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배우는 것은 대부분이 그대와 동떨어진 것으로만 남는다

소유되는 것, 그대가 이뤄낸 것 처럼


하지만 진짜 자기 발견은 별개의 발견자를 남기지 않는다

발견하는 자가 발견된다





another moment to continue exploring into this, most intimate subject


계속해서 이를, 가장 친밀한 주제를 탐험할 수 있는 또 다른 순간이다


it is not running away from the world, it is not running to th world,

it is discovering, acknowledging, recognizing our true position, our true nature

and somehow coming into that recognition, a great freedom is there,

great space, much wider, much deeper, more profound than the limited state of personhood.


세상에서 도망치는 것이 아니다, 세상으로 달려가는 것이 아니다

우리의 진짜 위치, 진짜 본성을 발견하고 알아차리며 이해하는 것이다


그리고 어떤 식으로 해서 이해로 들어서면

커다란 자유가 있다

커다란 공간이 있다

person (제한된 자기 인식) 의 한계가 있는 상태보다 훨씬 넓고, 훨씬 깊으며, 보다 심오한


it is feeling that you've come here

and whether you are conscious of this or not, some forces must be there.

that is attracted towards the subject.

otherwise no real reason to come at this point.

conversations here my side is not referring to you merely as a person

but to relate to you as consciousness

and as consciousness conversing with consciousness avout consciousness.

is very simple and you're not asked to learn many things

because it's not a classroom

but more an opportunity to discover

because what we learn for the most part remain only something separate from you,

like something posessed, something that you achieved something

but real self discovery does not leave an independent discoverer, 

the one who discovers is that is discovered, also.


그대가 여기에 온 것은

그대가 인식을 하든 아니든, 어떤 힘이 있어서일테다

그것이 주제에 끌린다

그렇지 않고 이 지점에서 올 진정한 이유가 없다


여기 내 쪽에서의 대화는 그대를 단순히 person 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의식으로 그대와 연결한다

의식으로서 의식에 관하여 의식으로 대화를 한다

아주 단순하다

그리고 그대는 수많은 것들을 배우도록 요구받지 않는다

여기는 교실이 아니므로,

보다는 발견할 수 있는 기회이다


우리가 배우는 것은 대부분이 그대와 동떨어진 것으로만 남는다

소유되는 것, 그대가 이뤄낸 것 처럼


하지만 진짜 자기 발견은 별개의 발견자를 남기지 않는다

발견하는 자가 발견된다



so don't want to say too muh about that,

because it has marvelous way of unfolding itself in real dialogue.

so i don't have anything prepared like a sort of prepared speech or some kind of program for you.

i don't trust that

i don't feel we need to prepare so much for life.

you're going to discover that you are life

life is not something that you do

you're life and mystically you're also the witness of life.


이것에 대해 너무 많은 말을 하고 싶지는 않다
진짜 대화 안에서 스스로를 풀어가는 놀라운 그것만의 방식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난 그대를 위해 준비한 연설이나 프로그램 같이 준비한 것이 없다
그런 것을 신뢰하지 않는다
삶에 그렇게 많은 준비가 필요하다 느끼지 않는다
그대는 그대가 삶임을 발견할 것이다
삶은 그대가 행하는 것이 아니다
그대가 삶이고, 신비롭게도 그대가 삶의 주시자이기도 하다





300x250

you cannot live your life of book only

but if your heart, your mind is sensitive enough, subtle enough, open enough,

you can read the book of life anywhere you see it, also

you'll learn from worm, the movement of worm or the leaves blown in the wind.

they would tell you something.

they would remind of home, somehow.

i'm not speaking poetry at all, telling you what it is.


그대가 책의 삶만 살 순 없다

하지만 그대의 가슴, 그대의 마음이 충분히 예민하다면, 충분히 미요하고, 충분히 열려 있다면,

그대는 삶의 책을 그대가 보는 어디에서든 볼 수 있을 것이다


벌레에게서 배운다

벌레의 움직임,

혹은 바람에 날리는 잎,

그들이 그대에게 무언가 말해줄 것이다

그대에게 어떤 식으로든  집을 떠올리게 할 것이다

나는 시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있는 것을 말하고 있다


in the mind, is subtle enough again,

you'll learn from everything, good and bad, so to speak, pleasant or unpleasant,

everything is your teacher or your reminder, you can say like that, the guide,

yourself, also, same thing


마음에서, 충분히 다시 미묘해진다면,

그대는 모든 것에서 배울 것이다

말하자면 좋건 나쁘건, 유쾌하건 불쾌하건,

모든 게 그대의 스승이거나 

그대에게 떠올리게 해주는 이들이다

안내 라고 말할 수도 있겠다

그대 자신도 같다




300x250


주시하는 것조차 강제적이지 않다

때로는 주시하는 데 지친다, 관심을 끄고 주시하지 않는다

주시되는 것에 관심이 없다





gradually, what is happening is,

some amount of effort is putting in the beginning

and it starts to just become unfolding,

like waves of illumination,

start to arise within you,

like almost involuntarily some support is coming from deeper down to somehow guide,

guide attention back into the heart.


