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히 가리키는 것,

나는 그것을 단순히 가리킨다, 그것만이 어느 것에도 의존하지 않는다,

남자를 향한, 여자를 향한 갈망을 가질 필요 없다






.............largely human beings feel

man is made for woman, woman is made for man,

i said, 으ok......but man is made for God and woman is made for God,

if you understand that, you're out of this trap


많은 사람들이

남자는 여자를 위해 만들어져 있고, 여자는 남자를 위해 만들어져 있다, 고 느낀다


나는, 으, 그래 뭐................하지만

남자는 신을 위해 만들어졌고, 여자는 신을 위해 만들어졌다

이것을 그대가 이해한다면, 그대는 이 함정에서 빠져나온다


because actually as you're waking up and transcending,

these different orientations and roles, you're coming into a much broader field of consciousness,

you're slipping into formlessness,

do not be afraid,

because every form is a limitation of some sort,

we don't have to be running away from them,

because as you wake up to the truth of who you are, you'll see the forms are not in the way of anything,

is only when we're attached, it feels like the form is in the way,

as you wake up, you realize nothing is in the way, there's nothing in the way,

there's no way actually


사실 그대가 깨어나고 변형될수록,

이런 다른 방향성과 역할들에, 그대가 훨씬 더 넓은 의식의 장으로 들어선다

형상 없음 으로 들어선다


두려워하지 마라

모든 형상이 일종의 제한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그것들로부터 달아날 필요는 없다

그대인 것의 진리에 깨어나면, 그대는 형상들이 어느 것의 방해도 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우리가 집착할 때에만, 형상이 가로막는 것처럼 느껴질 뿐이다

그대가 깨어날 때, 그대는 아무것도 가로막고 있지 않다는 것을 깨닫는다

길을 가로막고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다

사실 길 이 없다


but though we may say this, to actually be in the experience of this is another thing,

we may feel we understand that, but it is kind of intellectual understanding,

so it's not bearing fruit yet,

the fruit of this is a knowing that is irrefutable,

but it is not a knowing in duality,

if you understand, we're coming to that


하지만 우리가 이렇게 말한다 해도, 실제로 이것을 경험하는 것은 다른 것이다

우리가 이해하는 것처럼 느껴질 수도 있다, 하지만 그건 일종의 지적 이해이다

그러니 아직 열매를 맺지 못한다


이것의 열매는 반박할 수 없는 앎이다

하지만 이중성 안에 있는 앎은 아니다


그대가 이해한다면,


우린 그것으로 가고 있다


as much as the capacity shows itself, 

then that level of deep experiential comprehension will happen in you,

and it has to


역량이 스스로를 드러내는 만큼

깊은 경험적 이해가 그대 안에서 일어날 것이다

그리고 그건 그래야 한다


because all journeys are ending in your heart, all of them,

it's all of them ends and resolves themselves in you


모든 여정들이 그대의 가슴 안에서 끝나기 때문이다

모든 것들이,

그대 안에서 끝난다, 용해된다, 그 모든 것들이


sometimes people are misinterpreting your teaching and pointing,

that's why it's important to keep it simple and direct,

because otherwise it becomes food for the mind,

the mind starts to develop all kinds of philosophy around, 

simply pointing,

i'm simply pointing to that, which alone is not depending on anything,

it doesn't have craving for man, woman


때로 사람들은 그대의 가르침과 가리킴을 잘못 해석한다

이래서 단순한 것, 바로 가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마음의 양분이 된다

마음이 온갖 철학을 만들어내기 시작한다


단순히 가리키는 것,

나는 그것을 단순히 가리킨다, 그것만이 어느 것에도 의존하지 않는다,

남자를 향한, 여자를 향한 갈망을 가질 필요 없다


it is just perfect in itself


그것 자체 안에서 그저 완벽하다


you must also look, although at a certain layer, level, 

even for one who is awaken may still on the surface have relationship, of course, and even beautiful,

you've seen many of the expressions of Lord Krishna..................,


그대는 또한, 어떤 단계에서는

깨어난 자라도 여전히 표면상 관계를 물론 가질 수 있다 는 것을 봐야 한다

훨씬 아름답다

크리슈나 의 무수한 표현들을 봤을 것이다


it's pointing to that there's a sort of harmony it can balance,

but it's not necessarily attachment in that way,

it's not a craving in that way,

but is tremendous beauty in it, tremendous aliveness, tremendous love, tremendous wisdom can pour when the balance is right


그건 균형이 이뤄질 수 있는 일종의 조화가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그런 식에서 집착인 것이 아니다

그런 식에서 갈망인 것이 아니다

하지만 균형이 제대로일 때,

그 안에 어마어마한 아름다움이 있다, 엄청난 생동감, 엄청난 사랑, 엄청난 지혜가 있다


when you're not in the need of the other,

because if you're in need of the other, you intensify the play of duality


그대가 다른 사람을 필요로 하지 않을 때

왜냐하면 그대가 다른 이를 필요로 하면, 이종성의 놀이를 강화하는 것이다


now people may ask, 'but how is it possible to have a relationship in non-duality?'


이제 사람들은, '하지만 이중성 아닌 것 안에서 관계는 어떻게 가능한가?' 라 물을 수도 있다


well, i'm going to tell you, forget about duality and non duality, 

because your mind is gonna use that and go, oh, how can be a relationship in non duality?

and Shiva is gonna laugh at you


나는, 이중성, 이중성 아닌 것, 에 대해 다 잊어라 라고 말하겠다

그대의 마음은 그걸 이용한다 그리고, 비이중성에서의 관계는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 로 간다

그러면 시바 가 그대를 비웃을 것이다


just keep quiet, 

you cannot know until that experience is burst in you,

everything is fine,

when you wake up, you're not gonna see your mother as mother anymore?

if you have a dog, dog is an illusion..............'

because the mind is funny like this


그냥 고요히 있어라

경험이 그대 안에서 터질 때까지


모든 게 괜찮다

그대가 깨어날 때, 그대의 어머니를 더 이상 어머니로 보지 않겠는가

개 가 있다면, 개 는 환영이지...............' 라 하겠는가

마음이 이처럼 웃기다


300x250


내가 말하듯, 끝났을 때 싸움을 이길 수 없다

그러니 일어나는 동안, 그대의 탐구를 불러와라,

서둘러 흥분된 방식으로가 아니다, 그냥 조용히, 

동요 가 보인다면, 동요 를 봐라,

그것을 알아차려라, 바라볼 수 있는 고요한 곳에서 시작하는 것이다





so that energetic presence of that desire begins to come out, like that,

keep your attention on it,

하-아-, you feel a sense of relief,

don't start to celebrate yet, go back again and keep looking

and gradually, these energies begin to leave you


에너지상, 욕망의 존재가 나오기 시작하면,

그대의 주의를 그것에 두어라,

하-아-......................., 그대는 안도감을 느낀다

아직 축하하지 마라, 다시 돌아가 계속해서 바라봐라

그러면 점차, 이 에너지들이 그대를 떠나기 시작한다


if it will come again,

but each time it loses power because of the intensity of your focus,

it'll keep breaking up


다시 온다면,

그러나 매번 힘을 잃는다, 그대 초점의 강도 때문이다

계속해서 부서져 갈 것이다


once you experience the possibility of successfully transcending those energies when they come,

you'll grow in confidence to take on anything,

because you can meet any desire, any attachment, any force, in the same way like this


