다
그렇게 우리가 전달하고, 통합하며, 말로 하는 것들로 소통한다
우리가 소통하는데에는 굉장히 많은 단계들이 있다
그대가 그렇게 배우지 않았어도, 어느 날 그대에게 아무 말도 하지 않는 자를 만나고, 그대의 삶이 바뀔 수도 있다
our words are just symbols.
we are very intuitive beings. we are sensing life
but we are so much trained now to use the mind, to rely on the mind to understand things in its own,
sometimes, awkward way, and especially the mind is functioning on behalf of the sense of personhood,
even more contaminated by this as a way of our understanding each other and meeting and knnowing like this
but on energetic level, we responding each other all the time, how you may meet someone and like them without haveing a conversation
우리 말은 단지 상징이다
우리는 아주 직관적인 존재들이다, 삶을 느끼는
하지만 너무 많이 훈련을 받아서, 이제 이해하는데 마음을 사용하고, 마음에 의존한다
맞지 않을 때에도
특히 마음은 person 을 대표하여 기능한다
우리가 서로를 이해하고, 만나고, 아는 방식이, 이런 식으로 한층 더 오염된다
하지만 에너지상에서는 우리가 내내 서로에 대해 응하고 있다
대화 없이 그대가 누군가를 만나서 좋아할 수 있다
'Mooj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내가 자유로의 초대를 말할 때 나의 말과 일치한다 (0) | 2018.01.05 |
---|---|
마음은 그것에 내어주겠다는 의도를 통해서만 자란다 (0) | 2018.01.03 |
그것이 진실하다면, 그는 그것을 사용할 것이다 (0) | 2018.01.01 |
그대가 다른 모든 것들을 알고 그대 자신을 모른다면, 그대의 앎은 얼마나 믿을 만한가 (0) | 2017.12.31 |
에고를 보고, 난 에고가 되고 싶지 않아 라고 하는 그 자, 그 자를 그대의 목표로 삼지 마라 (0) | 2017.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