점점 일어나는 것이 무엇인가 하면,


처음에는 좀 노력이 든다

그러다 그냥 풀려가기 시작한다

빛의 파장처럼

그대 안에서 일어나기 시작한다

마치 거의 무심코,

보다 깊은 아래에서 어떤 지지가 올라와 이끈다

주의가 다시 하트로 돌아가도록


it becomes much more easy, your life becomes lighter, opne, more kind, more soft, more flexible


훨씬 쉬워진다

그대의 삶은 가벼워져 간다

열리고, 더 친절해지며, 더 부드러워지고, 더 유연해진다





for a while the consciousness is kind of like needs a location very strongly

and then it matters really where you go

but at a certain stage, it just comes that the scenes change

but the seer, it remains the same


잠시 동안은 의식이 한 장소를 아주 강하게 필요로 하는 것 같다

그러면 그대가 어디에로 가느냐가 정말 중요하다


하지만 어떤 단계에 이르면, 그냥 장면이 변할 뿐

보는 자는 똑같다


one time the scenes are very important

but now the scens are changing,

something remains constant


한 때는 장면이 아주 중요하다

하지만 이제 장면은 바뀌어가고

무언가는 변하지 않은 채 남아있다


but when the feeling in this (me) change,

then that's some trouble.

everything is changing then it's kind of chaos

but even chaos is seen from the place of not chaos

and even for a while it fels that apparent chaos that was perceived outside was perceived in the mind

and the mind felt internal and true.


그러나 내 안의 느낌이 변할 때에는

상당히 문제다

모든 게 변해댄다

그러면 그건 일종의 혼돈이다


하지만 혼돈조차 혼돈 아닌 곳에서 보여진다

그리고 잠시 동안이라 하더라도, 밖에서 혼돈으로 보이는 것이 인식되면, 마음에서 인식되는 것처럼 느껴진다

그리고 마음은 그것이 내적으로 진실하다 느낀다


now you can say,


이제 그대가 말하길,


even this in my world, it's ok.

i'm giving complete persmission for my mind to be choatic now and then

or all the time if you want.

i'm not standing in the way, i'm not the traffice policeman anymore in my own head.

let everything go as it goes, i'm kind of witness

but now even the witnissing of these things are not compulsory.

sometimes i'm tired of witnessing. i turn off and i'm not going to witnessing,

is not interested in what is witnessed.

unless the mind say something has happened, it doesn't register that anything has happened.


내 세상에서는 이것조차, 괜찮다

내 마음이 때로 혼란스러워지는 것을 완전히 허가한다

혹은 원한다면 항상이라도

난 길을 막고 서 있지 않다, 더 이상 나 자신의 머리 안에서 교통 경찰관이 아니다

모든 게 가는대로 가게 둔다

나는 일종의 주시자이다

하지만 이러한 것들을 주시하는 것조차 강제적이지 않다

때로는 주시하는 데 지친다, 관심을 끄고 주시하지 않는다

주시되는 것에 관심이 없다


마음이 무언가 일어났다고 말하지 않는 한, 어떤 것이 일어났다고 기록되지 않는다






300x250


우리는 우리 삶의 너무 많은 시간을 존재하기보다 생각하는 데 쓴다

그대는 그대의 삶을 놓치고 있다

사실 그대는 그대 자신을 놓치고 있다

우리는 우리 자신을 놓치고 있다






sometimes you have to be thrown out of your life.

i said before, the satguru throws out of yourself and enters your absence.

you want something to be somewhere,

you're clinging forever........


때로 그대는 그대의 삶으로부터 내던져져야 한다


내가 이전에 말했다

satguru 는 자신을 내던지고 절대로 들어간다


그대는 무언가 어디에 있기를 원한다

영원히 붙들며


sometimes life throws you out.

it maybe don't make sense if you're only rational minded person.

how can you be thrown out of yourself?

you cannot sit and ponder about these things necessarily

but when they happen, oh, it's mighty good to be thrown out of yourself


때로 삶은 그대를 내던져야 한다

그대가 합리적이기만 한 마음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대가 그대 자신에게서 어떻게 내동댕이쳐질 수 있는가

이러한 것들에 대해 앉아서 곰곰이 생각하는 걸로 될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일어나면, 아, 대단히 좋다, 나 자신으로부터 내던져진다는 것


to imagine may seem terrible thing

but to experience is pure joy.

we spend a lot of time thinking our life rather than being,

imaginings, imaginings, projections, projections, substutute we're living.

you're missing your life,

actually you're missing yourself. we're missing ourselves.