그것들이 나타날 때 한 번, 그대가 그런 에너지들을 성공적으로 변형시키는 가능성을 경험하고 나면,

어느 것에 대해서도 자신감이 생길 것이다

어떤 욕망이든, 집착이든, 어느 힘이든, 이렇게 같은 식으로 그대가 만날 수 있다


so that is the power of self inquiry,

self inquiry will work in this way

that as you keep applying it, you keep maturing in it,

and it is as though the force inside begins to teach itself out of inquiry


그래서 이것이 자기 탐구의 힘이다

자기 탐구는 이런 식으로 효과를 낼 것이다

그대가 계속 이것을 적용할수록, 그것 안에서 성숙해간다

마치 안에 있는 힘이 탐구로, 자신에게 가르치기 시작하는 것 같다


the more you stay with it, the more these forces begin to lose their virility or the power of the influence over you


그대가 그것과 더 함께할수록, 이런 힘들은 더욱 그 공격력이나 그대에 대한 영향력을 잃기 시작한다


over you..................

i can begin a deeper inquiry as to who this you is also,

but i won't go into that right now,

start one thing at a time,

like this


그대에 대한................이라 하면,

이 그대 가 누구인지에 대해서 또한, 더 깊은 탐구를 시작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은 들어서지 않을 것이다

한 번에 하나,

이런 식으로


whatever things it's coming and you want to take a look,

if you don't feel -하-아-, the mind is gonna say, 'you didn't succeed'


무엇이 나타나든, 그대가 바라본다

하-아-................를 느끼지 않는다면, 마음은, '너 성공하지 못했네' 라 말할 것이다


so you have to be very very subtle about it,

don't be working for yawning,

the important thing is just keep looking to see, can this be what i am?

the one who's attached, can this be who i am?


그러니 그대는 이것에 대해서 아주 아주 미묘해져야 한다

(하-아-...........) 하품을 하기 위해 하지마라

중요한 것은 그냥 계속 바라보는 것이다, 이것이 나 일 수 있는가

집착하는 자, 이 자는 나 인가


because why would this question come and be effective,

because you are perceiving it, and if you're perceiving it, it must be an object of perception,

it cannot be the one who's perceiving,

and gradually you come into like that


왜 이 질문이 오고, 효과가 있는가

그대가 그것을 인식하기 때문이다

그대가 인식한다면, 그건 인식의 대상이다,

인식하는 자 일 수 없다

그리고 점차 그대가 그런 식으로 들어선다


some people, they don't feel they have the level of the concentration to follow the inquiry,

well, actually, don't despair, don't give up,

you may also, if you feel to pray, ask God, please teach me this inquiry, let me see',


어떤 사람들은, 그들에게 탐구 를 따라 할 집중도가 없다 느낀다

절망하지 마라, 포기하지 마라

그대는 또한, 기도를 하고 싶다면, 신 에게 부탁해라, 나에게 이 탐구를 가르쳐 주세요, 내가 보도록 해 주세요'


but don't close the door and say, 'not for me',

because we're doing these all kinds of things, and you limit your range of power,

so just stay open and you'll find your way


문을 닫고, '이건 내게 안 맞아' 라 말하지는 마라

우리는 온갖 이런 것들을 하고 있다, 그리고 그대가 그대 힘의 범위를 제한한다


그러니 그냥 열려 있어라, 그대의 방식을 발견할 것이다


but there must be an earnestness within you to say, 

'i can feel the light in this, i want to follow these things rather than just going cold turkey and then wait until the whole things blow off by itself, which is also happening',

but like i say, you cannot win a fight when it's finished,

so while it's happening, you will bring your inquiring it,

not in some hurried, excited way, just quietly start from the place of, always feel that you start from a place,

if you see the agitation and you see the agitation,

acknowledge that, you're starting from a place of stillness to look


하지만 그대 안에서,

'난 이것에서 빛을 느낄 수 있다, 그냥 얼어붙은 채, 모든 게 저절로 발산되어버릴 때까지 기다리기보다, 

이런 것 또한 일어날 수 있다, 

보다는 탐구 를 따르고 싶다' 

라고 말할 수 있는 진지함이 있어야 한다


내가 말하듯, 끝났을 때 싸움을 이길 수 없다

그러니 일어나는 동안, 그대의 탐구를 불러와라,

서둘러 흥분된 방식으로가 아니다, 그냥 조용히, 

동요 가 보인다면, 동요 를 봐라,

그것을 알아차려라, 바라볼 수 있는 고요한 곳에서 시작하는 것이다



300x250


우리는, '욕망을 채우는거지 뭐' 라 말하며 상당히 행복해한다

그리고 일어나는 것은

극복되어야 할 욕망들이,

그대가 더 욕망하고 욕망할수록, 욕망에 집착하게 되어갈수록,

그대의 체계 안에서 그대가 약해져간다는 것을 깨닫지 못한다

그리고 점차, 어떤 욕망들은, 그대가 그대 자신에게, '그것들은 해롭지 않다, 큰일 날 것 없다' 라 말할 수도 있다,

하지만 미묘하게 그것들은 특정의 습관과 성향으로 자라간다

그리고 그대 안에서 상당한 공간을 차지한다




if you're more able to reflect on the kind of advice i give,

it will begin like this

that the desires come, can they exist without the desirer?

they go together, you cannot see a desire floating around by itself looking for somebody,

it is a relationship,

when the desire comes, find the one for whom it come, the one who suffers it,

and for this, you have to just be quiet

and you feel the desire, don't immediately try to get rid of desire,

because you don't get rid of it, actually, you only can pick up something to distract you from it temporarily,

but when it's time for you to really look and to apply to kind of advice that you may hear in satsang,

first of all, use the desire to identify the one who is desiring


그대가 내가 내는 제안에 더 비추어 볼 수 있는 쪽이라면,

그건 이렇게 시작할 것이다


욕망이 나타난다, 그것들은 욕망하는 자 없이 존재할 수 있는가

그들은 함께 간다, 욕망이 스스로 떠다니며 누군가를 찾는 것을 볼 수 없다

이건 관계이다

욕망이 나타날 때, 누구에게 오는지 찾아라, 그것으로 고통받는 자를,

그리고 이러기 위해서는 그대가 그냥 고요히 있어야 한다

그리고 욕망을 느껴라, 즉시 제거하려 하지마라

그대는 욕망을 제거하지 못한다

그대를 방해하는 무언가에서 그것을 일시적으로 잡아낼 수 있을 뿐이다


하지만 그대가 정말로 바라보고, 사트상에서 듣는 일종의 조언을 적용할 때이면,

무엇보다, 욕망을 활용해서 욕망하는 자의 정체를 밝혀라


now if you're not used to this, it might feel what is he talking about, it's me,


이제 그대가 이러한 것에 익숙하지 않다면, '그가 무슨 말을 하고 있는거야, (욕망하는 자의 정체는) 나지' 라 느낄 수도 있다


i say, ok, then just catch hold of and identify the particular aspect of the me-ness

that is having the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desire,

you don't have to create this, please just follow it,

the desire comes, feel the presence of the desirer and you feel, yes, what does desirer want? what does it want from this desire?

and slow down, look at that,

and you may find that it feels that by satisfying that desires, it's gonna be happy,

you may not think, i'm gonna be happy forever, i'm gonna be happy now


좋다, 그러면 그냥 그 나 를 잡아서, 그 나 의 특정한 면의 정체를 밝혀라

욕망과 강한 관계를 갖는 나' 라는 것


그대가 이것을 만들어낼 필요 없다, 그냥 따르기만,

욕망이 나타난다, 욕망하는 자의 존재를 느껴라, 그리고, 그래, 욕망하는 자 는 무엇을 원하는가, 이 욕망에서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