상상하면 끔찍한 것 같다

하지만 경험은 순수한 기쁨이다


우리는 우리 삶의 너무 많은 시간을 존재하기보다 생각하는 데 쓴다

그대는 그대의 삶을 놓치고 있다

사실 그대는 그대 자신을 놓치고 있다

우리는 우리 자신을 놓치고 있다






it says, barns burnt down, now skied can be seen.

sometimes your barns have to burnt down.

your treasures have to be stolen.

then you come back to life again.

the mind tries to make you secure to have things, little things that you can depend on everywhere

but a moment may come, and you cannot find those things


이런 말이 있다

곳간이 타고나니 이제 하늘이 보인다'


때로 그대의 고갓이 타버려야 한다

그대의 보물이 도둑맞아야 한다

그 때 그대는 다시 삶으로 돌아온가

마음은 그대가 어디에서나 기댈 수 있는 사소한 것들을 지키게끔 애를 쓴다

하지만 순간이 오면, 그대는 그런 것들을 찾을 수 없다





300x250



우리는 항상 다음 순간, 다음 것으로 돌입한다

내가 말했든, 그대가 아침을 먹는 동안, 점심에 뭐 먹을지를 생각한다

그리고 점심을 먹는 동안에는 저녁을 생각한다





there is nothing better than be comng back to that state of emptiness.


빈 상태로 돌아가는 것보다 나은 게 없다


is almost as thoug some part of ourselves, our mind, our cultured mind fights so fiercely

to not come back to that emptiness.

why?

because culture is not given any value at all, be empty,

to be no one has no value in any culture.

we're somehow educated, conditioned to be best somebody you can be

but nowhere anyone say, you can be nobody.

that's only life will teach you that.

only life will give you that

a rare encounter might induce somehow that revelation within your own self.

someone is very rarely, if ever present, is every just here now.


우리 자신 중 어떤 부분, 우리 마음,

배양된 마음은 아주 흉포하게 싸운다

그 빈 곳으로 돌아가지 않기 위해서

왜?

우리 문화는 어떤 가치도 두지 않는다, 비는 것에,

아무도 아닌 자가 되는 것은 어떤 문화에서도 아무 가치가 없다

우린 어떤 식으로든 가능한 최고의 누군가가 되도록 길러진다

하지만 어디에서도 어느 누구도, 그대는 아무도 아닌 자가 될 수 있다 말하지 않는다

오로지 삶만 그대에게 그것을 가르칠 뿐


드물게 그대 자신 안에서 어떤 식으로 해서 그것이 드러나진다

항상 여기 있는, 지금 여기에 있을 뿐인 자는 아주 드물다


we're always into next moment, the next thing.

as i said, while you're eating breakfast, you're thinking what's for lunch

and you're eating lunch, what is for dinner.

it is not something you're doing deliberately.

it is like package deal. it comes in with the state, just stae of personhood brings a kind of reselessness, anxiety and no satisfaction really is that state.

therefore it is always trying to move to the next thing

because this is not really met,

the now is not met.

only the then and the when

it is obsessing,

so therefore nobody is at a peace


우리는 항상 다음 순간, 다음 것으로 돌입한다

내가 말했든, 그대가 아침을 먹는 동안, 점심에 뭐 먹을지를 생각한다

그리고 점심을 먹는 동안에는 저녁을 생각한다

그대가 의도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일괄 거래와 같다

불안, 걱정, 만족 없는 상태를 가져오는 person (제한된 의식) 과 함께 온다

그래서 항상 다음 것으로 움직이려 하는 것이다

정말로 만나지지 못했으므로

지금이 만나지지 못하므로

그 때 와 언제 뿐이다

강박적으로

그래서 아무도 평화롭지 못하다


we're not allowed in life generally to just fo for that silence with that peace, with that joy.

you have to go for it through something else,

through the job, through the family, through money, thruoug fame, through something, through dreams.............


삶에서 우리는 대개 평화가 함께 따르는, 기쁨이 함께 오는 그런 침묵을 향해 갈 뿐인 것을 허용받지 못한다

무언가 다른 것을 통해 가야 한다

일을 통해, 가족을 통해, 돈, 명예를 통해, 무언가를 통해, 꿈을 통해서......