천천히,

그것을 바라봐라,

그러면 그대가, 그 욕망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행복해질거라 느낀다는 것을 발견할 수도 있다

영원히 행복할거라고는 생각하지 않을 것이다, 지금은 행복할 것이다


ok, and we're quite happy to say, 'go along with it to feed desire' 

and what happens is

when this desires which are to be overcome,

because the more you're desiring, desiring, become attached to desire,

you don't realize you become weak in your system

and gradually, some desires, they may seem, you may tell yourself, they're harmless, it's not any big deal,

but subtly they're feeding into developing certain kind of habit and tendency,

and occupying a good amount of space inside yourself


좋다, 

우리는, '욕망을 채우는거지 뭐' 라 말하며 상당히 행복해한다

그리고 일어나는 것은

극복되어야 할 욕망들이,

그대가 더 욕망하고 욕망할수록, 욕망에 집착하게 되어갈수록,

그대의 체계 안에서 그대가 약해져간다는 것을 깨닫지 못한다

그리고 점차, 어떤 욕망들은, 그대가 그대 자신에게, '그것들은 해롭지 않다, 큰일 날 것 없다' 라 말할 수도 있다,

하지만 미묘하게 그것들은 특정의 습관과 성향으로 자라간다

그리고 그대 안에서 상당한 공간을 차지한다


so the master is only pointing,

be watchful of this, it is possible to come out of any desire and every desire in the way that i'm speaking,

first of all, just look, if you can start in a very simply way,

you can say, ok, what is the desire or attachment for?

and you identify, you can even write it down,

because when you begin to target a particular kind of phenomenon and you're really getting somewhere,

you'll experience a kind of blurring of your focus


그래서 스승이 가리키는 것은

이것을 조심해라 라는 것이다


내가 말하는 방식으로, 어느 욕망이든, 모든 욕망에서 빠져나오는 것이 가능하다


우선, 그냥 봐라, 그대가 아주 단순하게 시작할 수 있다면,


그래, 욕망이나 집착은 무엇 때문에? 라 해 볼 수 있다


그리고 그대가 밝혀라

적어내려갈 수도 있다

왜냐하면 그대가 특정한 현상을 목표로 삼기 시작할 때, 그래서 그대가 어딘가에 정말로 이르려 할 때,

그대는 일종의 초점이 흐려지는 것과 같은 것을 경험할 것이므로


it is as though something doesn't want to be discovered and everybody feels that,

so it's good you write down, so what is this desire and its fulfillment promising that happiness, like this

so you can write it down and the one who is looking for this can be seen,

if we can identify energetically, can you see this one? 

and just by turning the attention like that, the force of the desire or any other attachment or projection begins to just break out, open up


마치 뭔가 발견되고 싶어하지 않는 것 같다

그리고 모두가 이러한 것을 느낀다

그러니 적는 것은 좋다

그래서 이 욕망은 무엇이고, 그것의 성취는 행복을 보장한다, 의 식으로


에너지 상으로 정체를 밝혀낼 수 있으면, 이것이 보일 수 있겠는가

그리고 그냥 그렇게 주의를 돌리는 것만으로, 욕망이나 여타 집착 혹은 투사의 힘이 일어나기 시작한다, 열려댄다


if we don't do this, it continues to feed and can become so powerful force that you have a sense that you have no resistance against this desire


만일 우리가 이렇게 하지 않으면, 그건 계속해서 먹어대어, 아주 강력한 힘이 되어서

그대는 이 욕망에 저항할 수 없다는 느낌을 갖는다


so master's only pointing, you can follow like that,

this way of looking, we call inquiring, self inquiring,

it's to identify the particular aspect of self that is created a relationship with that particular phenomenon,

and as you do, 

you stay with it,

because sometimes the mind will present you another thing to look at,

it is like, you're coming to close, 'what about this?',

no, stay with this one, and you may find that you keep losing focus, but just bring it back when you can,

just keep looking and gradually, if you keep your attention on this, and you're determined to not run away from the facing of this, 

you may find that at some point, this happens, 하-아-


그러니 스승의 가리킴은 오로지, 


그대는 그렇게 따라갈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보는 것을 우리가 탐구, 자기 탐구 라 부른다

특정한 현상과의 관계로 만들어진 자신의 특정한 면의 정체를 밝히는 것이다

그리고 그대가 그렇게 할수록


그것과 머물러라

때로 마음이 또 다른 볼 것을 제시할 것이므로


그대가 가까이 가는데, '이건 어때' 라고 다른 것을 내미는 것 같다

아니다, 이 하나와 머물러라

그대가 계속해서 초점을 놓치는 것을 발견할 수도 있다, 하지만 가능한 그냥 다시 불러와라,

그냥 계속 바라봐라

점차, 그대의 주의를 계속 이것에 놓는다면, 그리고 그대가 이것에 직면하는 것에서 달아나지 않기로 한다면,

어느 지점에서, 그대가 -하-아- (숨을 내쉬거나 하품을 하거나) 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300x250


그대의 주의를 자주 차지하고, 그대가 쉽게 방해를 받는 것들은,

이런 힘들이 올 때, 우리가 바라볼 수 있다,

그대는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는지, 어떻게 자유로워질 수 있는지를 묻는다





so let's begin like this,

no one can exist with no desire at all, life itself is a desire,

but what the master is pointing to 

is attachment to desires, deep emotional, psychological identified attachment to desire,

desire for food, desire for exercise, desire to be in the company of friends to enjoy,

these don't leave any bad smell in the consciousness,


이렇게 시작해보자

아무도 전혀 아무런 욕망 없이 존재할 수 없다, 삶 자체가 욕망이다


하지만 스승이 가리키고 있는 것은

욕망에 대한 집착이다

깊이 감정적, 심리적으로 동일시된 욕망에의 집착


음식에 대한 욕구, 운동에 대한 욕구, 친구들과 어울리고 싶은 욕구,

이것들이 의식에 나쁜 냄새를 남기는 것이 아니다


but desires which lead to craving,

desires which are about neediness, 

the sense that one cannot exist happily without getting the things that one projects,

such desires, they are not in support of your freedom


갈망으로 이끄는 욕망,

궁핍하게 필요로 하는 욕구,

투사하는 그것들 없이는 행복하게 있을 수 없다는 느낌,

그런 욕망들, 그것들은 그대의 자유를 지지하지 않는다


this is what he means,

but natural desires, desires to take a rest when you're tired,

the desire to go walking spontaneously there's feeling arise in you,

the desire to exercise, the desire to be in company of particularly of righteous people,

these desires, they don't harm you,

they're also called desires, 


이것이 스승이 뜻하는 것이다


하지만 자연스러운 욕구들, 피곤할 때 쉬고 싶다는 욕구,

즉흥적으로 그대 안에서 일어나는 산책을 가고 싶다는 욕망,

운동을 하고 싶은 욕구, 특정하게 분별력 있는 사람들과 있고 싶다는 욕망,

이런 욕망들, 이것들은 그대를 해롭게 하지 않는다

이것들 또한 욕망이라 불린다


so it is good to differentiate, to discern what the master speak,

if he just speaks, desires. is not good, then it means human intellect and the natural reciprocal play with life is not good,

because desire is also there, desire for particular kind of food, can be called the desire,

but if doesn't lead to attachment to neediness, to greed, then it is not harmful


그러니 스승이 말하는 것을 구별, 분별하는 것이 좋다

만일 그가 그냥 욕망은 안 좋은 것 이라 말한다면, 인간의 지력과 삶과의 자연스러운 상응이 좋지 않다고 하는 것이 된다


욕망 또한 있다, 

특정 음식에 대한 욕망, 욕망이라 불릴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이 궁핍한 필요, 탐욕에 대한 집착으로 이끌어가지 않으면, 해롭지 않다


so again what master's meaning is that

the desire which is constantly thinking about,

because we can have a desire whereby there's no space for other things to fruit through your space,

because constantly you're looking for a way of fulfilling your desires


그래서 다시, 스승이 의미하는 것은

끊임없이 그것에 대해 생각하는 욕망이다

그러느라 그대의 공간을 통해 결실을 맺을 다른 것들을 위한 공간이 없을 수 있다

그대가 끊임없이 그대의 욕망을 이룰 방법을 찾으려하기 때문이다


and he's pointing to say, that such desires are only temporarily satisfied,

they just rise up again and you just keep on in this need

and it's very difficult to get to break spell of them


그리고 그가 가리키며 말하는 것은, 

그런 욕망들은 일시적으로 만족될 뿐,

다시 일어나고, 그대는 계속해서 이 욕구에 붙어있다

그것들의 주술에서 깨어나기 아주 어렵다


now you start by saying, you want to be free of desires, having heard me say,

which ones are natural, they don't leave any footprints in the consciousness, you understand that,

'ok, it frees up to not be...',


이제 그대가, 욕망에서 자유롭고 싶다, 고 말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내가 말하는 것을 듣고,

어느 것들이 자연스러운 것인지, 그것들은 의식에 자국을 남기지 않는다고,

그대가 이해한다, '좋다, 나를 자유롭게 하는 것


but the ones that we can identify as the things that preoccupy your attention often and you easily distracted

when these forces come,

then we can look at that, you ask how to do it, how to be free of them


하지만 그대의 주의를 자주 차지하고, 그대가 쉽게 방해를 받는 것들은,

이런 힘들이 올 때, 우리가 바라볼 수 있다,

그대는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는지, 어떻게 자유로워질 수 있는지를 묻는다


if you're devotional being, you may present that in a prayer to supreme self, to the Lord of universe, you may say,

'i'm not good, i'm not able to control my projections, i'm just so weak, i don't have any power of determination,

all these things, they're too much for me, please help me to transcend them',


그대가 헌신의 존재라면, 

기도에 바칠 수 있다, 최상의 진짜 자신에게, 존재의 신에게 라고 말할 수 있겠다

'내가 잘 못 해요, 나의 투사들을 통재할 수가 없습니다, 나는 너무 약할 뿐, 단호할 수 있는 힘이 없습니다,

이런 것들 모두, 나에게 너무 벅찹니다, 내가 이것들을 변형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then power comes, power comes through your humility, your openness and honesty,

the power will come to help you there


그러면 힘이 온다, 

힘은 그대의 겸손함, 그대의 열려있음 과 정직 을 통해 온다

힘이 그대를 돕기 위해 나타날 것이다


if you're more able to reflect on the kind of advice i give,

it will begin like this


만일 그대가 내가 내는 제안에 비추어 볼 수 있는 쪽이라면,


300x250


제한된 나' 의 느낌이 오고 갈 수 있다

그 오고감이 바라보아진다

그 다음 열망이 솟는다, 누구를 위해 이 제한된 나' 가 오고 가는가





it comes clear that the functioning of perception belongs to the realm of relativity,

it comes clear, you are at the place of zero and witnessing of the world of names and forms and actions and so on,

it's just happening by itself, witnessing happening is by themselves,

but is is not consequential to you the witness in a deep way 


인식의 작용은 상대성의 영역에 속한다는 것이 분명해진다

명확해진다

그대는 0 의 자리에 있다, 그리고 이름들 과 형상들, 행동들 등 의 세상을 바라본다

스스로 일어나는 것일 뿐이다, 바라보는 것 도 스스로 일어난다

하지만 그대인 주시자에게라 당연히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깊은 면에서 보면


the sense of the person may come and go,

and it's witnessed to come and go,

then would arise the urge, for whom is the person coming and going,

then invites the introspection to see who is interested in coming and going,

then even this question will burn any remaining sort of troublesome dualistic play


제한된 나' 의 느낌이 오고 갈 수 있다

그 오고감이 바라보아진다

그 다음 열망이 솟는다, 누구를 위해 이 제한된 나' 가 오고 가는가

그러면 통찰이 초대된다

누가 오고 감에 관심이 있는지 를 보려 한다

그러면 이 질문이, 

문제를 일으키는 어떠한 이중성 놀이 가 남아있다해도

다 태워버릴 것이다


and it is not the fact that you see something or even that you feel pain or something,

you understand that,

that is inside the dynamic functioning of the realm in which i say, inside the theater of consciousness

where the action and the display of the dualistic functioning of consciousness is watched,

you have a sense that you are there also, 

but you are there in a way that's not as profound as you are just the awareness itself


그대가 뭔가를 보거나, 그대가 고통이나 뭔가를 느낀다는 것조차 사실이 아니다

그대가 그것을 이해한다

그건 내가 의식의 영화관 이라 하는 그 안 영역의 역동적 작용 안에서의 것이다

행동과 의식의 이중성의 작용의 전시가 바라보아지는 곳이다


그대가 그 곳에 있다는 것 또한 느낀다

하지만 그대는 그저 각성 자체인 만큼의 깊이로 있는 것은 아니다


is like you are the awareness, you are the absolute and the relative,

but relative is time bound, and that is watched from the absoluteness

and thereafter there's nothing more to calculate,

everything is naturally functioning,

there the functioning of perception and the perceiving or the observing of the functioning of the perception

is happening very naturally for you,

there's nothing to really,

that's just the way of things


그대가 각성이다, 그대가 절대이다, 그리고 상대,

하지만 상대 는 시간 제한을 받는다, 그리고 이것이 절대에서 바라보아진다

그래서 결국 더 계산해봐야 할 것은 아무것도 없다

모든 것이 자연스럽게 움직인다

인식의 작용이 있다, 인식의 작용을 인식하거나 바라보는 것이 그대에게 아주 자연스럽게 일어난다

정말로는 아무것도,

그냥 그런 식일 뿐이다


that's all i want to say to you

and i don't want to tell you, oh your work is not done,

i'm going to say, who's work is not done? who's work is done or not done?

is more a kind of, i put that to be a modification in the mind or of consciousness,


이것이 내가 그대에게 말하고 싶은 것의 다다

그리고 나는 그대에게, '그대의 작업은 끝나지 않았다' 라고 말하고 싶지 않다

누구의 작업이 끝나지 않았다는 것인가, 누구의 작업이 끝나거나 끝나지 않았다는 것인가

그건 마음 안에서나 의식의 각색이라 하겠다


a belief is believed in, it begins to heel fruit and the fruit of that belief is doubt,

and doubt and belief are also a play inside the theater of consciousness from the absolute standpoint,

there's not any particular interest in them, not too much importance is given to them,


믿음이 믿어지면, 결실을 내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 믿음의 결실은 의심이다