300x250


우리가 믿는 양식이 있다


관점을 갖고 있어야 하고, 이야기와 배경, 매력이 좀 있어야 한다

그대는 최소, 흥미롭다는 개념 상 흥미로워야 한다


모든 사람들이 그렇다


왜냐면 그대는 흥미롭지 않기 때문이다

그대의 삶은




we're just explosring this moment to see

what is the most truthful discovery we can make today

what is the most truthful that is not just another interesting conversation,

but something that really may inform your existence,

that may really bring you into your own freshness,

not some stale representation of memory or something.


우리는 보기 위해서 이 순간을 탐함하고 있을 뿐이다

무엇이 우리가 오늘 할 수 있는 가장 진실한 발견인가

무엇이 그저 또 다른 흥미로운 대화인 것이 아닌 가장 진실한 것인가


하지만 정말 그대의 존재에게 알릴 수 있는 것,

그대를 그대 자신의 신선함으로 데려갈 수 있을 것


정체된 기억이나 무언가가 아니다


is it possible that we can meet without that stuff?

suppose it was told, i want to meet you but i don't want to hear your story, i dont want to know your lineage, 

i don't want to know about your family, i don't want to know your expereinces from the past,

id on't want to know about your future, i don't want to know anything at all.


우리가 그런 것 없이 만날 수 있는가


이런 말을 들었다고 하자,

'난 너를 만나고 싶다,

너의 이야기를 듣고 싶지 않다, 너의 계보를 듣고 싶지 않다, 네 가족에 대해서 알고 싶지 않다, 너의 과거 경험에 대해 알고 싶지 않다, 너의 미래에 대해도, 아무것도 전혀 알고 싶지 않다'


then you may say,

why do you wanna meet me?

i think that 's probably the best kind of meeting i can have,

perhaps

but how will it take place?

who has that nakedness 


그러면 그대는,

나를 왜 만나고 싶은 건데?

라 말할 수 있다


나는 그게 아마 내가 가질 수 있는 최고의 만남이라 생각한다

아마

하지만 그건 어떻게 일어나는가

누가 그런 벌거벗음을 갖고 있는가


who has ever met even your husband or your wife like that, or your children or your parents or any other human being?

have you been met, have you ever allowed or considered that it is possible for such a meeting?


그대의 남편이나 부인이 그러한가, 그대의 아이들이나 부모, 어느 다른 인간 존재가 그러해서 그러한 존재를 만나본 적 있는가

만나본 적 있는가

그런 만남을 허용하거나 가능하다고 생각해본 적이나 있는가




nothing is spectacle to you, so we don't have to act

nothing is expected, so we don't have to depend

and we don't have to protect

but still you may feel unconsciously, 'i'm stil protecting because i don't know what the next moment is'

as if you ever did

and i'm not asking for the next moment

what would actually happen,

what kind of meeting is going to be?


그대에게 보일 것이 없다, 그러니 우리는 연기할 필요 없다

아무것도 기대되지 않는다, 그러니 우리는 좌우될 필요 없다

그리고 우리는 보호할 필요 없다

하지만 여전히 무의식적으로, '나는 여전히 보호하고 있다, 왜냐면 다음 순간이 무엇일지 모르므로' 라 느낄 수 있다

그대가 겪어본 적이나 있는 것처럼


그리고 나는 다음 순간을 요청하는 것이 아니다

무엇이 일어날지,

어떤 만남이 될 것인지를



because we feel we have been cultured to believe

that you must come with a perspective, story, background, some attraction,

you must at least be interesting in the concept of becoming of be interesting


우리가 믿는 양식이 있다

관점을 갖고 있어야 하고, 이야기와 배경, 매력이 좀 있어야 한다

그대는 최소, 흥미롭다는 개념 상 흥미로워야 한다


got everybody


becuase you are not interesting

that is not what your life is

why should you have to be?

do you know how much pressure there is to be interesting?

and you cannot guarantee even when you've done everything to be interesting that anybody's going to be interested.

so relax

and maybe you allow yourself to face all that is behind scenes, what we present to the world,

the portrait of ourselves that we present to the world, look here i am'

but really you're behind watching, watching who is looking.


모든 사람들이 그렇다


왜냐면 그대는 흥미롭지 않기 때문이다

그대의 삶은


그대가 왜 이어야 하는가

흥미롭기 위해 얼마나 많은 압박이 있는지 아는가

게다가 그대가 재밌게 하기 위한 모든 걸 다했을 때, 어느 누가 재밌어할 것인지도 보장할 수 없다

그러니 긴장 풀어라

우리가 세상에 나타내는 장면 뒤 모든 것을 그대 자신이 대면할 수 있도록 허용해라

우리가 세상에 보여주는 우리 그림이란, '봐라, 나 여깄다'

하지만 정말로는 뒤에서 지켜본다, 누가 바라보는지 지켜본다



still we're just warming up.


아직 몸 푸는 정도일 뿐이다 (이 정도의 이야기는)


have we ever been sitting just as we are, not behind the shiled, not behind the wall of our self image

but nakedly?

is it a risk?

who want sto protect you?

but i'm not even inviting that

i'm not even sying that i want to meet you like that

i don't want nothing


우리인대로 앉아있어본 적 있는가

가림막 뒤에서가 아니라, 자기 이미지의 벽 뒤에서가 아니라

벌거벗고


위험한 일인가

그대를 보호하고 싶은 자는 누구인가


이것은 내가 초대하는 정도의 곳은 아니다

내가 그처럼 그대를 만나고 싶다 얘기하는 것도 아니다

나는 아무것도 원하지 않는다


but if you're like that, somehow something will be pulled together 

i cannot decide who i'm going to like, how is going to be

and anyway we can carry on.

for so many time, we're doing it


그러나 그대가 그와 같다면,

어떻게든 무언가 함께 끌려나올 것이다

나는 내가 누구를 좋아할 지 결정할 수 없다, 어떻게 될 지도


어쨌든 우린 계속해 나가긴 할 수 있다

수도 없이 우린 그러고 있다


perhaps we've been living a life hiding

sometimes consciously, sometimes unconsciously


아마도 우리는 숨어 살아온 것이다

때로는 의식적으로, 때로는 무의식적으로




i love you before i know you

not as an action one takes

it is just like this

as we discover our own self, 

love is not necessarily an action one takes

it is the fragrance of our own self,

not something you're doing.

love is what you are, not what you make


내가 그대를 알기 전에 나는 그대를 사랑한다

무슨 행동을 취하는 것으로가 아니다

그냥 이럴 뿐


우리 자신을 발견해갈수록,

사랑은 반드시 취해야 하는 행동인 것이 아니다

우리 자신의 향기이다

그대가 하는 무언가가 아니다

사랑은 그대인 것이다

그대가 만드는 것이 아니라





300x250


40명이 그대의 조그만 화장실을 쓴다면,

그대는 규율을 만들기 시작할 것이다






practicality that grows out of necessity.

is not an obsessive practicality,

is like praticality that emerges out of necessity, out of some urgency,

it was not always like that, actually


실용은 필요에서 자란다

강박적 실용이 아니다

필요에서, 긴급함에서 나타나는 게 실용성인 것 같다

항상 그런 것이 아닌


i was a little bit of rebel

i would not feel that i was a rebel

.............don't worry about, these type of thing

but then life changes


나는 좀 반역자였다

난 그렇게 느끼지 않았지만

.................에휴, 걱정마, 이런 타입,

하지만 그러고나서 삶이 변했다


one time i was fiercely resistant of organization, any kind of structure.

i imgagine that it may have chopped life.

i have to be sitting at 7

maybe i don't want to be sitting at 7,

maybe i don't wanna be sitting at all,

i don't know


한 때는 조직, 어떤 종류의 구조에도 지독하게 저향적이었다

그것이 나의 삶을 절단낼거라 상상했다

7시 정각에 앉아있어야 하다니

아마 7시에 바로 앉아 있고 싶지 않을 수도 있다

전혀 앉아있고 싶지 않을 수도 있다

내가 알겠나


and so something creates a kind of concept of spontaneity.

i have some people i know, they have a strong concept of spontaneity.

i shouldn't have to do that with them

because it's not spontaneous.

they're so obsessed about spontaneity, they're not spontaenous at all, actually.

they're only obsessed with a concept of spontaneity

and also myself i was feeling, no, no, i don't want to............


무언가 즉흥성의 개념과 같은 것을 만들어낸다

내가 아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들은 즉흥성에 대해 아주 강한 개념을 갖고 있다

그들과는 내가 그러면 안 되었다

왜냐면 그건 즉흥적인 것이 아니다

그들은 즉흥성에 너무 강박적이다

그들은 사실 전혀 즉흥적이지 않다

그들은 즉흥성의 개념에 집착할 뿐이다

그리고 나 또한, 아니, 아니, 난 그러고 싶지 않아..............의 느낌이었다


i just imagine that if i had to be accountable,

my life is not flowing like that

but then necessity change all of that.