의심과 믿음은 또한, 절대의 자리에서 보면, 의식의 영화관 안에서의 놀이이다

그것들에 어느 특정한 관심이 있지 않다, 그것들에 지나친 중요도가 주어지지 않는다


but while you have a body, the vital force, the vital breath which is the animating force of the universe is still functioning in it

and consciousness is there,

potential for thought activity is present,

you the awareness is not concerned that much about it,

you see them life takes care of life,

everything is unfolding as it should,

you're not so tied up in that matter


하지만 그대가 몸을 갖는 동안, 우주의 동력인 생명력과 살아있는 호흡을 갖는 동안에는 여전히 그것 안에서 작용한다

그리고 의식이 있다

생각 활동의 잠재성이 있다

그대인 각성은 그것에 그다지 관심이 많지 않다

그대는 삶이 삶을 돌보는 것을 바라본다

모든 것이 그래야 하는대로 펼쳐진다

그런 문제에 그대는 그다지 매여있지 않다


i feel a joy in telling you that, sharing this for you,

it will be happy for me that not just that you drop this idea, but you drop the idea of the one dropping also


나는 그대에게 이런 것을 말하는데, 나누는데 기쁨을 느낀다


그대가 이런 생각을 놓을 뿐 아니라, 놓는 자 또한 놓는 것에 내가 행복해 할 것이다


if you understand,

i hope this things don't sound complicated

because in the actuality of the, you are the self,

i cannot see other than the self

sometimes you are the self with a belief that you are not the self,

then this belief you are not the self should dissipate,

but don't remain as the one who dissipated in it

nothing, nothing at all


그대가 이해 한다면


나는 이런 것들이 복잡하게 들리지 않았으면 한다

왜냐하면 실제에서, 그대는 진짜 그대이다

진짜 그대 외 다른 것을 내가 볼 수가 없다

때로 그대가 진짜 자신이 아니라는 믿음을 가진 자신이다

그러면 그대가 진짜 자신이 아니라는 이 믿음이 사라져야 한다

하지만 그 안에서 사라지는 자로 남지마라


아무것도 아니다

전혀 아무것도 아니다


300x250


'제발 나를 도와달라, 안내해달라, 나는 몸부림치고 있다'


몸부림치고 있는 자 또한 바라보아지지 않는가

몸부림 을 바라보는 것, 그것이 몸부림치는가

내가 말하는 것에 그렇게 어려운 게 뭐가 있는가

어려운 것인가, 아니면 저항이 있어서, 그 저항이, 난 할 수 없어, 더 나아가기 싫다, 라는 것인가





when you become empty, your person is not there anymore,

this is why i ask him, you drop everything now, drop it,

and what happen? 

he was able to, why able to? 

some other people, 'i try and i can't',

why is he so able to do it? that just drop it,

meaning, leave it aside for now,

so that you could experience the natural state of emptiness,

then i ask you, did you create this emptiness? are you trying to keep the emptiness empty? are you something in the nothing?

so these questions, i have to ask to test the discernment

그대가 비어있게 될 때, 그대의 제한된 나' 는 더 이상 있지 않다

이래서 내가 그에게 요청한 것이다

'지금 모든 걸 놓아라, 떨궈라'


그리고 무엇이 일어났는가

그는 그럴 수 있었다

왜 그럴 수 있었는가


어떤 다른 사람들의 경우에는, '애 쓰고 있다, 못하겠다' 고 한다


그는 왜 그렇게 할 수 있을까

그냥 떨궜다

잠시 제쳤다


그렇게 해서 비어있음 의 자연스러운 상태를 경험할 수 있었다


그 다음 내가 묻는다,

그대가 이 비어있음 을 만들어내었는가

비어있음 을 비어있도록 유지하는가

그대는 아무 것 없음 안에서 무언가인 것인가


이런 질문들, 분별을 시험하기 위해 내가 해야 한다


and the more the response come that no, i am it, 

it's important that you confirm yourself that you hear yourself saying this,

then you're not just living on my words, you're feeding on your own seeing


그리고 응답이, '아니다, 내가 그것이다' 쪽으로 나올수록


그대가 그대 자신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대 자신이 이렇게 말하는 것을 그대가 듣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면 그대는 그냥 나의 말에 기대어 사는 것이 아니다

그대 자신이 보는 것을 먹이로 삼는다


sometimes the perception, the mind grasp it early, then i look at and i say,


때로는 인식이, 마음이, 빠르게 잡고는, 내가 보고 말하는데

라는 식이다


is there not an innocent awareness?

if i ask you, say, actually, this old discussion was happening and i was aware of it


거기 순수한 각성이 있지 않은가

낡은 토론이 일어나고 있고, 내가 그것을 인식하고 있지 않은가


sometimes i have to force you to confess that you're the one who's here,

underneath, behind the mind, behind the thought, behind the feeling,

behind the movement, behind the breath, behind the life, also

that you're there


때로는 내가 그대를 몰아붙여야 한다

그대가 여기에 있는 그 자, 라고 자백하도록 몰아붙여야 한다


저변에, 마음 뒤에, 생각 뒤에, 느낌 뒤에,

움직임 뒤에, 호흡 뒤에, 삶 뒤에 또한

그대가 있지 않은가


because you're a bit, i don't know, the mind,

so i have to challenge

and then you have to admit one day, i'm the one absolutely


그대는 좀, 난 모르겠는데, 라는 식이므로

마음이다,

그래서 내가 도전해야 한다

그러면 그대가 언젠가는 인정해야 한다, 내가 그 자다, 절대적으로


why you say, you can see all these things?

if you're those things, how can you see things?


왜 그대는, 이 온갖 것들을 볼 수 있다 말하는가

그대가 그런 것들이라면, 어떻게 그대가 그것들을 볼 수 있는가


if everything can be perceived, the most subtle thought, the subtlest perception or feeling or the movement of emotion or the sense of time, 

something is watching all of these things, 

that which is watching all of those things, can that itself be watched?

and if it can, by who?


모든 게 인식될 수 있다면, 가장 미묘한 생각, 느낌이나 감정의 움직임, 시간 느낌의 가장 미묘한 인식이라도,

무언가가 이런 것들을 바라본다


그것들을 바라보는 것, 그것 자체가 바라봐질 수 있는가

그럴 수 있다면, 누구에 의해서


if this question catches hold of you, 

then i tell you, don't worry about any other practice, you solve this one,

because in solving this, you dissolve yourself in this,


만일 이 질문이 그대를 사로잡는다면,

나는 그대에게 말하겠다

어느 다른 수행 에 신경쓸 것 없다, 이것을 풀어라

이것을 푸는 중에, 이 안에서 그대가 사라진다


is it scary what i'm speaking?


내가 말하는 것이 무서운가


'please help me and guide me as i'm struggling',


'제발 나를 도와달라, 안내해달라, 나는 몸부림치고 있다'


isn't the one who's struggling also watched?

is that which watches struggling, is that struggling?

what is so difficult about what i'm speaking?

is that difficult or that there's some resistance and the resistance feel like i can't, i don't want to go any further,


몸부림치고 있는 자 또한 바라보아지지 않는가

몸부림 을 바라보는 것, 그것이 몸부림치는가

내가 말하는 것에 그렇게 어려운 게 뭐가 있는가

어려운 것인가, 아니면 저항이 있어서, 그 저항이, 난 할 수 없어, 더 이상 나아가기 싫다, 라는 것인가


isn't that also perceived?

at what point will you give up on your seeing?


그것 또한 인식되는 것 아닌가

어느 지점에서야 그대는 그대가 보는 것에 졌다 할 것인가


if somebody say, 'oh, it's not working for me',


어느 누군가, '아, 나에겐 작용이 안 돼' 라고 말한다면


isn't that also seen?

is that a fact of who you are?

or is it not just a voice coming from an old habit of speaking?

isn't that not seen?


이것 또한 바라봐지지 않는가

이것이 그대 인 사실인가

아니면 그냥 말하는 낡은 습관에서 나오는 하나의 목소리일 뿐인가

이것 또한 바라보아지지 않는가


contemplate, 

what is good about this satsang is that they're recorded and you can listen again,

if something feels like, ok, the whole satsang, it was ok, but this part, i want to hear this part,

yeah, play, pause, rewind, play, listen, pause,


숙고해라,

이 사트상이 좋은 것은, 녹화가 된다, 그대가 다시 들을 수 있다

사트상 전체적으로 괜찮았어, 라는 느낌이면 괜찮다

하지만 이 부분, 이 부분을 난 듣고 싶다 고 하면,

실행하고 멈춤, 다시 앞으로, 실행하고, 듣고, 잠시 멈춤,


your sadhana


그대의 수행 이다


300x250


이 깊은 이해를 가로막는 유일한 것은

제한된 나' 로 끈질기게 고집하는 것이다

제한된 나' 는 여전히 좌절하고 있다, '네네, 아직 내게 답이 아닌데, 제발 나의 좌절을 없애주세요' 라 말하며





(나 자신을 찾기 위해 피곤하도록 했다)


the tired one and its identity are both phenomenal appearances on the screen of consciousness being watched,

right here very self, the self which is not trapped in the bubble of the things you are describing,

nothing can trap the self,

what can trap the infinite?

it is just speaking from the habit, habit, habit,

the mind, the sense of the person is fighting somehow against this opening


피곤한 자 와 그 동일시, 둘 다 현상적 모습으로 의식의 화면에 나타나 바라보인다

바로 여기 바로 진짜 자신이, 그대가 설명하는 것들의 거품 안에 갇히지 않은 자신이 있다

자신을 가둘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무엇이 무한 을 가둘 수 있겠는가

그건 그냥 습관, 습관, 습관 에서 말하는 것일 뿐이다

마음, 제한된 인식 안의 나 라는 느낌은 어떻게든 이런 열림에 대항해 싸운다


you may ask why is it doing this?

life, this is nature, you have to overcome,

this is a game of transcendence,

if you're holding onto the sense of the person, 

which is something that you can let go of and still be very healthy to look at it, what it is to see if the person disappears,

does it mean you disappear?


왜 인지 그대가 물을 수도 있겠다

삶이다, 이렇다, 그대가 극복해야 한다

이건 변형의 게임이다


만일 그대가 제한된 나' 의 느낌을 붙들고 있다면

그대가 그것을 놓아도, 그대는 여전히 아주 건강하게 그것을 바라볼 것이다,

제한된 나 라는 느낌이 사라진다 해도 무엇이 진짜 있는지를 볼 것이다

그건 그대가 사라진다는 뜻인가


some awaken beings, their persons have disappeared,

they forget about their persons

and because they forget about themselves as a person, the whole world cannot forget about them


깨어난 이들, 그들의 제한된 나'  의 느낌은 사라졌다

자신들의  제한된 나' 에 대해 잊었다

그들이 제한된 나' 로서의 자신들에 대해 잊었으므로, 온 세상이 그들을 잊을 수 없다

 

you are remembering yourself,

there's a fear that itself is a delusion,

a fear that something is going to happen to me and whatever fear is that something might affect my attachments,

you're attached to some ideas, some identity,

and whatever threatens that sense of attachment, something is protecting it


그대는 그대 자신을 떠올리고 있다

거기에 두려움이 있다, 그 자체가 환영인.

뭔가 나에게 일어날 것이라는 두려움, 무엇이든, 무언가 내가 집착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

그대는 어떤 생각들, 어떤 동일시 에 집착하고 있다

그리고 집착의 느낌에 위협을 가하는 것 무엇이든, 무언가 그 집착을 보호한다


i'm asking you, are you not aware of all that scenario?

are you trapped in the bubble of any scenario?

are you in the box or outside of the box?

that will determine what i can say to you next,

are you in the box of the things that you are talking about  the situations?

are you trapped inside the box? or are you looking at the sense of box that would the idea of yourself be trapped in?


내가 그대에게 묻는다

그대는 그런 시나리오 를 인식하고 있지 않은가

그대는 시나리오 의 거품 안에 갇혀있는가

상자 안에 있는가, 상자 밖에 있는가

그것이 내가 다음에 그대에게 말할 수 있는 것을 결정할 것이다

그대는 그대가 그런 상황에 대해 말하는 것들의 상자 안에 있는가

상자 안에 갇혀있는가 아니면 그대 자신이 갇힌 듯한 상자의 느낌을 바라보고 있는가


the i that gets trapped in that or is trapppable is not yet the true i,

that which is aware of the sense of i that gets trapped, is that one trapped?

are you less there or more in the one that is trappable?


그것 안에 갇힌 나 이거나 갇힐 수 있는 나 는 아직 진짜 나 가 아니다

갇힌 나의 느낌을 인식하는 것, 그것은 갇혔는가 

그대는 그 곳 안에 덜 있는가 아니면 갇힐 수 있는 자 에게로 더 가 있는가


no special practice to observe, observing is happening very spontaneously, very naturally,

whatever appears, you're aware that it arises in front, 

it plays in front and it passes away

that which is observing the coming and going of any phenomenon,

is that itself coming and going?

that which is aware of the traffic of sensations or thoughts or feelings,

when the feelings come and go, do they pull that they away with them? or is it not that you're there to observe those feelings have gone,

i'm the witness of coming and going of them, that which witnesses coming and going of anything, 

does it come and go?

relative to the things that you see


바라보는 데 특별한 연습은 필요 없다, 바라보기 는 아주 즉시적으로, 아주 자연스럽게 일어난다

무엇이 나타나 보이든, 앞에 떠오르는 것을 그대가 인식한다

앞에서 놀이를 벌이고, 지나가 사라진다

어떤 현상의 오고 감을 바라보는 것, 그 자체가 오고 가는가

감각이나 생각, 느낌들 의 오고 감을 인식하는 것,

느낌들이 오고 갈 때, 같이 가자고 잡아당기는가, 아니면 그 느낌들이 사라지는 것을 그대가 바라보고 있지 않은가


나는 그것들이 오고 가는 것을 바라보는 자, 

어느 것이든 오고 가는 것을 목격하는 것,

그것이 오고 가는가

그대가 보는 것들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the only thing that may stand in the way of deep grasping of this 

is the persistent sense of i as a person

because a i as a person may still be left feeling of frustrations saying, 'yes, you still don't answer me, please take my frustrations',

the very pointer of making is not probably coming through deeply


이 깊은 이해를 가로막는 유일한 것은

제한된 나' 로 끈질기게 고집하는 것이다

제한된 나' 는 여전히 좌절하고 있다, '네네, 아직 내게 답이 아닌데, 제발 나의 좌절을 없애주세요' 라 말하며


가리킴 자체가 깊이 통과하지 못하는 것 같다


please sit for a moment, just keep listening, because i'm speaking same thing


부디 잠시 앉아 그냥 계속해서 듣길, 

나는 같은 것을 말할 것이다



300x250

마음에 의해 바라보이는 광대함은 진짜가 아니다

광대함 그 안에서 마음이 보이는 것, 그것이 진짜다





the person' sense comes up, 

the person wants to understand,

the person and the mind, they go together, they want to understand,

but both the person and its mind sets are relative expressions,

they're not the infinite self, the infinite self doesn't want to learn anything, it doesn't need to learn anything,

it is beyond knowledge,

but where is it to be beyond knowledge?

somewhere out there?

no, right here


제한된 인식 안에 갇힌 나 의 느낌이 있다,

그 자가 이해하고 싶어한다

그 자와 그의 마음, 그들은 함께 간다, 이해하고 싶어한다

하지만 제한된 인식의 자와 그 마음, 둘 다 상대적 표현들이다


무한한 진짜 자신 이 아니다

한계 없는 진짜 자신 은 어떤 것을 알고 싶어하지 않는다, 어떤 것도 배울 필요가 없다

지식 을 넘어서 있다

하지만 지식을 넘어서 있는 것은 어디에 있는가

저기 어딘가 밖에?