내가 책임을 져야 하다니

상상만 해도,

나의 삶은 그렇게는 흐르지 못한다


하지만 그 때 필요가 그 모든 걸 바꾸었다


when you have a place,

my apartment in London where people could sit,

is a quarter of the size of this

and sometimes 40 people we have in there.

they're virtually sitting on each other's labs

and if you have 40 people using your little tiny bathroom, you're gonna start making some rules

and something was afraid to tell them not to do that,

afraid to confirm, to say something directly.

that beame a sadhana, also,

then you had to be..........

and 40 people want to eat, nobody wants to wash up.

so we had to, necessity said something, have to be done

and that is the best sort of discipline, actually.

it arises out of need

and that i found that there was a really a need for organization and structure 

and found that structure also support spontaneity.

that is not healty to have one thing, then resist the other.

no, no, both seem to be needed.

when they are needed like that


그대가 장소를 갖고 있을 때

런던에 있는 내 아파트는

이 정도 크기의 4분의 1 정도,

로 40 명이 그 곳에 있다

실제로 서로의 무릎에 걸터앉아 있다

그리고 40명이 그대의 조그만 화장실을 쓴다면,

그대는 규율을 만들기 시작할 것이다


무언가는 그들에게 그러지마라 말을 하기 두려워했다

직접적으로 다지며, 무언가를 말하기가 두려웠다

그것 또한 수행이 되었다

그러면 그대는...........해야 한다

게다가 40명이 다 먹고 싶어하고, 설겆이는 하고 싶어하지 않는다

그래서 필요가 무언가를, 무언가 행해져야 했다

그리고 그것이 실제로 최상의 규율이다

필요에서 나오는


나는 조직과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정말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리고 구조 또한 즉흥성을 지지한다는 것도


한 가지를 가지면, 다른 하나에는 저항하는 것은 건강하지 않다

둘 다 필요해 보인다

그처럼 필요가 있을 때




but we don't worship

we're not worshipping discipline, not worshipping any particular practice,

make use of it.

what is practical, then when it is served in its purposes,

then it wil also go back to where it came from.


하지만 숭배하지는 않는다

규율을 숭배하지 않는다, 어떤 특정 수행도 우러러보지 않는다

그것을 활용해라

실용적일 때, 그 다음 그것이 목적대로 기여를 다할 때,

그러고나면 그건 다시 나온 곳으로 돌아갈 것이다





300x250


그대의 마음 안에서 그려지는 그림은 아니다

키워진 그대의 자기 이미지도 아니다

키워 온 자신은 세상에 보여지기 위해 만들어졌다




naked,


벌거벗는다

란,


you're not holding onto any assessment, not clinging to self image, not holding onto any wishes or any judgement.

those thougts arise. you're not arosed.

seeing but not shopping,

neither going forward nor backward,

not even staying still,

not taking one action for or against,

neither doing nor not doing,

empty of all concepts.

is is not something you have to do for the future because in that moment, that is established in you.


그대가 어떤 평가에도 들러붙지 않는다는 것이다

자기 이미지에도, 어떤 바람이나 어떤 판단에도


그런 생각들은 떠오른다

그대가 떠오르진 않는다


앞으로도 뒤로도 가지 않는다

고요하려 머무는 것도 아니다

어떤 행동에 찬성하거나 반대하는 것도 아니다

하거나 하지 않는 것도 아니다

모든 개념들의 비어있음 이다

그대가 앞으로 해야 하는 것이 아니다

이 순간, 그건 그대 안에 있다


does it take time to come to this place?

what would stand in the way?

or is it not appropriate time?

your mind will tell you something like this, 'i can't do this in front of other people.'

especially, starngers,

or 'i'm a beginner, whatever it is.

so that is what we call naked beyond even concept of nakedness.


이 곳에 이르는데 시간이 걸리는가

방해하는 것은 무엇인가

아니면 적절한 때가 아닌가


그대의 마음은 이런 것들을 그대에게 이야기할 것이다, '다른 사람들 앞에서 못하겠어 (질문으로 자신 드러내어 보이는 것)'

특히 낯선 이들이 있는데


아니면, '나는 아직 초보자야'

등 뭐든.


그러니 그건 벌거벗는다 는 개념을 넘어선 벌거벗음이다


it's not difficult because that is already eatablished in you that already exist.

that is your real existence

but not the picture that is painted inside your mind.

it is not your cultured sense of self.

the cultured sense of self is what is made visible to the world.

you're like the invisible inside the visible.

it's like you can see everything, but no one can see you.

who are you?