아니다, 바로 여기에 있다


so why do i say it's beyond?

it's not beyond in terms of distance, it's beyond in terms of subtlety, in the subtlest seeing,

so the person speaking, but the person can be seen


그런데 내가 왜 그것은 넘어서 있다 고 말하는가

거리의 의미에서가 아니라, 미묘함, 가장 미묘한 바라봄에서이다


그러니 제한된 자 가 말한다 해도 그 자는 보인다


the vastness that is seen by the mind is not the true,

the vastness in which the mind is seen, that is the true


마음에 의해 바라보이는 광대함은 진짜가 아니다

광대함 그 안에서 마음이 보이는 것, 그것이 진짜다


again, the vastness, the infinitiness that the mind perceives is not true,

the infiniteness within which the mind itself is seen, that is the true


다시, 광대함, 마음이 인식하는 무한함은 진짜가 아니다

무한함 그 안에서 마음이 보이는 것, 그것이 진짜다


as long as we hold onto the personal identity, something is protecting it,

it doesn't want to be challenged


우리가 사적 동일시 를 붙들고 있는 한, 무언가 그것을 지킨다

그것이 도전 받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when it comes to a time that you say, 'but my person itself and its behavior so on, itself can be seen',

then we're moving in the right way.


그대가, '나 라는 제한된 인식 그 자체와 그 행동 등, 그 자체가 바라보인다' 라고 말할 때,

그 때 우리는 제대로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i can see the sense of, i can see my mind construct, i can see it, the sense of my behavior,

i can see my identity strong, very much feel like i'm a woman and i'm this'


'내 마음의 구조물을 볼 수 있다, 내 행동의 느낌, 나의 동일시가 강한 것을 볼 수 있다,

나를 너무 여자처럼 느끼고 있다, 그리고 나는 이렇다 라는 것이 보인다'


ok, these are categorizations of the self, they are perceived,

that which perceive them, does that have those quality?

you can answer that, or have you gone blank?


좋다, 이런 것들은 진짜 자신의 '범주들이다, 그것들은 인식된다

그것들을 인식하는 것, 그것은 특질을 갖는가

그대가 답해봐라, 아니면 멍 한가


you gone blank, yes, blank is also seen or not?

if you go blank, then the mind says, call of the search, mind's gone blank,

but blank also is seen,

awareness cannot suffer blank

so mind is gone blank is consequential to the seeing,

so this is again another thing,

you are reading the mind to see if the mind is comfortable, with the mind is still aboard,

these things are happening


멍하다 고, 멍한 것 또한 보인다, 그렇지 않은가

그대가 멍 해진다면, 마음은, 탐색 끝, 멍 해짐, 이라 말한다


하지만 멍함 또한 바라보인다

각성은 멍함으로 고통받을 수 없다

바라봄의 결과로 마음이 멍해졌다고 하는 건, 이건 또 다른 것이다

그대는 마음이 편안한지, 마음이 여전히 같이 하는지, 마음을 해석하고 있다

이런 일들이 일어난다


ok, let's leave it like that for now,

you have to be ready to give birth today


좋다, 지금은 그렇게 놔 두자


오늘 태어날 준비가 되어있는 자여야 한다



300x250

그대가 내가 말하는 것을 따라올 수 있는 역량만큼 그대의 존재를 따른다면


단계를 따르는 것이 아니다, 바라봄과 이해를 따르는 것이다

그리고 이 바라봄과 이해 안에서, 발견이 일어난다





again, the sense of yourself, the strong identity, 

the sense of the identity of the person seems to be saying, 'i want to find the impersonal, the ultimate, the infinite',

but how can the finite discover the infinite

and remain the possessor of the infinite,

even not that doesn't make a sense


다시,

그대 자신이라는 느낌, 강한 동일시,

그런 사람이라는 동일시의 느낌이, '나는 한계가 없는 것을 찾고 싶다, 궁극을, 무한을', 이라고 하는 것 같다

하지만 유한이 어떻게 무한을 발견할 수 있는가

그리고 무한의 소유자로 남는다?!

그것조차 말이 되지 않는다


what it means,

is that the finite sense gets merge in the infinite


정말은

유한의 느낌이 무한으로 녹아드는 것이다


but sometimes if you have an identity, 

this what i'm saying can produce a little fear in you,


하지만 때로 그대에게 동일시가 있다면,

이것이 그대 안에서 좀 두려움을 일으킬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maybe the fear of the finite is that wow to become the infinite, i'm going to be spread so thin, and i like being me, 

i just want to be me and be free, 

i want to be the person i am who discover the great impersonal things,


아마 유한의 두려움은,


'와, 무한이 되는 것, 난 얇게 펴지겠구나, 난 나 인 것이 좋은데, 난 그냥 나이면서 자유롭고 싶다,

위대한 무한한 것들을 발견하는 나란 사람이고 싶다'


does it make sense?

only in the mind, this kind of craziness makes sense,

but as you begin to look


말이 되는가

오로지 마음 안에서만, 이런 광기가 통한다


하지만 그대가 바라보기 시작하면


and i'm not saying, you keep looking, you're so into divine wack or something,

certainly you vanish and miss buddha or something


그리고 나는, 그대가 바라보니 갑자기 성스러운 무언가가 되고,

확실히 그대가 사라지고, 미스 붓다 이거나 무언가가 된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i'm just saying if you follow your being as the capacity to follow what i'm saying,

not follow with steps, but just follow with seeing and understanding,

and in this seeing and understanding, a discovery happens


나는 그냥, 그대가 내가 말하는 것을 따라올 수 있는 역량만큼 그대의 존재를 따른다면


단계를 따르는 것이 아니다, 바라봄과 이해를 따르는 것이다

그리고 이 바라봄과 이해 안에서, 발견이 일어난다


what is this discovery?

is it one thing discovering another thing?

no, is the thing discovering itself, 


이 발견이 무엇인가

하나가 다른 하나를 발견하는 것인가

아니다, 스스로를 찾아내는 것이다


is that too much thing to say?


이해하기에 너무 과한가


if you give it to the mind that the mind will 블를르르르................,

but if you really follow, you see, 'but wait a second, but it is so, so simple',


그대가 마음에 내어준다면, 마음은 '블르를르를............' 할 것이다

하지만 그대가 정말 따른다면, 그대가 본다, '어, 간단하네' 


sir, i ask you, has it gone away what you have experienced before?

has it changed or it same?


(이전의 다른 질문자에게)

아까 발견한 것, 사라졌나요?

변했는지 같은지?


-same


-같습니다


is there a way i can say to you, in one weeks time, you're going to lose it, something,

would it make sense to you?


내가, 일 주일 지나면, 그것을 잃어버릴 것이다, 라고 말할 수 있을까

말이 되는가요


-it is permanent 


-그건 영원합니다


look how he's speaking, he didn't say, 'i think..........', 'it's permanent',


그가 말하는 것을 봐라, 그는, .............라 생각하는데' 의 식으로 말하지 않았다,


'그건 영원하다' 


that's the authority that comes the real seeing,

is not speculating, he has seen and that seeing is sustaining itself, if you want to say even sustaining,

it is constant out of itself


이것이 진짜를 본 것에서 나오는 권위이다

돌아보며 생각하지 않는다, 그는 봤고, 본 것이 유지되고 있다, 그대가 유지되고 있다 라는 말로 표현하고 싶으면,


그건 그 자체로 불변이다


does it need somebody to look after it?