어려운 것이 아니다

이미 존재하는 것으로 그대 안에서 이미 있는 것이므로

그것이 그대의 진짜 존재이다


그대의 마음 안에서 그려지는 그림은 아니다

키워진 그대의 자기 이미지도 아니다

키워 온 자신은 세상에 보여지기 위해 만들어졌다

그대는 보이는 것 안의 보이지 않음이다

그대는 모든 것을 볼 수 있지만 아무도 그대를 볼 수 없는 것과 같다

그대는 누구인가


what i'm speaking about now can somehow shows itself now.


내가 지금 말하고 있는 것은 지금 그 스스로 드러날 수 있다


don't be obsessed about being full or being empty.

why try to be special when you can simply be yourself?

but do you know what yourself is?


충만하다거나 텅 빈다거나 에 집착하지 마라


그대가 단순히 그대 자신일 수 있을 때 왜 특별하려 하는가

하지만 그대는 그대 자신이 무엇인지 아는가




300x250



우리는 그냥 고통을 연습해왔다 는 것이 가능하지 않겠나

문제가 있도록 연습해왔을 뿐 이라는 것이






i do not want the pressure of entertaining anybody

so you come and you sit and i talk.

we're speaking together, exploring together, looking together, seeing together

but each one seeing is unique.


나는 어느 누구를 재밌게 해야 할 압박을 원치 않는다

그러니 그대가 오고, 그대가 앉고, 내가 이야기를 한다

우리가 함께 이야기를 하고, 함께 탐험하며, 함께 바라보고, 함께 본다

하지만 각자의 바라봄은 독특하다



many people, we speak about our mind and troubles, what's happen in life, difficulties and why you're struggling and the how the mind is so strong and 

so could i pissibly suggest that it could be also that is just a part of our culture


많은 사람들이,

마음과 문제, 삶에서 일어나는 것들, 왜 힘들어 하고 있는지, 마음이 얼마나 강한지 등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그러니 그건 그냥 우리 문화의 일부이기도 한 것 아닐까


to think we have a problem, is part of our culture, part of our conditioning

because we grew up hearing people around,

everybody has a problem, everyone has struggles, everyone has a life that happens like this

and talks about life and talks about past and talks about future

and so you also pick it up.


우리가 문제를 갖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우리 문화, 조건화의 일부이다


왜냐면 우리가 자랄 때, 주변 사람들이,

모두가 문제를 갖고 있다, 모두가 힘들어하고 있다, 모두가 이런 일이 일어난다 하는 삶을 갖고 있다

그리고 삶에 대해 이야기하고, 과거에 대해 이야기하고, 미래에 대해 이야기를 한다

그러니 그대 또한 그것을 집어든 것이다


we each pick it up. we learn the language of the suffering.

we learn it but it's not really your experience,

maybe it's not really your experience

but in order to fit is, you have to suffer like everybody else

and then we're even afraid to not be included in the group of sufferers, also

because they might discharge me, like,

if i'm too free, i will not fit in


우리 각자가 그것을 집어든다

고통의 언어를 배운다

그것을 배운다

그건 정말은 그대의 경험이 아니다

정말은 그대의 경험이 아닐 수 있다

하지만 맞춰지기 위해, 그대는 모든 다른 사람들처럼 고통스러워해야 한다

게다가 고통을 겪는 이들 무리에 포함되지 않을까 두려워하기까지 한다

왜냐면 그들이 나를 버릴 수도 있다,

내가 너무 자유로우면, 난 들어맞지 않을 것이다


could we consider this even?


이렇게도 생각해볼 수 있지 않을까


cause everybody speaks the same,

not just same language vocally, but the same kind of thing, isn't it?

'oh, what is going on in my life at the moment?'


왜냐면 모든 사람들이 같은 말을 한다

그냥 언어만 같은 것이 아니다, 같은 종류의 것들을 말한다, 그렇지 않은가

'아, 지금 내 삶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건지?'

와 같은


when the truth is, nothing's going on, nothing is going on,,

nothing is ever been going on

but you can't say that

you're respected to have something going on

and the more you got going on, the more important you are.


사실을 말하자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고 있다, 아무것도,

아무것도 일어난 적이 없다

하지만 그대는 그것을 말할 수 없다

무언가 일어나고 있는 것에 그대가 존중을 받는다

그리고 그대에게 더 많은 일이 일어날수록, 그대는 더욱 중요해진다


could it possible be that we've had just practiced suffering?

just practiced being problematic and


우리는 그냥 고통을 연습해왔다 는 것이 가능하지 않겠나

문제가 있도록 연습해왔을 뿐 이라는 것이


'this is what happened to me and......'


'나에게 이런 일이 일어났어 그리고..........'



what's happeing?

sometimes i ask one, how are you, just,

i learn not to do asking this anymore

cause i always get into trouble.


무슨 일이 일어나는데?


때로 내가, 어떻게 지내? 하고 물으면,


나는 이걸 더는 하지 않는 것을 배웠다

왜냐면 항상 문제로 들어선다


how are you?

'oh, you know...............'


어떻게 지내?

'아, 있잖아..................이러고 저러고........'


still we have to refer something

because it gives you a context, a reference, you have to have a story.

it's almmost everybody has to hav a story.

otherwise your life has no real validity, you have to have a story.


계속 우리는 무언가를 언급해야 한다

그것이 그대에게 맥락을 주므로

그대는 이야기를 갖고 있어야 한다

그건 거의 모든 사람들이 이야기를 갖고있어야 하는 것 같다

그렇지 않으면, 그대의 삶은 진정한 타당성을 갖지 못하듯

그대는 이야기를 갖고 있어야 한다


what if you go to someone, how are you?


그대가 만일 누군가에게 가서, 어떻게 지내? 라 물으면,


(same)


(똑같아)


what's your story?


이야기를 해 봐


(i doon't have a story)


(이야기 없어)


you don't have any story?


이야기가 없다고?


(no, i don't have a story, i don't have any history)


(없어, 이야기 없어, 나의 역사도 없어)


what?


뭐?


because to enter this game,

the password is, i have a problem


이 게임으로 들어서는데

패스워드는, 나는 문제를 갖고 있어

라는 것이다





300x250


때로 우리는 탈진해야 한다

그대가 더는 움직이지 못한다

삶이나 어떤 안에서의 힘에 의해 그대는 강요를 받는다

'못하겠다. 난 이것을 더 이상 하지 않겠다. 결코 다시는 이런 상황에 나 자신을 놓아두지 않겠다'

라 말하도록





if you don't love it, then you cannot give energy to it

and you can apply to life in general.

you can apply to your job, you can apply in so many ways.

if you're not in heart touched by what you're doing, then you must reflect.

then who is making me do this?

and you must very keep quiet

and keep only the question in view.

what is causing me to do this?

you keep very quiet and some light comes inside.

don't scratch your head.

just sit very quietly.

allow space for this, this answers to this question for you

and then you may just come to a place of recognition where you recognize something.

i don't want to reflect this anymore.


그대가 사랑하지 않는다면, 그것에 에너지를 줄 수 없다

이를 삶에 대채로 적용할 수 있다

그대가 하는 일에도,

아주 수많은 방식에 적용해 볼 수 있다

그대가 하는 것이 그대 가슴에 닿지 않는다면, 돌이켜봐야 한다

누가 내가 이것을 하도록 하고 있는가

그리고 그대는 아주 고요히 있어야 한다

오로지 질문만 보이도록


무엇이 내가 이것을 하도록 하고 있는가

그대가 고요히 있으면, 어떤 빛이 안에서 나타난다


머리를 긁적대지 마라

그저 아주 조용히 앉아라

이를 위한 공간을 허용해라

그대를 위해, 이 질문에 대한 답이 떠오르도록

그러면 그대가 무언가를 알아차리는 이해의 곳에 이를 수도 있다

- 나는 이것을 더 이상 되돌아보고 싶지 않은 거구나


sometimes we have to get exhausted.

you run out of moves and then you're compelled by life or by some inner force to say,

'i can't. i'll not do this anymore. i'm never going to put myself in any situations of another exam againg or something'

because those who are destined to do well, they'll do well.

those who are not destined to do well, they won't do well.

but something will come out of it, life experience, a life seeing,

you just don't do them, again.


때로 우리는 탈진해야 한다

그대가 더는 움직이지 못한다

삶이나 어떤 안에서의 힘에 의해 그대는 강요를 받는다

'못하겠다. 난 이것을 더 이상 하지 않겠다. 결코 다시는 이런 상황에 나 자신을 놓아두지 않겠다'

라 말하도록

왜냐면

잘하도록 되어있는 자들은 잘 할 것이다

잘 못하도록 되어있는 자들은 잘 못할 것이다

하지만 뭔가 거기에서 나타날 것이다, 삶의 경험, 삶의 바라봄이.

그저 다시는 그대가 그것들을 하지 않는다



when you're also walking in this path of self discovery,

something, some mistakes become 3, 4 times more painful than before

but it's a good thing because you won't make them again.


그대가 자기 탐구의 이 길을 가는 중에도,
무언가, 어떤 실수들이 이전보다 3, 4배 더 고통스러워진다
하지만 그건 좋은 일이다
다시는 그것들을 그대가 하지 않을 것이므로







300x25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