그것을 계속 지킬 누군가 필요한가


-no


아니다

300x250


그대는 그대 자신에게 의문을 품지 않는다, 이런 중 그대 자신이 도전 받는 것을 허용하고 있지 않다


우리는 모든 것을 원한다, 하지만 그대는 그것을 얻기 위해 그대 자신 중 아주 조금을 내어놓는다

그것을 얻는 자가 되고 싶다


그리고 나는 지금, 

붙들고 있는 그대 자신에 대한 그대 생각이 경험적으로, 

그대 에 대한 직관적이고 자연스러운 이해를 가로막고 있다 는 것을 가리키고 있다





it's nothing personal, the guidance and the discovery that has happened here,

is as the same discovery that can be made right where you are


여기에서 일어나는 가리킴과 발견은 

특정 개인에 사적으로 제한된 인식에 관한 것이 아니다,

그대가 있는 바로 그 곳에서 가능한 것과 같은 발견이다


but the mind says, 'no, i want to have my own discovery, i want you to talk to me',


하지만 마음은, '아니야, 난 나 자신의 발견을 갖고싶어, 나에게 말해주길 원해', 

라 한다


so this feeling of me is then very strong, 'that's not me, that's he',

Mooji, can you talk to me?

then that's gonna be very difficult for me


이 나' 라는 느낌은 그러면 너무 강하다, 

'그건 내가 아니잖아, 그 잖아',

Mooji, 내게 말해줄 수 있나요


그러면 이건 내게 너무 어려운 것이 될 것이다




'i went to emptiness and i came out of the emptiness',


'빔 으로 갔다 그리고 빔 에서 나왔다' ?!



is emptiness speaking about emptiness? no,

this is why i ask you, 

because you say, 'i have been following pointings',

i want to ask you, where do they lead?

if you follow something, then where does it end?

cannot speak pointing, pointing, pointing,

at what am i pointing?

and you have been to this place, am i pointing in any direction that you should go?

or am i pointing to something which is not the end of the journey?


빔 이 빔 에 대해 말을 하는가, -아니다,

이래서 내가 그대에게 묻는 것이다

그대는, '나는 가리킴들을 따라왔는데' 라며 말하고 있다


나는, 그것들이 어디에로 이끌던가, 라 묻고 싶다

그대가 뭔가를 따랐다, 어디에서 끝나던가


가리킴, 가리킴, 가리킴 만을 말할 순 없다

내가 어디를 가리키는가

그리고 그대는 이 곳에 있었다 고 한다

내가 그대가 가야하는 어느 방향을 가리키는 것인가

아니면 여정의 끝이 아닌 무언가를 가리키는가


is the emptiness a possession?

because if it is a possession, you're going to lose it,

if it is something you create, it probably get damaged,


빔 은 소유물인가

그것이 소유하는 것이라면, 그대는 그것을 잃을 것이다

그대가 만들어낸 것이라면, 그것은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is there you who found the emptiness and now you have to make sure you take care of your emptiness?

is it like that?


빔 을 발견한 그대가 있어서 이제 그대가 그대의 빔 을 확실히 보살펴야하는가

그런 식인건가


-yeah, maybe


-아마 그런 것 같다


then is not it,

something is still holding onto the sense of identity that wants to accomplish something

and then to say i accomplish that,

so there still a duality there, then still the you who had the experience of emptiness,

but it went away, how can i get it back again?


그러면 그건 아니다,

뭔가 여전히, 무언가를 성취하고 싶어하는 동일시의 느낌을 붙들고 있다

그 다음 내가 그것을 해냈어 라고 말하고 싶은


그럼 여전히 이중성이 있다, 

빔 의 경험을 한 그대, 하지만 그것이 사라졌어, 어떻게 내가 다시 돌려낼 수 있을까


and you're not challenging yourself, you're not allowing yourself to be challenged in this,

we want everything, but you offer so little of yourself for that,

you want to be the one who get it

and i'm pointing now that your idea of yourself being held onto stands in the way experientially of the intuitive and  natural recognition of what you are


그대는 그대 자신에게 의문을 품지 않는다, 이런 중 그대 자신이 도전 받는 것을 허용하고 있지 않다


우리는 모든 것을 원한다, 하지만 그대는 그것을 얻기 위해 그대 자신 중 아주 조금을 내어놓는다

그것을 얻는 자가 되고 싶다


그리고 나는 지금, 

붙들고 있는 그대 자신에 대한 그대 생각이 경험적으로, 

그대 에 대한 직관적이고 자연스러운 이해를 가로막고 있다 는 것을 가리키고 있다


this sense of i is not being tackled,

it wants to be the achiever, if it achieve something, it has not gotten out of the way, it remains or survives as the achiever of the thing,

so there still the duality in you


이 나' 라는 느낌 이 문제제기를 받지 않는다

성취하는 자가 되고 싶어한다, 뭔가를 성취하면, 그것에서 빠져나오지 못한다, 성취한 자로 남아있거나 생존해 있다

그렇게 아직 그대 안에 이중성이 있다


but i'm asking you, a little bit deeper, come a little bit more inside where you're not wearing in uniform of personhood,

so that even the sense of your person feeling good or bad about something becomes sort of like an image inside the seeing in self,

then you see, 'oh, yes i can see that my mind is playing this picture, 


하지만 나는 그대에게, 조금 더 깊이, 그대가 사적으로 제한된 인식 의 복장을 입고 있지 않은 안으로 조금 더 들어오라고 요청한다

그래서 그대의 제한된 인식이 뭔가에 대해 좋게 혹은 나쁘게 느끼건,

진짜 자신 안에서 보이는 일종의 이미지일 뿐 이라는 것


그러면 그대가, '아, 그러네, 내 마음이 이런 그림으로 놀이를 벌이고 있는 것이 보이네' 


but this seeing itself, is it being done by a person?

is the seeing coming from some eyes, the seeing i'm speaking about?

is there some eyes seeing something?

because a blind person can follow my pointing and say, i see it,

are they seeing an object to say, 'aha, i can see it'?

am i pointing to a form or a shape or size or something that you can say, i can see it?

so what kind of seeing is this?


하지만 이 바라봄 자체 가, 사적으로 제한된 인식에 의한 것인가

어떤 눈으로 바라보는 것인가, 내가 말하는 바라봄이란 것은,

눈이 있어서 무언가를 보는 것인가

왜냐하면 시각장애인이 나의 가리킴을 따라오고, 내가 본다, 고 말할 수 있다

그들이, '아하, 보인다' 고 하는 것이 어떤 대상인가

내가 어떤 형상이나 모양, 크기, 혹은 그대가, '내가 볼 수 있다' 고 말할 수 있는 무언가를 가리키는 것인가


그러니 이건 어떤 종류의 바라봄인가


so i call it a non phenomenal seeing or recognition,

meaning that is a recognition of something which is  not an object,

it is like the subject becoming aware of itself


그래서 나는 현상적이지 않은 바라봄 혹은 알아차림 이라 한다

대상이 아닌 것에 대한 이해 이다

마치 주체 가 그 자신을 알아가는 것 같다


is that saying too much?


내가 말하는 것이 너무 이해하기에 과한가



300x250

+ Recent posts